KR100934135B1 - Vacuum cleaner - Google Patents
Vacuum clean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934135B1 KR100934135B1 KR1020070137381A KR20070137381A KR100934135B1 KR 100934135 B1 KR100934135 B1 KR 100934135B1 KR 1020070137381 A KR1020070137381 A KR 1020070137381A KR 20070137381 A KR20070137381 A KR 20070137381A KR 100934135 B1 KR100934135 B1 KR 10093413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uction pipe
- main body
- fixing member
- suction
- operation butto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009—Storing devices ; Supports, stands or holders
- A47L9/0018—Storing devices ; Supports, stands or holders integrated in or removably mounted upon the suction cleaner for storing parts of said suction cleaner
- A47L9/0045—Storing devices ; Supports, stands or holders integrated in or removably mounted upon the suction cleaner for storing parts of said suction cleaner specially adapted for holding the suction tube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5/00—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 A47L5/1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 A47L5/2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with rotary fans
- A47L5/225—Convertible suction cleaners, i.e. convertible between different types thereof, e.g. from upright suction cleaners to sledge-type suction cleaner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5/00—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 A47L5/1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 A47L5/2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with rotary fans
- A47L5/28—Suction cleaners with handles and nozzles fixed on the casings, e.g. wheeled suction cleaners with steering handle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4—Hoses or pipes; Hose or pipe couplings
- A47L9/248—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oses or pip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ic Vacuum Cleaner (AREA)
Abstract
본 실시예는 진공 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This embodiment relates to a vacuum cleaner.
실시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는, 연결부가 구비되는 청소기 본체; 상기 청소기 본체에 연결되는 연결 호스; 상기 연결 호스와 연결되는 핸들; 상기 핸들과 연결되며, 상기 청소기 본체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흡입관; 상기 청소기 본체에 구비되어, 상기 흡입관이 상기 연결부에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흡입관이 상기 본체에 고정되도록 하기 위한 고정 장치; 및 상기 본체에 구비되어, 상기 흡입관과 상기 본체의 고정을 해제하기 위하여 조작하는 조작버튼이 포함된다. Vacuum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cleaner body is provided with a connection; A connection hose connected to the cleaner body; A handle connected to the connection hose; A suction pipe connected to the handle and detachably mounted to the cleaner body; A fixing device provided at the cleaner body to fix the suction pipe to the main body while the suction pipe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art; And an operation button provided in the main body to operate to release fixing of the suction pipe and the main body.
Description
본 실시예는 진공 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This embodiment relates to a vacuum cleaner.
일반적으로 진공 청소기는 본체 내부에 장착되는 흡입 모터에 의하여 발생되는 흡입력을 이용하여, 먼지가 포함된 공기를 흡입한 다음, 본체 내부에서 먼지를 필터링하는 장치이다. In general, a vacuum cleaner is a device that sucks air containing dust by using suction power generated by a suction motor mounted inside the main body, and then filters the dust inside the main body.
상기 진공 청소기는, 바닥면의 먼지가 흡입되도록 하는 흡입 노즐이 본체와는 별도로 구비되어 연결 장치에 의해서 연결되는 캐니스터 방식과, 흡입 노즐이 본체와 일체로 형성되는 업라이트 방식으로 구별할 수 있다. The vacuum cleaner may be distinguished by a canister method in which a suction nozzle which allows dust on the bottom surface to be sucked separately from the main body and connected by a connection device, and an upright method in which the suction nozzle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main body.
한편, 상기 업라이트형 진공 청소기는, 바닥면을 따라 이동하면서 먼지가 포함된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 노즐과, 상기 흡입 노즐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흡입 모터가 내장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부에 설치되고, 청소시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하는 핸들과, 상기 본체에 장착되는 집진 장치가 포함된다. On the other hand, the upright vacuum cleaner, the suction nozzle for sucking the air containing dust while moving along the bottom surface, rotatably coupled to the suction nozzle, the main body is built in the suction motor,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It is installed, a handle for allowing a user to grip when cleaning, and a dust collecting device mounted to the main body.
그리고, 상기 흡입 노즐의 양측에는 상기 본체가 용이하게 이동하도록 하는 이동 바퀴가 구비되며, 상기 흡입 노즐의 후측에는 상기 본체가 상기 흡입 노즐에 대해서 일정 각도로 회전 가능하도록 하는 회전 레버가 구비된다. And, both sides of the suction nozzle is provided with a moving wheel to easily move the main body, the rear side of the suction nozzle is provided with a rotary lever to enable the main body to rotate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suction nozzle.
상기 진공 청소기의 작동에 대해서 간단하게 설명한다. The operation of the vacuum cleaner will be described briefly.
