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89845B1 - Refrigerator Ice Maker - Google Patents
Refrigerator Ice Mak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889845B1 KR100889845B1 KR1020050088914A KR20050088914A KR100889845B1 KR 100889845 B1 KR100889845 B1 KR 100889845B1 KR 1020050088914 A KR1020050088914 A KR 1020050088914A KR 20050088914 A KR20050088914 A KR 20050088914A KR 100889845 B1 KR100889845 B1 KR 10088984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ce
- ice making
- water
- space
- curved portio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Lifetim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22—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 F25C1/24—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for refrigerators, e.g. freezing tray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00—Auxiliary features or devices for 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04—Ice guide, e.g. for guiding ice blocks to storage tan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roduction, Working, Storing, Or Distribution Of Ice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장고용 제빙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얼음을 제조하기 위한 물이 담기는 제빙공간(32')이 형성되어 있는 제빙용기(32)와; 상기 제빙용기(32)의 일측에 설치되어 내부에 구비된 모터와 같은 구동장치를 외부와 차폐시키고, 상기 제빙용기(32)의 일측면과 연접되는 부위에 오목하게 들어간 함몰부(43)가 구비되는 구동유니트(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ce maker for a refrigerator.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n ice making container 32 in which an ice making space 32 'containing water for making ice is formed; A recess 43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ice making container 32 to shield a driving device such as a motor provided therein from the outside and is recessed in a portion connected to one side surface of the ice making container 32.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drive unit 40 that is.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용 제빙기는 물이 케이싱(41)의 표면을 따라 하부로 흘러 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Such an ice maker for a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dvantage of preventing water from flowing downward along the surface of the casing 41.
제빙기, 구동유니트, 함몰부, 제1곡면부, 제2곡면부 Ice maker, drive unit, depression, first curved part, second curved part
Description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냉장고용 제빙기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refrigerator ice mak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용 제빙기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an ice maker for a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이빙레버가 제거된 상태에서 일부 구성을 보인 사시도.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art of the configuration in the state the ebbing lever constituting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removed.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30:제빙기 32:제빙용기30: ice machine 32: ice machine
32':제빙공간 34:구획부32 ': Ice space 34: Compartment
36:결합부 38:스트리퍼36: coupling part 38: stripper
40:구동유니트 41:케이싱40: Drive unit 41: Casing
42:장착보스 42a:관통공42: mounting
43:함몰부 43a:제1곡면부43:
43b:제2곡면부 43c:연결부 43b: second
44:이빙레버 46:검빙레버44: Iving lever 46: Gumbling lever
본 발명은 제빙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냉장고 내부에 설치되어 공급받은 물로 얼음을 만들어 내는 냉장고용 제빙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ce maker, and more particularly, to an ice maker for a refrigerator for making ice with water supplied and installed inside the refrigerator.
제빙기란 물을 공급받아 얼음을 제조하고 이를 보관 얼음저장용기에 이송시키는 장치로 최근 냉장고가 대형화되고 자동화 됨에 따라 일반적인 구성요소로 자리잡고 있다. An ice maker is a device that manufactures ice by supplying water and transfers it to a storage ice storage container. As the refrigerator has recently been enlarged and automated, it has become a common component.
이하 종래 기술에 의한 냉장고용 제빙기에 대해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Hereinafter, a refrigerator ice maker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1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냉장고용 제빙기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빙기(2)에는 물을 공급받아 얼음을 제조하는 제빙용기(4)가 구비된다. 상기 제빙용기(4)에는 도시되지 않은 급수관튜브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담을 수 있는 제빙공간(4')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빙공간(4')에는 제빙공간(4')에서 만들어지는 얼음이 원활하게 분리되게 하는 복수개의 구획부(6)가 소정간격을 두고 구비되어 있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refrigerator ice mak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As shown in the figure, the
한편, 상기 제빙기(2)의 일측에는 상기 제빙용기(4)와 연접되게 구동유니트(8)가 구비된다. 상기 구동유니트(8)의 외관은 케이싱(9)이 형성하고, 상기 구동유니트(8)의 내부에는 상기 제빙기(2)의 동작을 조절하는 구동장치 및 제어장치 등이 위치된다.On the other hand, one side of the
그리고, 상기 케이싱(9)의 일측에는 상기 제빙용기(4)의 하방에 구비되는 얼음저장용기(미도시)에 얼음이 가득차 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검빙레버(10)가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And, one side of the casing (9) is rotatably provided with an ice detection lever (10) for detecting whether the ice is filled in the ice storage container (not shown) provided below the ice making container (4).
