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27709B1 - Display device and driving device thereof - Google Patents
Display device and driving device thereof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927709B1 KR100927709B1 KR1020030055832A KR20030055832A KR100927709B1 KR 100927709 B1 KR100927709 B1 KR 100927709B1 KR 1020030055832 A KR1020030055832 A KR 1020030055832A KR 20030055832 A KR20030055832 A KR 20030055832A KR 100927709 B1 KR100927709 B1 KR 10092770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ignal
- display device
- reference clock
- interval
- electrod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33—Improving the luminance or brightness uniformity across the screen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71—Adjustment of the gradation levels within the range of the gradation scale, e.g. by redistribution or clipp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표시 장치 및 그의 구동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play device and a drive device thereof.
본 발명에서는 다수의 제1 전극과 다수의 제2 전극이 각각 행과 열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게이트 라인과 데이터 라인의 교차로 정의되는 영역에 다수의 화소가 형성되어 있는 표시 패널로 데이터 펄스를 공급하며, 특히, 계조별로 상기 데이터 펄스의 간격을 변화시켜 감마 보정을 수행한다. 계조별로 상기 표시 장치의 방출 전류의 변화량이 적은 부분에서는 상기 데이터 펄스의 간격이 넓어지고, 계조별로 상기 표시 장치의 방출 전류의 변화량이 큰 부분에서는 상기 데이터 펄스의 간격이 좁아지며, 계조별로 상기 표시 장치의 방출 전류가 비례적으로 변화되는 부분에서는 상기 데이터 펄스의 간격이 등 간격으로 이루어진다. In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first electrodes and a plurality of second electrodes are formed in row and column directions, respectively, and data pulses are applied to a display panel in which a plurality of pixels are formed in an area defined by the intersection of the gate line and the data line. In particular, gamma correction is performed by changing the interval of the data pulse for each gray level. The interval between the data pulses is widened at a portion where the change of the emission current of the display device is small for each gray level, and the interval between the data pulses is narrowed at a portion where the change amount of the emission current of the display device is large for each gray level, and the display is performed for each gray level. In the part where the emission current of the device changes proportionally, the intervals of the data pulses are equally spaced.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주변 환경의 휘도에 따라 감마 보정이 이루어짐으로써, 표시 장치의 시인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gamma correction is performed according to the luminance of the surrounding environment, thereby further improving visibility of the display device.
Description
도 1은 일반적인 감마 특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1 is a graph showing general gamma characteristics.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계 방출 표시 장치의 평면도이다. 2 is a plan view of a field emission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계 방출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field emission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계 방출 표시 장치에서 패널로 인가되는 전압과 방출 전류와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4 is a graph illustrating a relationship between a voltage applied to a panel and emission current in the field emission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계 방출 표시 장치의 구동 장치의 구조도이다. 5 is a structural diagram of a driving device of a field emission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도 5에 도시된 패널 제어부의 상세 구조도이다. FIG. 6 is a detailed structural diagram of the panel controller shown in FIG. 5.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 펄스의 출력을 나타낸 예시도이다.7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n output of a data pul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압-전류 특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8 is a graph illustrating voltage-current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표시 장치(display)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 말하자면, 감마 보정(gamma-correction) 기능을 가지는 표시 장치 및 그의 구동 장치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근래 퍼스널 컴퓨터나 텔레비젼 등의 경량, 박형화에 따라 표시 장치도 경량화, 박형화가 요구되고 있으며, 이러한 요구에 따라 음극선관 (cathode ray tube: CRT) 대신 전계 방출 표시 장치(FED, field emission display)와 같은 플랫 패널형 표시 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Recently, display devices are also required to be lighter and thinner in accordance with the light weight and thickness of personal computers and televisions, and according to such demands, instead of cathode ray tubes (CRTs), such as field emission displays (FEDs), etc. Flat panel display devices are being developed.