청소를 수행하기 위하여, 상기 회전 레버를 조작하여 상기 본체가 상기 흡입 노즐에 대해서 소정 각도로 경사지도록 한다. In order to perform cleaning, the rotation lever is operated so that the main body is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suction nozzle.
그 다음, 상기 진공 청소기를 작동시키면 상기 본체에 내장된 흡입 모터에 의해서 흡입력이 발생된다. 그러면, 상기 흡입 노즐을 통하여 먼지가 포함된 공기가 흡입되고, 흡입된 공기는 상기 집진 장치 내부로 유입된다. Then, when the vacuum cleaner is operated, suction force is generated by the suction motor built into the main body. Then, the air containing the dust is sucked through the suction nozzle, the sucked air is introduced into the dust collector.
그리고, 상기 집진 장치 내부로 유입된 공기 중에서 분리된 먼지는 상기 집진 장치 내부에 저장되고, 먼지가 분리된 공기는 상기 집진 장치에서 배출되어 상기 본체로 유입된 후에 상기 본체의 일측에서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The dust separated from the air introduced into the dust collecting apparatus is stored in the dust collecting apparatus, and the dust separated air is discharged from the dust collecting apparatus and discharged from the one side of the main body after being introduced into the main body. do.
그런데, 상기와 같은 진공 청소기에 의하면, 상기 흡입 노즐이 바닥면을 이동하면서 청소를 수행하므로 바닥면의 청소는 가능하나, 바닥면 이외의 공간 예를 들면, 계단이나 소정 높이의 공간 등은 청소를 수행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However, according to the vacuum cleaner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suction nozzle performs cleaning while moving the bottom surface, it is possible to clean the bottom surface, but the space other than the bottom surface, for example, a step or a space of a predetermined height, may be cleaned. There is a problem that cannot be done.
따라서, 바닥면 뿐만 아니라 바닥면 이외의 공간의 청소가 가능한 진공 청소기가 요구된다.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 vacuum cleaner capable of cleaning not only the bottom but also the space other than the bottom.
실시예는 바닥면 뿐만 아니라 바닥면 외의 공간의 청소가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진공 청소기를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e embodiment aims to propose a vacuum cleaner which can smoothly clean the space other than the bottom surface as well as the bottom surface.
실시예의 다른 목적은 바닥면 외의 공간을 청소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흡입관이 본체에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하는 진공 청소기를 제안하는 것에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embodiment is to propose a vacuum cleaner that allows the suction pipe used to clean the space outside the bottom surface to be firmly fixed to the main body.
일 측면에 따른 진공 청소기는, 연결부가 구비되는 청소기 본체; 상기 청소기 본체에 연결되는 연결 호스; 상기 연결 호스와 연결되는 핸들; 상기 핸들과 연결되며, 상기 청소기 본체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흡입관; 상기 청소기 본체에 구비되어, 상기 흡입관이 상기 연결부에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흡입관이 상기 본체에 고정되도록 하기 위한 고정 장치; 및 상기 본체에 구비되어, 상기 흡입관과 상기 본체의 고정을 해제하기 위하여 조작하는 조작버튼이 포함되며, 상기 고정장치에는 상기 장착부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부재 및 상기 조작버튼과 연결되어 상기 조작 버튼의 조작력을 상기 고정부재로 전달하는 전달 유닛이 포함된다. Vacuum cleaner according to one aspect, the cleaner body is provided with a connection; A connection hose connected to the cleaner body; A handle connected to the connection hose; A suction pipe connected to the handle and detachably mounted to the cleaner body; A fixing device provided at the cleaner body to fix the suction pipe to the main body while the suction pipe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art; And a manipulation button provided in the main body, the operation button operating to release the fixing of the suction pipe and the main body, and the fixing device is connected to a fixing member protruding outward of the mounting portion, the fixing member and the operation button. And a transmission unit for transmitting the operation force of the operation button to the fixing member.
다른 측면에 따른 진공 청소기는, 먼지가 포함된 공기가 흡입되기 위한 흡입관; 상기 흡입관을 통하여 흡입된 공기가 유입되며, 상기 흡입관이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부가 구비되는 청소기 본체; 상기 청소기 본체에 연결되어 바닥면의 공기가 흡입되도록 하기 위한 흡입 노즐; 상기 본체에 구비되어 상기 흡입관이 상기 연결부에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흡입관과 결합되는 고정 부재; 상기 본체에 구비되어 상기 고정 부재와 상기 흡입관의 결합을 해제하기 위한 조작 버튼; 및 상기 조작 버튼의 조작력을 상기 고정 부재로 전달하기 위한 전달 유닛이 포함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vacuum cleaner includes: a suction pipe through which air containing dust is sucked; A cleaner main body into which air sucked through the suction pipe is introduced, and a connection part to which the suction pipe is detachably connected is provided; A suction nozzle connected to the cleaner body to suck air from the bottom surface; A fixing member provided in the main body and coupled to the suction pipe while the suction pipe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art; An operation button provided in the main body for releasing the coupling between the fixing member and the suction pipe; And a transmission unit for transmitting the operation force of the operation button to the fixing member.