도면 중 미설명부호 12는 제빙용기(4)에서 만들어진 얼음이 상기 제빙용기(4) 하부에 위치되는 얼음저장용기(미도시)로 정확하게 떨어지게 하는 스트리퍼다. In the drawing,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above conventional technologies have the following problems.
즉, 종래에는 저장물이 저장되는 저장공간인 냉동실에 제빙기(2)가 설치되어 왔으나, 근자에는 상기 저장공간을 크게 확보하기 위해 제빙기(2)를 저장공간이 아닌 저장공간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저장공간도어측에 설치하는 제품이 출시되고 있다.That is, in the past, the
이와 같이, 저장공간도어측에 제빙기(2)가 설치되는 제품에는 저장공간도어를 사용자가 개폐함에 따라 아직 얼지 않은 채 제빙공간(4')에 담겨 있는 물이 저장공간도어의 회전에 따른 원심력의 작용으로 사방으로 튀게 된다.As described above, in the product where the
특히, 상기 제빙공간(4')에 담긴 물이 제빙용기(4)와 연접되어 있는 케이싱(9)의 일측면에 튀게 되는 경우 상기 케이싱(9)의 일측면은 평평한 면으로 형성되어 있어, 종래기술에서는 물이 상기 제빙공간(4')에 다시 유입되지 못하고 케이싱(9)의 표면을 따라 하부로 흘러 내리는 문제점이 있다.In particular, when the water contained in the ice making space (4 ') is splashed on one side of the casing (9) in contact with the ice making container (4), one side of the casing (9) is formed of a flat surface, In the technique, there is a problem that water does not flow back into the ice making space 4 'and flows downward along the surface of the
또한, 종래기술에서는 케이싱(9)에 튄 물이 제빙공간(4') 이외에 다른 부위에 얼게 되어 검빙레버(10)와 같은 제빙기(2)를 구성하는 부품의 작동을 방해하는 문제점도 있다.In addition, in the related art, water splashed on the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제빙공간에 공급된 물이 제빙공간의 외부로 유출되지 않게 하는 냉장고용 제빙 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as described above, and to provide an ice maker for a refrigerator so that water supplied to the ice making space does not flow out of the ice making spac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제빙공간에서 빠져 나온 물에 의해 제빙기의 동작이 방해받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event the operation of the ice maker from being disturbed by the water exiting the ice making spac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얼음을 제조하기 위한 물이 담기는 제빙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제빙용기와; 상기 제빙용기의 일측에 설치되어 내부에 구비된 모터와 같은 구동장치를 외부와 차폐시키고, 상기 제빙용기의 일측면과 연접되는 부위에 오목하게 들어간 함몰부가 구비되는 구동유니트;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ccording to 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n ice making container having an ice making space containing water for producing ice; And a drive unit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ice making container to shield a driving device such as a motor provided therein from the outside and having a recessed portion recessed in a portion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ice making container.
상기 함몰부는 상기 제빙공간에 튄 물을 다시 제빙공간으로 안내하는 제1곡면부와; 상기 제1곡면부와 서로 마주보게 형성되고, 상기 제빙공간에 튄 물을 다시 제빙공간으로 안내하는 제2곡면부;를 구비한다.The depression includes a first curved portion for guiding the water splashed in the ice making space back to the ice making space; And a second curved portion formed to face the first curved portion and guiding water splashed in the ice making space back to the ice making space.