이러한 표시 장치에서는 다양한 칼라 표현을 위하여 감마 보정을 수행한다. 감마 보정은 이미지 향상 기술로서, 이미지를 사용자가 가장 보기 편한 명암, 색감으로 조절하여 표시 장치와 인간의 시각 인지 특성간의 차이를 매칭(Matching) 시켜 주는 작업이다. 자연스러운 화면을 표현하기 위해서는 계조(Gray-scale, 인간의 시각이 느끼는 빛의 양을 단계적으로 나눈 것) 레벨을 일정하게 설정해야만 가능하지만, 실제로 인간의 시각 특성이 어두운 화면에서는 밝기차를 쉽게 구분하지만 밝은 화면에서의 밝기차는 잘 구분하지 못하는 점을 고려하여 계조 레벨의 직선성을 조정하며, 이러한 방법을 감마 보정이라고 한다. In such a display device, gamma correction is performed to express various colors. Gamma correction is an image enhancement technology that matches the difference between the display device and human visual perception by adjusting the image to the most suitable contrast and color. In order to express a natural screen, it is possible to set a constant gray-scale level by dividing the amount of light felt by human vision.However, in a dark screen, the brightness difference is easily distinguished. The brightness difference on the bright screen is adjusted in consideration of the difficulty of distinguishing the brightness level. This method is called gamma correction.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감마 보정은 인간의 시각 특성이 로그(Log) 함수와 비슷하게 인식한다는 점에서 VT-곡선(curve)을 로그 함수로 변환하여 선형성을 맞추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도 1에 일반적인 VT 곡선이 도시되어 있다. VT 곡선의 로그 함수의 기울기는 주로 1.5 ~ 3 사이의 값을 사용하였다.The commonly used gamma correction uses a method of adjusting linearity by converting a VT-curve into a logarithmic function in that human visual characteristics are similar to a logarithmic function. A typical VT curve is shown in FIG. The slope of the logarithmic function of the VT curve mainly used a value between 1.5 and 3.
그러나, 종래에 사용되는 감마 곡선 값들을 표시 장치에 적용하여 이미지를 표시해 본 결과, 표시 장치와 인간의 시각 인지 특성의 차이를 제대로 매칭시켜 주지 못하여, 섬세한 계조 표시가 안되고, 휘도(Brightness)의 분포가 불균일하여 이미지가 거칠게 표현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However, as a result of displaying the image by applying the gamma curve values used in the prior art to the display device, the difference between the display device and the human visual perception characteristics cannot be matched properly, so that delicate gray scale display is not possible and the distribution of brightness Was uneven, resulting in a rough image.
그러므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PWM(pulse width modulation) 방식으로 구동되는 표시 장치에서, 인간의 시각 인지 특성과 표시 장치의 차이를 매칭시키고자 하는데 있다. Therefore, the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 and to match the difference between the human visual perception characteristics and the display device in a display device driven by a pulse width modulation (PWM) method.
이러한 기술적 과제는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표시 장치의 구동 장치는 다수의 제1 전극과 다수의 제2 전극이 각각 행과 열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게이트 라인과 데이터 라인의 교차로 정의되는 영역에 다수의 화소가 형성되어 있는 표시 패널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구동 장치로서, 상기 제1 전극으로 스캔 신호를 공급하는 제1 구동부; 상기 제2 전극으로 데이터 펄스 신호를 공급하는 제2 구동부; 상기 스캔 신호를 생성 및 공급하며, 계조별 휘도값을 토대로 상기 데이터 펄스의 간격을 변환시켜 상기 제2 구동부로 출력하는 패널 제어부를 포함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riving device of a display device includes a plurality of first electrodes and a plurality of second electrodes formed in rows and columns, respectively, and define intersections of the gate lines and data lines. A driving device of a display device including a display panel in which a plurality of pixels are formed in a region, the driving device comprising: a first driver supplying a scan signal to the first electrode; A second driver supplying a data pulse signal to the second electrode; And a panel controller which generates and supplies the scan signal and converts the interval of the data pulse based on the luminance value of each gray level to output the scan signal to the second driver.