제안되는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흡입관이 상기 본체에서 분리될 수 있으므로, 상기 흡입관을 이용하여 바닥면 이외의 공간을 청소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According to the proposed embodiment, since the suction pipe can be separated from the main body, there is an advantage of cleaning the space other than the bottom surface by using the suction pipe.
또한, 상기 흡입관이 상기 흡입관 연결부에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장착부에 재차 고정되므로, 상기 흡입관이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suction pipe is fixed again to the mounting portion in the state connected to the suction pipe connecting por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suction pipe can be securely fixed.
또한, 상기 흡입관을 상기 장착부 측으로 미는 것에 의해서 상기 흡입관이 상기 장착부에 고정되므로, 상기 흡입관의 고정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suction pipe is fixed to the mounting portion by pushing the suction pipe toward the mounting portion, the suction tube can be easily fixed.
또한, 상기 흡입관을 상기 장착부에서 분리시키기 위하여 상기 조작 버튼을 가압하면 되므로, 상기 흡입관이 상기 장착부에서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는 장점이 있게 된다. In addition, since the operation button is pressed to separate the suction pipe from the mounting part, the suction pipe can be easily separated from the mounting part.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및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의 사시도로서, 도 1은 바닥면을 청소하는 경우의 상기 진공 청소기의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2는 바닥면 외의 공간을 청소하는 경우의 상기 진공 청소기의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1 and 2 are perspective views of the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Figure 1 is a view showing a state of the vacuum cleaner when cleaning the bottom surface, Figure 2 is a case of cleaning the space outside the floor surface A diagram showing a state of the vacuum cleaner.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는 업라이트 진공 청소기를 제안한다.1 and 2, this embodiment proposes an upright vacuum cleaner.
상기 진공 청소기(1)는, 내부에 흡입 모터가 구비되는 본체(10)와, 상기 본체(10)와 연결되며, 바닥면의 먼지가 포함된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 노즐(20)과, 상기 본체(10)와 결합되어 상기 본체(10) 내부로 흡입된 공기에서 분리된 먼지가 저장되는집진 장치(30)와, 사용자의 파지가 가능하도록 하는 핸들(40)과, 상기 핸들(40)에 연결되어 바닥면 이외의 부분의 청소시 먼지가 포함된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흡입관(50)과, 상기 흡입관(50)을 통하여 흡입된 먼지가 포함된 공기가 상기 본체(10) 내부로 이동되도록 하는 연결 호스(60)가 포함된다. The
상세히, 상기 흡입 노즐(20)은 바닥면과 근접한 상태로 이동하면서, 바닥면의 먼지가 포함된 공기를 흡입한다. 상기 흡입 노즐(20)의 저면에는 도시되지 않은 흡입구가 형성된다. In detail, the
그리고, 상기 흡입 노즐(20)의 양측에는 상기 흡입 노즐(20)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바퀴(21)가 구비된다. And, both sides of the
상기 본체(10)는 상기 흡입 노즐(2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10)는 일정 각도 범위 내에서 상기 흡입 노즐(20)에 대해서 회전된다. 상기 흡입 노즐(20)의 상부 일측에는 상기 본체(10)의 회전을 제어하기 위한 회전 레버(22)가 형성된다. The
따라서, 사용자가 발을 사용하여 상기 회전 레버(22)를 가압한 상태에서 상기 핸들(40)을 잡고 상기 본체(10)를 후방으로 당기면, 상기 본체(10)가 후방으로 기울어지게 된다. Therefore, when the user grasps the
이렇게 되면 사용자는 자신의 키높이에 맞게 상기 본체(10)를 원하는 각도로 조정하면서 바닥면을 청소할 수 있게 된다. In this case, the user can clean the bottom surface while adjusting the
상기 본체(110)에는, 흡입 모터가 내장되는 케이스(110)와, 상기 케이스(110)의 상부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흡입 노즐(20)을 통하여 흡입된 공기가 상기 집진 장치로 이동되도록 하는 흡입 덕트(140)와, 상기 케이스(110)의 상부 타측에 구비되어 상기 집진 장치(30)에서 배출된 공기가 상기 흡입 모터 측으로 이동되도 록 하는 배출 덕트(150)와, 상기 배출 덕트(150) 및 상기 흡입 덕트(140)의 상측에 구비되어 상기 흡입관(50)이 장착되는 장착부(160)가 포함된다. The
또한, 상기 케이스(110)의 상측에는 상기 흡입관(50)이 연결되는 흡입관 연결부(114)가 형성된다. 상기 흡입관 연결부(114)는 상기 흡입 덕트(140)와 상기 배출 덕트(150) 사이에 위치된다. In addition, the suction
즉, 상기 흡입관(50)이 상기 연결부(114)에 연결되면, 상기 흡입관(50)은 상기 흡입 덕트(140)와 상기 배출 덕트(150) 사이에 위치된다. That is, when the