상기 제1곡면부와 상기 제2곡면부는 상기 함몰부의 하방에 구비되어 얼음을 이동시키는 이빙레버가 설치되는 장착보스와 만난다.The first curved portion and the second curved portion meet with a mounting boss provided under the depression to install an ice lever for moving ice.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용 제빙기는 물이 케이싱(41)의 표면을 따라 하부로 흘러 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Such an ice maker for a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dvantage of preventing water from flowing downward along the surface of the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용 제빙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refrigerator ice ma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2에는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용 제빙기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이빙레버가 제거된 상태에서 일부 구성을 보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icemaker for a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artial configuration in a state in which the ice lever constituting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removed.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물을 공급받아 얼음을 제조하고 이를 보관 얼음저장용기에 이송시키는 제빙기(30)는 저장공간도어측에 구비된다. 상기 저장공간도어는 저장공간인 냉동실과 냉장실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냉장고본체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빙기(30)는 냉동실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저장공간도어측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As shown in these figures, the
이와 같은 제빙기(30)에는 얼음을 얼리기 위한 제빙용기(32)가 구비된다. 상기 제빙용기(32)에는 도시되지 않은 급수관튜브를 통해 공급되는 물이 담기는 제빙공간(32')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빙용기(32)의 내부에는 상기 제빙공간(32')을 복수개의 구획으로 분할하는 구획부(34)가 구비된다. 상기 구획부(34)는 상기 제빙공간(32')에서 만들어지는 얼음을 작은 단위로 원활하게 분리되게 하는 역할을 한다.The
상기 제빙용기(32)의 일측벽에는 상방으로 연장형성된 결합부(36)가 구비된다. 상기 결합부(36)는 저장공간도어의 일측에 체결되는 부분으로, 상기 제빙기(30)를 저장공간도어에 지지되게 하는 역할을 한다.One side wall of the
상기 제빙용기(32)의 상부에는 스트리퍼(38)가 구비된다. 상기 스트리퍼(38)는 폭이 좁고 길이가 긴 복수개의 리브형상이 소정간격을 두고 연결되어 있다. 이와 같은 스트리퍼(38)는 제빙용기(32)에서 만들어진 얼음이 상기 제빙용기(32) 하부에 위치되는 얼음저장용기로 정확하게 떨어지게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빙용기(32)의 하부에는 완성된 얼음이 상기 제빙용기(32)에서 분리되도록 소량의 열을 가하기 위한 히터(미도시)가 설치되어 있다. The
상기 제빙기(30)의 일측에는 구동유니트(40)이 구비된다. 상기 구동유니트(40)의 외관은 케이싱(41)이 형성하고, 구동유니트(40)의 내부에는 상기 제빙기(30)의 동작을 조절하는 구동장치 및 제어장치 등이 위치된다. One side of the
상기 케이싱(41)의 일측면에는 장착보스(42)가 돌출되게 구비된다. 상기 장착보스(42)에는 관통공(42a)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관통공(42a)을 통해 상기 구동유니트(40)의 내부에 구비되는 구동장치가 아래에서 설명될 이빙레버(44)와 연결된다. 이와 같은 관통공(42a)에는 이빙레버(44)의 일단이 삽입된다. 한편, 상기 장착보스(42)의 외주면은 원형으로 형성되어 있어, 상기 외주면을 통하여 아래에서 설명될 함몰부(43)에 튄 물이 제빙공간(32')에 유입된다. One side of the
상기 케이싱(41)의 일측면에는 오목하게 들어간 함몰부(43)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함몰부(43)는 상기 장착보스(42)의 상방에 위치되고, 대략 회전날개 형상을 가진다. 즉, 본 실시예에서 상기 함몰부(43)에는 소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제1곡면부(43a)와 제2곡면부(43b)가 구비된다. 상기 제1곡면부(43a)는 상기 함몰부(43)에 튄 물이 상기 제1곡면부(43a)를 이탈하여 이동하지 못하게 하는 역할을 하고, 상기 제2곡면부(43b)는 상기 함몰부(43)에 튄 물이 상기 제2곡면부(43b)를 이탈하여 이동하지 못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On one side of the
상기 함몰부(43)에는 함몰부(43)가 폐곡선이 되도록 상기 제1곡면부(43a)와 제2곡면부(43b)의 일단부를 연결하는 연결부(43c)가 구비된다. 상기 연결부(43c)는 상기 함몰부(43)에 튄 물이 함몰부(43)의 상방으로 이동하지 못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The
그리고, 상기 함몰부(43)는 두 개의 곡면부(43a,43b) 사이의 거리가 상기 관통공(42a) 방향으로 갈수록 작아지게 형성된다. 이와 같은 함몰부(43)는 상기 케이싱(41)의 측면에 튄 물이 상기 제빙공간(32')으로 유입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함몰부(43)는 상기 케이싱(41)의 측면에 튄 물을 상기 장착보스 방향으로 안내하여, 물이 제빙공간(32') 외부로 흘러 내리지 못하게 한다.The