여기서, 상기 패널 제어부는 상기 계조별 휘도값을 토대로 기준 클락 신호의 체배 개수를 결정하는 개수 설정 신호, 상기 체배 개수가 적용되는 구간의 시작 위치와 종료 위치를 각각 나타내는 시작 신호 및 종료 신호를 생성하는 비교부; 상기 체배 개수 설정 신호에 따라 입력되는 기준 클락 신호를 체배하여 상기 시작 신호 및 종료 신호에 의해 정의되는 구간 동안 출력하는 기준 클락 변환부, 상기 체배된 기준 클락 신호를 토대로 간격이 변화되는 데이터 펄스를 출력하는 신호 출력부를 포함하는 PWM 생성부를 포함한다. Here, the panel control unit generates a number setting signal for determining the multiplication number of the reference clock signal based on the luminance value of each gray level, a start signal and an end signal for respectively indicating a start position and an end position of a section to which the multiplication number is applied. Comparator; A reference clock converter for multiplying a reference clock signal input according to the multiplication number setting signal and outputting the reference clock signal for a period defined by the start signal and an end signal, and outputting a data pulse whose interval is changed based on the multiplied reference clock signal And a PWM generator including a signal output unit.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른 표시 장치는 다수의 제1 전극과 다수의 제2 전극이 각각 행과 열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게이트 라인과 데이터 라인의 교차로 정의되는 영역에 다수의 화소가 형성되어 있는 표시 패널; 상기 제1 전극으로 스캔 신호를 공급하는 제1 구동부; 상기 제2 전극으로 데이터 펄스 신호를 공급하는 제2 구동부; 상기 스캔 신호를 생성 및 공급하며, 계조별 휘도값을 토대로 상기 데이터 펄스의 간격을 변환시켜 상기 제2 구동부로 출력하는 패널 제어부를 포함한다. In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first electrodes and a plurality of second electrodes are formed in rows and columns, respectively, and a plurality of pixels are formed in an area defined by the intersection of the gate line and the data line. Display panel; A first driver supplying a scan signal to the first electrode; A second driver supplying a data pulse signal to the second electrode; And a panel controller which generates and supplies the scan signal and converts the interval of the data pulse based on the luminance value of each gray level to output the scan signal to the second driver.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른 표시 장치는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제1 기판 및 제2 기판, 상기 제1 기판의 대향면 상에 형성되어 있으며, 일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다수의 제1 전극, 상기 제2 기판의 대향면 상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전극과 교차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다수의 제2 전극, 상기 제1 전극과 제2 전극의 교차 영역에 해당하는 상기 제1 전극 상에 각각 형성되어 있는 전자 방출원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 상기 제1 전극으로 스캔 신호를 공급하는 제1 구동부; 상기 제2 전극으로 데이터 펄스 신호를 공급하는 제2 구동부; 및 상기 스캔 신호를 생성 및 공급하며, 계조별 휘도값을 토대로 상기 데이터 펄스의 간격을 변환시켜 상기 제2 구동부로 출력하는 패널 제어부를 포함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isplay device includes a first substrate and a second substrate that are disposed to face each other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are formed on opposite surfaces of the first substrate and are formed in one direction. A first electrode, a plurality of second electrodes formed on the opposite surface of the second substrate and formed to intersect the first electrode, and the first electrode corresponding to an intersection region of the first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A display panel including an electron emission source respectively formed on the display panel; A first driver supplying a scan signal to the first electrode; A second driver supplying a data pulse signal to the second electrode; And a panel controller which generates and supplies the scan signal and converts the interval of the data pulse based on the luminance value of each gray level to output the scan signal to the second driver.
이러한 특징을 가지는 본 발명은, 계조별로 상기 표시 장치의 방출 전류의 변화량이 적은 부분에서는 상기 데이터 펄스의 간격이 넓어지고, 계조별로 상기 표시 장치의 방출 전류의 변화량이 큰 부분에서는 상기 데이터 펄스의 간격이 좁아지며, 계조별로 상기 표시 장치의 방출 전류가 비례적으로 변화되는 부분에서는 상기 데이터 펄스의 간격이 등 간격으로 이루어진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characteristics, the interval between the data pulses is widened at a portion where the change of the emission current of the display device is small for each gray level, and the interval between the data pulses is at a portion where the change amount of the emission current of the display device is large for each gray level. The data pulses are narrowed and the data pulses are equally spaced at portions where the emission current of the display device is proportionally changed for each gray level.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As those skilled in the art would realize, the described embodiments may be modified in various different ways, all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in order to clearly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and like reference numerals designate like par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이하의 실시 예는 전계 방출 표시 장치에서 인간의 시각 인지 특성과 전계 방출 표시 장치간의 차이를 매칭시키는 것에 대하여 설명하나,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는 전계 방출 표시 장치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PWM 방식으로 구동되는 모든 표시 장치에 적용 가능하다. In the following embodiment, the difference between the visual perception characteristic of the human being and the field emission display device is matched in the field emission display device, but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field emission display device. Applicable to all display devices driven.