상기 장착부(160)에는 상기 흡입관(50)이 상기 장착부(160)에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 장치(후술함)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흡입관(50)에는 상기 고정 장치가 결합되기 위한 가이드 유닛(70)이 구비된다. The
상기 장착부(160)의 상측에는 상기 고정 장치에 의해서 상기 흡입관(50)이 상기 장착부(160)에 고정된 상태에서 고정을 해제시키기 위한 조작 버튼(200)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조작 버튼(200)의 일부는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도록 상기 장착부(160)의 외측으로 돌출된다. An upper side of the
따라서, 상기 조작 버튼(200)을 조작하면, 상기 고정 장치가 상기 흡입관(50)과 분리되어 상기 흡입관(50)은 상기 장착부(160)에서 분리 가능한 상태가 된다. Therefore, when the
한편, 상기 집진 장치(30)는, 공기 중에 포함된 먼지가 분리되도록 하며, 분리된 먼지가 저장되도록 한다. 상기 집진 장치(30)는 상기 본체(1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집진 장치(30)는 싸이클론 방식에 의해서 먼지가 분리되도록 한다. 그러나, 본 실시예의 사상은 먼지 분리 방식에 제한되지 않으며, 상기 집진 장치 외에, 먼지는 저장되고 공기가 통과하는 먼지 봉투가 사용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dust collecting
한편, 일반적인 업라이트형 진공 청소기는 본체와 결합된 흡입 노즐이 바닥면을 따라 이동하면서 청소를 수행하므로, 바닥면 이외의 장소는 청소를 하기 힘든 문제가 있다. On the other hand, in the general upright type vacuum cleaner, since the suction nozzle combined with the main body moves along the bottom surface to perform cleaning, a place other than the bottom surface is difficult to clean.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는 바닥면 이외의 공간의 청소가 가능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흡입관(50)이 상기 본체(10)로부터 분리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면, 상기 분리된 흡입관(50)을 이용하여 바닥면 이외의 부분의 청소를 수행할 수 있다.However, in this embodiment, in order to enable the cleaning of the space other than the bottom surface, the
상세히, 상기 흡입관(50)은 상기 본체(10)에 착탈 가능하며, 상기 연결 호스(60)에 의해서 상기 본체(10) 내부와 연결된다. In detail, the
그리고, 바닥면 이외의 부분을 청소하기 위해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상기 흡입관(50)을 상기 본체(10)로부터 분리시킨다. In addition, in order to clean portions other than the bottom surface, as shown in FIG. 2, the user separates the
즉, 바닥면을 청소하기 위해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흡입관(50)이 상기 본체(10)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본체(10)를 상기 흡입 노즐(20)로부터 회전시킨다. 그리고, 사용자는 상기 흡입 노즐(20)을 이동시키면서 바닥면을 청소한다. That is, to clean the bottom surface, as shown in FIG. 1, the
반면, 바닥면 이외의 부분을 청소하기 위해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를 직립시킨 상태에서, 상기 흡입관(50)을 상기 본체(10)로부터 분리하여 상기 흡입관(50)을 이용하여 먼지가 포함된 공기가 흡입되도록 한다. 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clean the portion other than the bottom surface as shown in Figure 2 in the state in which the
이와 같이 상기 흡입관(50) 또는 흡입 노즐(20)을 이용하여 선택적으로 청소를 수행하기 위하여 상기 본체(10)의 내부에는 공기가 유동될 수 있는 두 개의 유로가 형성된다. As described above, two flow paths through which air may flow are formed in the
도 3은 본체 내부의 유로 구조를 보여주는 부분 단면도이다. 3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flow path structure inside the main body.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본체(10)는 내부에 흡입 모터가 내장되는 케이스(110)가 포함된다. 상기 케이스(110)의 양측에는 상기 본체(10)가 상기 흡입 노즐에 대해서 회전될 수 있도록 하는 회전축(112)이 형성된다. Referring to FIG. 3, the
상기 케이스(110)에는 흡입 유로관(120)이 구비된다. 상기 흡입 유로관(120)은 상기 흡입 노즐(20)과 연결되어 상기 흡입 노즐(20)을 통하여 흡입된 공기가 상기 케이스(110) 내부로 이동되도록 한다. The
상기 케이스(110)의 내부에는 상기 흡입 노즐(20)에서 흡입된 공기가 흡입되는 제 1 흡입 유로(132)와, 상기 흡입관(50)을 통하여 흡입된 공기가 흡입되는 제 2 흡입 유로(134)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흡입 유로(132)는 상기 제 2 흡입 유로(134)와 연통된다. The
상기 케이스(110)의 상측에 구비되는 상기 흡입 덕트(140)는 상기 집진 장치(30)의 흡입구(31)와 연통된다. 따라서, 상기 흡입 유로(132, 134)로 흡입된 공기는 상기 흡입 덕트(140)를 따라서 상승한 후에 상기 집진 장치(30)로 흡입된다. The
상기 케이스(110)의 상측에 구비되는 상기 배출 덕트(150)의 일측은 상기 집진 장치(30)의 배출구(미도시)와 연통되고, 타측은 상기 흡입 모터와 연통된다. 따라서, 상기 집진 장치(30)에서 배출된 공기는 상기 배출 덕트(150)를 따라 하측으 로 이동된 후에 상기 흡입 모터 측으로 이동된다. One side of the
상기 흡입 모터가 작동하면, 상기 흡입 모터에 의해서 발생된 흡입력에 의해서 외부로부터 공기가 흡입된다. When the suction motor is operated, air is sucked from the outside by the suction force generated by the suction motor.