한편, 상기 관통공(42a)에는 이빙레버(44)의 일단이 지지되게 삽입된다. 상기 이빙레버(44)는 상기 구동유니트(40)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구동모터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상기 제빙용기(32)에서 완전하게 제빙된 얼음을 제빙용기(32)의 외부로 취출하기 위하여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one end of the
그리고, 상기 케이싱(41)의 일측에는 상기 제빙용기(32)의 하방에 구비되는 얼음저장용기(미도시)에 얼음이 가득차 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검빙레버(46)가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In addition, one side of the
이하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용 제빙기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ice maker for a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본 발명에 의한 제빙기(30)는 냉동실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저장공간도어측에 설치된다. 상기 제빙용기(32)에 마련되어 있는 제빙공간(32')에는 도시되지 않은 급수관튜브를 통해 물이 공급된다. 상기 물은 제빙공간(32')에 담긴 후, 냉동실측에 공급되는 냉기에 의해 얼게 된다.
한편, 사용자는 상기 제빙공간(32')에 담기는 물이 어는지를 외부에서 육안 으로 확인할 수 없다. 그리고, 사용자는 저장공간 또는 저장공간도어에 저장된 음식물을 먹기 위해서 상기 저장공간도어를 자주 개폐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빙공간(32')에 담기는 물이 얼기 전에 저장공간도어를 개폐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user cannot visually check whether the water contained in the ice making space 32 'is frozen. In addition, the user frequently opens and closes the storage space door to eat food stored in the storage space or the storage space door. Accordingly, a case in which the storage space door is opened and closed before the water contained in the ice making space 32 'freezes.
이와 같이, 상기 제빙공간(32')에 담긴 물이 완전히 얼기 전에 저장공간도어를 열게 되면, 저장공간도어의 회전으로 상기 물에 원심력이 작용하여 물은 제빙공간(32')을 벗어나 상기 제빙용기(32)의 외부로 튀게 된다. As such, when the storage space door is opened before the water contained in the ice making space 32 'is completely frozen, the centrifugal force acts on the water by the rotation of the storage space door so that the water leaves the ice making space 32' and the ice making container Bounces out of (32).
특히, 물은 상기 제빙용기(32)가 연접되는 케이싱(41)의 측면에 튀게 된다. 그리고, 상기 물이 케이싱(41)에 튀는 범위는 본 발명에 구비된 함몰부(43)의 가장자리에 의해 형성되는 범위이다. 따라서, 상기 함몰부(43)에 튄 물은 함몰부(43)의 가장자리를 벗어나지 못하고 두 곡면부(43a,43b) 사이의 거리가 점점 작아지는 장착보스(42) 방향으로 흘러 내려 결국은 제빙공간(32')에 다시 흘러 들어가게 된다. 이와 같이, 저장공간도어가 자주 개폐됨에도 불구하고 물은 제빙공간(32')에서만 얼게 된다. In particular, water splashes on the side of the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될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The righ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to be described above, but are defined by the claim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adaptations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It is self-evident.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용 제빙기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In the ice maker for a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in detail above, the following effects can be expected.
즉, 케이싱에 오목하게 들어간 함몰부가 구비되게 하여, 제빙용기의 제빙공간에 담긴 물은 저장공간도어의 개폐에 따른 원심력에 의해 상기 케이싱 방향으로 튈 경우 상기 함몰부에 의해 안내되어 제빙공간으로 다시 이동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제빙공간에 담긴 물이 제빙공간 이외의 다른 부위로 흐르지 않게 하는 효과가 있다.That is, the recessed portion of the ice making container is recessed into the casing, and the water contained in the ice making space of the ice making container is guided by the depression when moved to the casing direction by the centrifugal force due to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storage space door, and moved back to the ice making space. do. 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effect that the water contained in the ice making space does not flow to other parts than the ice making space.