전계 방출 표시 장치(FED, field emission display)는 냉음극 전자를 전자 방출원으로 사용하여 이미지 형성을 하는 표시 장치이다. A field emission display (FED) is a display device that forms an image using cold cathode electrons as an electron emission source.
도 2에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계 방출 표시 장치의 하부 기판의 개략적인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3에 전계 방출 표시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이 도시되어 있다. FIG. 2 is a schematic plan view of a lower substrate of a field emission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the field emission display device.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계 방출 표시 장치는 서로 마주보며 떨어져 있는 두 개의 유리 기판(1, 2)을 포함한다. 유리 기판(하부 기판)(1) 위에는 복수의 게이트 전극(10)이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세로 방향으로 뻗어 있다. 게이트 전극(10)은 절연막(20)으로 덮여 있으며, 절연막(20)은 유리질, SiO2, 폴리이미드(polyimide), 니트라이드(nitride) 또는 이들의 조합이나 이들의 적층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As illustrated in FIGS. 2 and 3, the field emission display device includes two
절연막(20) 위에는 복수의 캐소드 전극(30)이 일정한 간격을 두고 가로 방향으로 뻗어 있다. 서로 직교하는 캐소드 전극(30)과 게이트 전극(10)이 만나는 영역에 하나의 화소 영역이 형성된다. 그리고 각 화소 영역에 위치하는 캐소드 전극(30) 위에는 전자 방출층(40)이 형성되어 전자 방출층(40)을 통해 전자가 방출되도록 한다. 도 2 및 도 3에서, 전자 방출층(40)은 캐소드 전극(30)의 가장자리와 절연막(20)에 걸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전자 방출충(40)의 형성 위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전자 방출층(40)은 캐소드 전극(30)의 중심부나 캐소드 전극(30)의 한쪽 가장자리에만 형성될 수 있으며, 또는 캐소드 전극(30)의 양쪽 가장자리에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전자 방출층(40)은 탄소 나토뉴브, C60(fulleren), 다이아몬드, DLC(diamond like carbon), 그라파이트 또는 이들의 조합 등과 같이 탄소계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On the
한편, 본 실시 예와는 달리, 절연막(20)이 게이트 전극을 드러내는 접촉 구멍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접촉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부분의 위에 도전 물질로 이루어지는 대향 전극이 형성되고, 대향 전극은 접촉 구멍을 통하여 게이트 전극과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On the other hand, unlike the present embodiment, the
그리고 유리 기판(상부 기판)(2) 위에는 ITO(indium tin oxide) 또는 IZO(indium zinc oxide) 등의 투명한 도전 물질로 이루어지는 다수의 애노드 전극(50)이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세로 방향으로 뻗어 있다. On the glass substrate (upper substrate) 2, a plurality of
애노드 전극(50) 위에는 형광막(60)이 형성되어 있으며, 형광막(60)에는 화소 영역에 대응하여 R, G, B 형광 물질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R, G, B 형광 물질로 이루어지는 화소 영역이 하나의 R, G, B 화소를 형성한다.The
유리 기판(1, 2) 사이에는 그리드 전극(70, 또는 메쉬(mesh) 전극)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그리드 전극(70)은 얇은 금속 시트 상에 상기 화소 영역에 대응하는 위치에 개구부(aperture)가 형성되어 있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즉, 개구부는 하나의 화소 영역에 일대일로 대응하며, 이 화소 영역에 대응하는 형광막(60)에는 R, G, B 형광체가 형성되어 있다. A
유리 기판(1)과 그리드 전극(70) 사이 및 유리 기판(2)과 그리드 전극(70) 사이에는 각각 스페이서(도시하지 않음)가 형성되어 그리드 전극(70)이 유리 기판(1, 2) 사이에 고정되어 있다. 이러한 스페이서(도시하지 않음)는 유리 기판(1, 2)의 비화소 영역에 형성되어 있다. Spacers (not shown) are formed between the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지는 전계 방출 표시 장치에서, 게이트 전극(10)에 전압이 인가되면, 게이트 전압에 의한 전기장이 절연층(20)을 투과하여 전자 방출원(40)에 강한 전기장이 형성되어 전계 방출에 의하여 전자가 방출된다. In the field emission display device having such a structure, when a voltage is applied to the