이 때, 상기 흡입 노즐(20)을 이용하여 청소를 수행하는 경우에는 상기 흡입관(50)이 상기 흡입관 연결부(114)에 연결되므로, 상기 제 1 흡입 유로(132)로 공기가 흡입되고, 상기 제 2 흡입 유로(134)로는 공기가 흡입되지 않는다. At this time, when the cleaning is performed using the
반면, 상기 흡입관(50)을 이용하여 청소를 수행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 1 흡입 유로(132) 및 제 2 흡입 유로(134)로 공기가 흡입된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cleaning is performed using the
이 때, 상기 흡입관(50)을 이용하여 청소를 수행하는 경우에는 상기 흡입력이 상기 각 흡입 유로(132, 134)로 분산되어 작용되므로, 흡입 성능이 저하될 수 있다. In this case, when the cleaning is performed using the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흡입관(50)을 이용하여 청소를 수행하는 경우 상기 제 1 흡입 유로(134)로 공기가 흡입되지 않도록, 상기 흡입 노즐(20)에는 내부에 형성되는 공기 유로를 차단하기 위한 유로 차단 장치가 제공된다. Therefore, although not shown in the present embodiment, when the cleaning is performed using the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장착부에 조작 버튼이 설치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5는 고정 장치가 흡입관에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구조도이며, 도 6은 고정 장치가 흡입관에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7은 고정 장치가 흡입관에서 분리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peration button is installed in the mounting por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Figure 5 is a structural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xing device is coupled to the suction pipe, Figure 6 shows a state in which the fixing device is coupled to the suction pipe. 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xing device is separated from the suction pipe.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조작 버튼(200)은 탄성 부재(170)에 의해 서 상기 장착부(160)에 지지된다. 상기 고정 장치(210)는 상기 장착부의 내부에 한 쌍이 구비되며, 상기 조작 버튼(200)의 양측에 결합된다. 4 to 7, the
상기 조작 버튼(200)은 사용자가 가압하기 위한 가압부(202)와, 상기 한 쌍의 고정 장치(210)와 결합되는 한 쌍의 결합부(204)가 포함된다. The
상기 고정 장치(210)는, 상기 가이드 유닛(70)과 선택적으로 결합되기 위한 고정 부재(220)와, 상기 조작 버튼(200)의 조작력을 상기 고정 부재(220)로 전달시키기 위한 전달 유닛이 포함된다.The fixing
상세히, 상기 전달 유닛은, 상기 결합부(204)에 결합되는 제 1 전달부(230)와, 상기 고정 부재(220)와 결합되는 제 2 전달부(240)가 포함된다. In detail, the transfer unit includes a
상기 제 1 전달부(230)는 상기 장착부(160)에 형성되는 힌지축(164)에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제 1 전달부(230)는 상기 조작 버튼(200)의 조작시 상기 힌지축(164)을 회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The
상기 장착부(160)에는 상기 제 1 전달부(230)의 상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162)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부(162)에는 상기 제 1 전달부(230)가 삽입되는 홈(163)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 1 전달부(230)가 상기 홈(163)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전달부(230)는 상하 방향으로만 움직일 수 있게 된다. The mounting
상기 제 2 전달부(240)는 상기 제 1 전달부(230)의 하방에 구비되어 상기 제 1 전달부(230)를 지지한다. The
상기 제 2 전달부(240)는 대략 "Y"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 2 전달부(240)의 상측에는 상기 제 1 전달부(230)의 하측이 안착되는 안착홈(242)이 형성된다. The
상기 안착홈(242)은 상기 제 2 전달부(240)의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폭이 줄어들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안착홈(242)의 상측 부분은 상기 제 1 전달부(230)의 폭 보다 크게 형성되고, 상기 안착홈(242)의 하측 부분은 상기 제 1 전달부(230)의 폭 보다 작게 형성된다. The
따라서, 상기 안착홈(242)에는 상기 제 1 전달부(230)가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전달부(230)가 이동할 수 있는 여유 공간이 생기게 된다. Accordingly, the
그리고, 상기 제 2 전달부(240)의 하측에는 상기 고정 부재(220)의 일부가 삽입된다. 상기 고정 부재(220)는 대략 "L"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고정 부재(220)는 상기 제 2 전달부(240)에 결합되는 결합부(222)와, 상기 가이드 유닛(70)과 선택적으로 삽입되기 위한 후크(224)가 포함된다. A portion of the fixing