예를 들어, 애노드 전극(50)에 높은 레벨의 DC 전압(Va)이 인가되고 게이트 전극(10)에 낮은 레벨의 DC 전압(Vg)이 인가된다. 그리드 전극(70)에는 애노드 전압(Va)보다는 낮고 게이트 전압(Vg)보다는 높은 레벨의 전압(Vm)이 인가된다. 그리고 선택되지 않은 캐소드 전극에는 메시 전압(Vm)보다는 높은 레벨의 전압이 인 가되며 선택된 캐소드 전극에는 음의 전압(Vc)이 인가된다. For example, a high level of DC voltage Va is applied to the
그러면, 캐소드 전극(30)과 게이트 전극(10)의 전압차(Vg-Vc)에 의해 형성된 전계에 의해 전자 방출층(40)에서 전자가 방출되며, 그리드 전극(70)에 인가된 전압(Vm)에 의해 전자는 그리드 전극(70)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하여 통과한다. 그리드 전극(70)의 개구부를 통과한 전자는 개구부에 대응하는 유리 기판(2) 위의 형광막(60)에 도달하게 되어 형광막(60)에 형성된 형광체에 대응하는 색이 표시된다. Then, electrons are emitted from the
이와 같이, 동작하는 전계 방출 표시 장치에서 게이트 전극 또는 캐소드 전극에 인가되는 데이터 전압에 따른 방출 전류(emission current) 특성을 살펴보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도 4는 전계 방출 표시 장치의 전압-전류 특성을 나타낸다. As described above, the emission current characteristic according to the data voltage applied to the gate electrode or the cathode electrode in the field emission display device is as shown in FIG. 4. 4 shows voltage-current characteristics of the field emission display.
도 4에 도시되어 있듯이, 전압-전류 특성은 크게 세 부분으로 나눌 수 있다. 즉, 처음 전압을 인가하기 시작할 때(Black) 전압이 변화해도 방출 전류의 변화가 거의 없는 부분, 매우 큰 전압을 인가했을 때(White) 전압이 조금만 변화해도 방출 전류의 변화가 급격하게 이루어지는 부분, 그리고, 인가 전압에 대해 거의 비례적으로 방출 전류가 변화되는 중간 부분으로 나뉘어진다. 따라서, 중간 밝기의 계조를 표시하기 위해서는 중간의 선형적인 구간을 주로 이용하게 된다. As shown in FIG. 4, the voltage-current characteristic can be divided into three parts. That is, when the voltage starts to be applied for the first time (Black), there is little change in the emission current even when the voltage is changed. Then, it is divided into an intermediate portion in which the emission current changes in proportion to the applied voltage. Therefore, in order to display the gradation of the medium brightness, the middle linear section is mainly used.
실제 이미지를 구현하는데 있어서는 일반적으로 인가 전압에 대해 방출 전류가 거의 선형적으로 변화하는 구간을 몇 단계로 나누어 계조를 표시하게 된다. 그런데 전압을 일정 간격으로 나누게 되면 방출 전류의 비선형적인 특성 때문에 방출 전류는 일정한 간격이 되지 못한다. 즉, 섬세한 이미지 표시를 위해서는 중간 부분 의 계조가 잘게 나누어져야 하는데, 전압을 일정하게 하여 계조를 나누게 되면 방출 전류의 분포가 어느 한쪽은 간격이 크게 되고 다른 한쪽은 작게 되어 휘도의 분포가 불균일하게 된다. 이런 상태로 이미지를 표시하게 되면 섬세한 계조 표시가 어렵고 결국 이미지가 거칠어지게 된다.In the actual image implementation, the gray level is displayed by dividing the interval in which the emission current almost linearly changes with respect to the applied voltage in several steps. However, when the voltage is divided at regular intervals, the emission currents do not become constant due to the nonlinear nature of the emission currents. That is, in order to display a delicate image, the gradation of the middle part should be finely divided. When the gradation is divided by a constant voltage, the distribution of the emission current is large at one side and the other is small, resulting in uneven luminance distribution. . If the image is displayed in this state, it is difficult to display the delicate gradation and the image becomes rough.