상기 고정 부재(220)에는 상기 장착부(160)에 형성된 힌지축(166)이 삽입되는 삽입홀(226)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고정 부재(220)는 상기 조작 버튼의 조작시 상기 힌지축(166)을 회전 중심으로 회전된다. The fixing
한편, 상기 가이드 유닛(70)은, 제 1 가이드(71)와, 상기 제 1 가이드(71)와 결합되는 제 2 가이드(75)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가이드(71)와 상기 제 2 가이드(75)가 결합되면, 상기 각 가이드(71, 75)는 상기 흡입관(50)의 둘레를 감싼다. Meanwhile, the
그리고, 상기 제 2 가이드(75)에는 상기 후크(224)가 관통하기 위한 개구 부(76)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 2 가이드(75)의 내측에는 상기 개구부(76)를 관통한 후크(224)가 걸리는 걸림부(77)가 형성된다. In addition, an
그리고, 상기 후크(224)가 상기 걸림부(77)에 걸리게 되면, 상기 흡입관(50)은 상기 장착부(160)에 고정된다. When the
이하에서는 상기 진공 청소기의 작용에 대해서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vacuum cleaner will be described.
먼저, 방바닥과 같은 바닥면을 청소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흡입 노즐(20)을 이용하여 청소를 수행한다. 따라서, 상기 회전 레버(22)를 조작하여 상기 본체(10)가 상기 흡입 노즐(20)에 대해서 소정 각도로 회전되도록 한다. 여기서, 바닥면을 청소하는 경우에는 상기 흡입관(50)이 상기 흡입관 연결부(114)에 결합되어 있음은 물론이다. First, when the floor surface such as the floor is to be cleaned, the cleaning is performed using the
그리고, 흡입 모터에 의해서 발생된 흡입력에 의해서 상기 흡입 노즐(20)을 통하여 먼지가 포함된 공기가 흡입된다. 그리고, 흡입된 공기는 상기 흡입 유로관(120), 제 1 흡입 유로(132) 및 흡입 덕트(140)를 지나 상기 집진 장치(30)의 내부로 유입된다. And, the air containing the dust is sucked through the
그리고, 상기 집진 장치(30)로 유입된 먼지가 포함된 공기는 먼지가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집진 장치(30)로부터 배출된다. 그리고, 상기 집진 장치(30)로부터 배출된 공기는 상기 배출 덕트(150)를 지나 상기 본체(10) 내부로 유입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10)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흡입 모터를 지나 최종적으로 상기 본체(10) 외부로 배출된다. In addition, the air containing the dust introduced into the
반면, 바닥면 이외의 부분을 청소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흡입관(50)을 이용하여 청소를 수행한다. 따라서, 상기 본체(10)가 상기 흡입 노즐(20)에 직립되도록 한다. 그러면, 상기 유로 차단 장치가 상기 흡입 노즐(20) 내부의 공기 유로를 차단한다. On the other hand, if you want to clean the portion other than the bottom surface is performed using the suction pipe (50). Therefore, the
그리고, 상기 본체(10)에 결합된 상기 흡입관(50)을 분리시킨다. Then, the
상세히,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흡입관(50)을 상기 본체(10)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하여 상기 조작 버튼(200)의 가압부(202)를 가압한다. 6 and 7, the
그러면, 상기 탄성 부재(170)는 수축되고, 상기 조작 버튼(200)의 결합부(204)는 상기 제 1 전달부(230)를 가압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제 1 전달부(230)는 상기 힌지축(164)을 중심으로 도 7에서 볼 때 시계 방향으로 회전된다. Then, the
상기 제 1 전달부(230)는 상기 제 2 전달부(240)의 안착홈(242)에 삽입된 상태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므로, 상기 제 1 전달부(230)에 의해서 제 2 전달부(240)가 연결된 상기 고정 부재(220)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된다.Since the
그리고, 상기 고정 부재(220)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가이드 유닛(70)의 걸림부(77)에 걸려있던 후크(224)가 상기 걸림부(77)로부터 이격되어 걸림이 해제된다. When the fixing
이와 같이 상기 후크(224)와 상기 걸림부(77)의 걸림이 해제되면, 상기 후크(224)는 상기 가이드 유닛(70)의 개구부(76)에서 빠질 수 있는 상태, 즉 상기 흡입관(50)이 상기 장착부(150)로부터 분리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As such, when the
그 다음 사용자는 상기 흡입관(50)을 상기 장착부(160)에서 분리시킨다. 상기 흡입관(50)이 상기 장착부(160)에서 분리되는 과정에서 상기 흡입관(50)은 상기 흡입관 연결부(114)에서 분리될 수 있다. Then, the user separates the
여기서, 상기 조작 버튼(200)을 가압하는 가압력을 제거하면, 상기 탄성 부재(170)가 신장되고, 상기 조작 버튼(200)은 탄성 부재(170)의 복원력에 의해서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조작 버튼(200)과 결합된 제 1 전달부(230)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고정 부재(220)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어 상기 고정 부재(220)가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Here, when the pressing force for pressing the
상기 흡입관(50)이 상기 본체(10)에서 분리된 상태에서 흡입 모터에 의해서 흡입력이 발생되면, 상기 흡입관(50)을 통하여 먼지가 포함된 공기가 흡입된다.When suction power is generated by the suction motor in a state in which the
그리고, 흡입된 공기는 상기 핸들(40), 연결 호스(60) 및 제 2 흡입 유로(134)를 지나, 상기 흡입 덕트(140)로 이동된다. 그리고, 상기 흡입 덕트(140)로 이동된 공기는 상기 집진 장치(30)로 흡입된다. In addition, the sucked air passes through the
한편, 바닥면 이외의 부분을 청소가 완료된 경우, 상기 흡입관(50)을 상기 본체(10)에 결합시킨다. 상기 흡입관(50)은 상기 흡입관 연결부(114)에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장착부(160)에 장착된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cleaning of the portion other than the bottom surface is completed, the
상세히, 상기 흡입관(50)이 상기 흡입관 연결부(114)에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흡입관(50)을 상기 장착부(160) 측으로 밀면, 상기 가이드 유닛(70)의 전면이 상기 후크(224)를 가압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고정 부재(220)가 반시계 방향으로 소정 각도 회전되고, 상기 고정 부재(220)가 회전된 상태에서, 상기 후크(224)가 상기 개구부(76)를 관통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 부재(220)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 상기 제 1 전달부(230)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됨은 물론이다. In detail, when the
그리고, 상기 후크(224)가 상기 개구부(76)를 완전하게 관통하면 상기 후크(224)를 가압하는 힘이 제거되어 상기 고정 부재(220)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상기 후크(224)가 상기 걸림부(77)에 걸리게 된다. 그리고, 상기 후크(224)가 상기 걸림부(77)에 걸리게 됨에 따라 상기 흡입관(50)은 상기 장착부(160)에 고정된다. When the
이와 같은 본 실시예 의하면, 상기 흡입관(50)이 상기 흡입관 연결부(114)에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장착부(160)에 재차 고정되므로, 상기 흡입관(50)이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또한, 상기 흡입관을 상기 장착부 측으로 미는 것에 의해서 상기 흡입관이 상기 장착부에 고정되므로, 상기 흡입관의 고정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suction pipe is fixed to the mounting portion by pushing the suction pipe toward the mounting portion, the suction tube can be easily fixed.
또한, 상기 흡입관을 상기 장착부에서 분리시키기 위하여 상기 조작 버튼을 가압하면 되므로, 상기 흡입관이 상기 장착부에서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는 장점이 있게 된다. In addition, since the operation button is pressed to separate the suction pipe from the mounting part, the suction pipe can be easily separated from the mounting part.
본 실시예의 사상은 상기되는 설명에 제한되지 않고 다음의 실시예가 더 포함될 수 있다.The spirit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not limited to the above description and may further include the following embodiments.
먼저, 상기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 2 전달부가 상기 고정 부재와 결합되는 것으로 설명되나, 이와 달리 상기 제 2 전달부가 상기 고정 부재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고정 부재의 상측에 상기 제 1 전달부가 안착되는 안착홈이 형성될 것이다. First, in the above embodiment, the second transmission part is described as being coupled with the fixing member, but, alternatively, the second transmission part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fixing member. In this case, a seating groove in which the first transfer part is mounted will be formed on the fixing member.
또한, 상기 가이드 유닛은 상기 흡입관에 결합되는 것이 개시되나 이와 달리 상기 가이드 유닛은 상기 흡입관과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In addition, it is disclosed that the guide unit is coupled to the suction pipe, but alternatively, the guide unit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suction pipe.