따라서, 부드러운 이미지를 표시하기 위해서는 전압보다는 방출 전류를 일정한 간격으로 유지해 줄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는 계조 전압을 중간 부분은 좁게, White 쪽은 더 좁게, Black 쪽은 넓게 해줄 필요가 있다. Therefore, in order to display a smooth image, it is necessary to maintain the emission current at regular intervals rather than voltage. To do this, it is necessary to make the gradation voltage narrower in the middle part, narrower in the white part, and wider in the black part.
그러므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표시하고자 하는 이미지에 해당하는 데이터의 값들을 PWM의 간격을 이용하여 조절하여, 이미지를 사용자가 가장 보기 편한 명암, 색감으로 조절함으로써, 표시 장치와 인간의 시각 인지 특성간의 차이를 매칭한다. Therefore, in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adjusting the values of data corresponding to the image to be displayed using the PWM interval, the image is adjusted to the most comfortable contrast and color, so that the display device and human visual perception characteristics Match the differences between.
도 5에 이러한 감마 보정을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계 방출 표시 장치의 구동 장치의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5 illustrates a structure of a driving device of a field emission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correcting such gamma.
첨부한 도 5에 도시되어 있듯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계 방출 표시 장치의 구동 장치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지는 표시 패널(100)에서 이미지를 표시하기 위한, 데이터 처리부(200), 패널 제어부(300), 제1 구동부 및 제2 구동부(500)를 포함한다. As shown in FIG. 5, the driving device of the field emission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data for displaying an image on the
데이터 처리부(200)는 외부로부터 데이터(예를 들어, R, G, B 데이터) 또는 전계 방출 표시 장치의 구동을 위한 각종 제어 신호(예를 들어, 수직 및 수평 동기 신호(Vsync, Hsync), 기준 클락 신호 등)를 공급받아 표시 패널에 공급될 수 있는 형태로 변환한다. The
패널 제어부(300)는 데이터 처리부(200)로부터 제공되는 신호에 따라 타이밍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제1 구동부(400)로 공급하며, 제1 구동부(400)는 타이밍 제어 신호에 따라 순차적으로 스캔 펄스를 표시 패널(100)로 공급한다. 여기서, 스캔 펄스는 표시 패널(100)의 게이트 전극 또는 캐소드 전극으로 공급된다. 게이트 전극이 스캔 펄스에 따라 구동되는 스캔 전극으로 사용되면 캐소드 전극이 데이터 전극으로 이용되며, 캐소드 전극이 스캔 전극으로 사용되면 게이트 전극이 데이터 전극으로 사용된다. The
또한, 패널 제어부(300)는 데이터 처리부(200)로부터 제공되는 데이터에 해당하는 데이터 펄스를 제2 구동부(500)로 공급하며, 제2 구동부(500)는 데이터 펄스를 표시 패널(100)로 공급하여 데이터 펄스의 계조값에 해당하는 이미지가 표시되도록 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패널 제어부(300)는 데이터 펄스의 간격을 PWM 방식으로 조절하여 감마 보정을 수행한다. In addition, the
도 6에 이러한 감마 보정을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패널 제어부(300)의 부분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도 6에 도시된 것은 패널 제어부(300)의 구성 요소 중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감마 보정을 위한 부분만을 도시한 것이며, 패널 제어부(300)의 나머지 부분들은 이미 공지된 기술임으로, 여기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6 illustrates a partial structure of the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감마 보정을 위한 패널 제어부(300)는 도 6에 도시되어 있듯이, 기준 클락 신호(Inclk)와 휘도값(Bright)을 토대로 기준 클락 신호 의 체배 개수를 결정하는 개수 설정 신호(clknum)와, 각 체배값 구간의 시작 위치와 종료 위치를 각각 결정하는 시작 신호(S-num)와 종료 신호(E-num)를 각각 생성하는 비교부(310)와, 비교부(310)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간격이 변화되는 데이터 펄스(PWMCLK)를 생성하는 PWM 생성부(320)를 포함한다. PWM 생성부(320)는 구체적으로, 비교부(310)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토대로 입력되는 기준 클락 신호(Inclk)를 체배하여 출력하는 기준 클락 변환부(321) 및 체배된 기준 클락 신호(Inclk)를 토대로 간격이 변화되는 데이터 펄스를 생성하는 신호 출력부(322)로 이루어진다. As shown in FIG. 6, the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계 방출 표시 장치의 구동 장치의 동작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외부의 도시하지 않은 비디오 처리기로부터 제공되는 아날로그 형태의 R, G, B 데이터가 입력되면 데이터 처리부(200)는 이러한 R, G, B 데이터를 디지털 데이터로 처리하여 출력하며, 또한, 각종 제어 신호를 토대로 전계 방출 표시 장치의 구동에 필요한 제어 신호로 처리하여 패널 제어부(300)로 제공한다. Referring to the operation of the driving device of the field emission display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structure in more detail, when analog, R, G, B data provided from an external video processor (not shown) is inputted, The
패널 제어부(300)의 비교부(310)는 데이터 처리부(200)로부터 입력되는 기준 클락 신호(Inclk)에 따라 입력되는 계조별 휘도값(Bright)과 자체의 LUT(look up table)에 저장되어 있는 휘도값을 비교하여 PWM 펄스 생성을 위한 기준 클락 신호의 체배 개수를 설정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LUT에는 각 계조별 휘도값에 대응하여 기준 클락 신호의 체배 개수를 설정하는 신호값과, 각 체배값이 적용되는 구간을 나타내는 구간 값이 저장되어 있다. 따라서, 비교부(310)는 입력되는 휘도 값을 토대로 LUT를 체크하여 해당 휘도값에 대응되어 있는 신호값에 따라 기준 클락 신호의 체배 개수를 결정하는 개수 설정 신호(clknum)를 출력하고, 또한 상기 휘도값에 대응되어 있는 구간값에 따라 각 체배값 구간의 시작 위치와 종료 위치를 각각 결정하는 시작 신호(S-num)와 종료 신호(E-num)를 생성한다. 이와 같이 생성된 신호들은 PWM 생성부(320)로 입력된다. The
PWM 생성부(320)의 기준 클락 변환부(321)는 비교부(310)에서 출력되는 개수 설정 신호(clknum)에 해당하는 만큼 기준 클락 신호(Inclk)를 체배하고 시작 신호(S-num) 및 종료 신호(E-num)에 해당하는 구간 동안 체배된 기준 클락 신호를 출력한다. 이에 따라 신호 출력부(322)가 체배된 기준 클락 신호에 따라 데이터 펄스의 간격을 조정하여 제2 구동부(500)로 출력한다. 따라서, 계조 레벨에 따라 간격이 변화된 데이터 펄스가 표시 패널(100)로 인가됨으로써, 해당하는 계조 표시가 이루어지게 된다. 이 때, 데이터 펄스는 표시 패널(100)의 게이트 전극 또는 캐소드 전극으로 공급된다. The
도 7에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 펄스의 출력 예가 도시되어 있다. 첨부한 도 7에 예시되어 있듯이, 위에 기술된 기준 클락 신호의 체배 개수 조절에 따라 방출 전류의 변화가 거의 없는 계조 레벨에서는 데이터 펄스의 간격을 넓히고, 방출 전류의 변화가 급격하게 발생되는 계조 레벨에서는 데이터 펄스의 간격을 좁힌다. 그리고 방출 전류가 선형적으로 발생되는 계조 레벨에서는 데이터 펄스의 간격을 등 간격으로 조절한다. 7 illustrates an example of outputting a data puls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illustrated in FIG. 7, the interval of the data pulse is widened at the gradation level at which the emission current is hardly changed by adjusting the multiplication number of the reference clock signal described above, and at the gradation level at which the emission current changes rapidly. Reduce the interval of data pulses. In the gray level where the emission current is linearly generated, the data pulses are adjusted at equal intervals.
이와 같이, 데이터 펄스의 간격을 조절하기 위한 기준 클락 신호를 계조 레 벨에 따라 체배시켜 데이터 펄스의 주기를 각 계조 레벨별로 차등 제어함으로써, 방출 전류를 일정한 간격으로 유지시킬 수 있다. 도 8에 이러한 감마 보정에 따른 계조별 데이터 전압의 특성 곡선이 도시되어 있다. In this way, the reference clock signal for adjusting the interval of the data pulse is multiplied according to the gradation level to differentially control the period of the data pulse for each gradation level, so that the emission current can be maintained at a constant interval. 8 illustrates a characteristic curve of data voltages for each gray level according to the gamma correction.