또한, 상기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조작 버튼이 탄성 부재에 지지되는 것이 개시되나,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고정 부재가 회전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 부재의 위치가 복귀되도록 하기 위한 구성이므로, 상기 고정 부재와 힌지축에 탄성 부재가 결합될 수도 있다. In addition, in the above embodiment, the operation button is supported by the elastic member, but the elastic member is configured to return the position of the fixing member while the fixing member is rotated, and thus the fixing member and the hinge An elastic member may be coupled to the shaft.
도 1 및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진공 청소기의 사시도.1 and 2 are perspective views of a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도 3은 본체 내부의 유로 구조를 보여주는 부분 단면도.3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flow path structure inside the body.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장착부에 조작 버튼이 설치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operation button is installed in the mounting por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도 5는 고정 장치가 흡입관에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구조도. 5 is a structural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xing device is coupled to the suction pipe.
도 6은 고정 장치가 흡입관에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xing device is coupled to the suction pipe.
도 7은 고정 장치가 흡입관에서 분리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xing device is separated from the suction pipe.
Claims (9)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70137381A KR100934135B1 (en) | 2007-12-26 | 2007-12-26 | Vacuum clean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70137381A KR100934135B1 (en) | 2007-12-26 | 2007-12-26 | Vacuum cleaner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090069653A KR20090069653A (en) | 2009-07-01 |
| KR100934135B1 true KR100934135B1 (en) | 2009-12-29 |
Family
ID=41321277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070137381A Expired - Fee Related KR100934135B1 (en) | 2007-12-26 | 2007-12-26 | Vacuum cleaner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0934135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EP2929820B1 (en) * | 2014-04-11 | 2018-09-12 | Black & Decker Inc. | A vacuum cleaning device |
| EP4188182A4 (en) * | 2020-07-29 | 2024-12-25 | SharkNinja Operating LLC | Surface cleaning apparatus |
Citations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040076613A (en) * | 2003-02-26 | 2004-09-01 |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 Electronic cleaner |
| KR20070021466A (en) * | 2005-08-18 | 2007-02-23 |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 Suction Hose Installation Structure of Upright Cleaner |
| KR20070046811A (en) * | 2007-04-17 | 2007-05-03 |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 Upright vacuum cleaner |
-
2007
- 2007-12-26 KR KR1020070137381A patent/KR100934135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040076613A (en) * | 2003-02-26 | 2004-09-01 |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 Electronic cleaner |
| KR20070021466A (en) * | 2005-08-18 | 2007-02-23 |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 Suction Hose Installation Structure of Upright Cleaner |
| KR20070046811A (en) * | 2007-04-17 | 2007-05-03 |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 Upright vacuum cleaner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090069653A (en) | 2009-07-01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KR101491002B1 (en) | Vacuum cleaner | |
| JP2009504311A (en) | Vacuum cleaner | |
| KR101064029B1 (en) | Vacuum cleaner | |
| US8032982B2 (en) | Upright vacuum cleaner having suction path switching valve | |
| KR20060019739A (en) | Suction nozzle structure of vacuum cleaner | |
| US20120102671A1 (en) | Vacuum cleaner | |
| KR100934135B1 (en) | Vacuum cleaner | |
| KR100968331B1 (en) | Vacuum cleaner | |
| US8561255B2 (en) | Vacuum cleaner | |
| KR200359525Y1 (en) | Suction device for vacuum cleaner | |
| KR100999268B1 (en) | Vacuum cleaner | |
| KR100968330B1 (en) | Vacuum cleaner | |
| KR20080066290A (en) | Upright vacuum cleaner | |
| KR101052161B1 (en) | Vacuum cleaner | |
| KR101052111B1 (en) | Vacuum cleaner | |
| JP4713958B2 (en) | Electric vacuum cleaner | |
| KR20090069651A (en) | Vacuum cleaner | |
| JP7174654B2 (en) | vacuum cleaner | |
| KR101208559B1 (en) | An upright type vacuum cleaner | |
| KR101291467B1 (en) | Upright type vaccum cleaner | |
| KR100988719B1 (en) | Vacuum cleaner | |
| KR20090109835A (en) | Nozzle of vacuum cleaner | |
| KR101063996B1 (en) | Vacuum cleaner | |
| EP2409618B1 (en) | Vacuum cleaner | |
| GB2453619A (en) | Vacuum cleaner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 D13-X000 | Search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
|
| D14-X000 | Search report comple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1-asn-PN2301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1128 Year of fee payment: 4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1122 Year of fee payment: 5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1124 Year of fee payment: 6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1124 Year of fee payment: 7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114 Year of fee payment: 8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8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114 Year of fee payment: 9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9 |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181219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81219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