비록, 본 발명이 가장 실제적이며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은 상기 개시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후술되는 특허청구범위 내에 속하는 다양한 변형 및 등가물들도 포함한다.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most practical and preferred embodiment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disclosed embodiments, but also includes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s within the scope of the following claims.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PWM(pulse width modulation) 방식으로 구동되는 표시 장치에서, 인간의 시각 인지 특성과 표시 장치간의 차이를 매칭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표시 장치의 시인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 display device driven by a pulse width modulation (PWM) method, a difference between a human visual recognition characteristic and a display device may be matched. Thereby, the visibility of a display apparatus can be improved more.
Claims (10)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30055832A KR100927709B1 (en) | 2003-08-12 | 2003-08-12 | Display device and driving device thereof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30055832A KR100927709B1 (en) | 2003-08-12 | 2003-08-12 | Display device and driving device thereof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050018030A KR20050018030A (en) | 2005-02-23 |
| KR100927709B1 true KR100927709B1 (en) | 2009-11-18 |
Family
ID=37227629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030055832A Expired - Fee Related KR100927709B1 (en) | 2003-08-12 | 2003-08-12 | Display device and driving device thereof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0927709B1 (en) |
Citations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9990072693A (en) * | 1998-02-16 | 1999-09-27 | 미따라이 하지메 | Image forming apparatus, electron beam apparatus, modulation circuit, and image-forming apparatus driving method |
| KR20030007437A (en) * | 2000-12-22 | 2003-01-23 | 가부시키가이샤 휴네트 | Liquid crystal drive apparatus and gradation display method |
| KR20030013299A (en) * | 2001-08-01 | 2003-02-14 |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 Drive control device for a display apparatus, video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tg the driving of the video image display apparatus |
-
2003
- 2003-08-12 KR KR1020030055832A patent/KR100927709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9990072693A (en) * | 1998-02-16 | 1999-09-27 | 미따라이 하지메 | Image forming apparatus, electron beam apparatus, modulation circuit, and image-forming apparatus driving method |
| KR20030007437A (en) * | 2000-12-22 | 2003-01-23 | 가부시키가이샤 휴네트 | Liquid crystal drive apparatus and gradation display method |
| KR20030013299A (en) * | 2001-08-01 | 2003-02-14 |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 Drive control device for a display apparatus, video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tg the driving of the video image display apparatus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050018030A (en) | 2005-02-23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JP2004272156A (en) | Image display device | |
| CN100571349C (en) | Electron emission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 |
| JP2006505000A (en) | Gray scale gamma correc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EL display | |
| JP2000221945A (en) | Matrix type display device | |
| US8259039B2 (en) |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driving display panel | |
| JP2007079530A (en) | Field emission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 |
| US6166490A (en) | Field emission display of uniform brightness independent of column trace-induced signal deterioration | |
| JP2003122305A (en) | Organic el display device and its control method | |
| JP2006309126A (en) | Electron emitting device driving apparatus and driving method thereof | |
| KR100927709B1 (en) | Display device and driving device thereof | |
| KR20070109030A (en) | Electron-emitting display device and its driving method | |
| Cho et al. | Improvement of low gray scale linearity using multi-luminance-level subfield method in plasma display panel | |
| US20090160744A1 (en) | Light emitting device and display using the light emitting device, and method of driving the light emitting device | |
| JP2001331143A (en) | Display method and display device | |
| KR20070083128A (en) | Electron-emitting display device and its driving method | |
| KR20060104222A (en) | Driving device of electron emission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 |
| KR20070059349A (en) | Electron-emitting display device and its driving method | |
| KR100965577B1 (en) | LCD and its driving method | |
| JP2005078017A (en) | Device and method for luminance adjustment, and image display unit | |
| US6975289B1 (en) | Active correction technique for a magnetic matrix display | |
| JP3863417B2 (en) | Driving method of flat display device | |
| KR20060037882A (en) | Brightness control device for flat panel display and brightness control method thereof | |
| KR20070064101A (en) | Electron-emitting display device and its driving method | |
| JP2006106143A (en) | Display device and display method | |
| CN100371961C (en) | Electron emission display and driving method thereof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
|
| R17-X000 |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 E13-X000 |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1022 Year of fee payment: 4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1024 Year of fee payment: 5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141113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41113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