또한, 물이 제빙공간 이외의 다른 부위로 흐르지 않아 물이 제빙공간에서만 얼게 되어, 물이 검빙레버와 같은 제빙기를 구성하는 부품에서 얼게 되는 경우 발생하는 부품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In addition, since water does not flow to other parts other than the ice making space, water freezes only in the ice making space, thereby preventing damage to the parts that occur when the water is frozen in the parts constituting the ice maker, such as the ice detection lever.
Claims (3)
Priority Applications (1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50088914A KR100889845B1 (en) | 2005-09-23 | 2005-09-23 | Refrigerator Ice Maker |
| DE102006063089.0A DE102006063089B3 (en) | 2005-09-23 | 2006-09-21 | refrigerator door |
| DE102006044559.7A DE102006044559B4 (en) | 2005-09-23 | 2006-09-21 | refrigerator door |
| DE102006063049.1A DE102006063049B3 (en) | 2005-09-23 | 2006-09-21 | refrigerator door |
| DE102006063088.2A DE102006063088B3 (en) | 2005-09-23 | 2006-09-21 | refrigerator door |
| MXPA06010859A MXPA06010859A (en) | 2005-09-23 | 2006-09-22 | Refrigerator door. |
| US11/526,088 US7908882B2 (en) | 2005-09-23 | 2006-09-25 | Refrigerator door |
| US12/401,838 US8042353B2 (en) | 2005-09-23 | 2009-03-11 | Refrigerator door having a splash guide |
| US12/401,865 US7942017B2 (en) | 2005-09-23 | 2009-03-11 | Refrigerator door comprising an insulated duct for ice making air supply and discharge |
| US12/401,827 US8573719B2 (en) | 2005-09-23 | 2009-03-11 | Refrigerator door having a tube guide for supporting a water supply tube |
| US13/872,203 US8991205B2 (en) | 2005-09-23 | 2013-04-29 | Refrigerator doo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50088914A KR100889845B1 (en) | 2005-09-23 | 2005-09-23 | Refrigerator Ice Maker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070034336A KR20070034336A (en) | 2007-03-28 |
| KR100889845B1 true KR100889845B1 (en) | 2009-03-20 |
Family
ID=41347205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050088914A Expired - Lifetime KR100889845B1 (en) | 2005-09-23 | 2005-09-23 | Refrigerator Ice Maker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0889845B1 (en) |
Citations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H0611228A (en) * | 1992-06-29 | 1994-01-21 | Hitachi Ltd | Refrigerator with automatic ice machine |
| KR20040053700A (en) * | 2002-12-17 | 2004-06-24 | 엘지전자 주식회사 | Ice maker for refrigerator |
| JP2006153380A (en) * | 2004-11-30 | 2006-06-15 | Sanyo Electric Co Ltd | Refrigerator with automatic ice machine |
-
2005
- 2005-09-23 KR KR1020050088914A patent/KR100889845B1/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Patent Citations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H0611228A (en) * | 1992-06-29 | 1994-01-21 | Hitachi Ltd | Refrigerator with automatic ice machine |
| KR20040053700A (en) * | 2002-12-17 | 2004-06-24 | 엘지전자 주식회사 | Ice maker for refrigerator |
| JP2006153380A (en) * | 2004-11-30 | 2006-06-15 | Sanyo Electric Co Ltd | Refrigerator with automatic ice machine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070034336A (en) | 2007-03-28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KR101775403B1 (en) | Ice maker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 |
| CN101490486B (en) | Ice making device and refrigerator including same | |
| CN114174740B (en) | Ice-making components of refrigeration appliances | |
| KR101410754B1 (en) | Deicing device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 |
| AU2013206714B2 (en) | Refrigerator | |
| KR20140088693A (en) | Icemaker and controlling method of the same | |
| EP2054680B1 (en) | Ice maker | |
| KR20120007202A (en) | Refrigerator | |
| KR100795886B1 (en) | Ice maker | |
| JP5290706B2 (en) | refrigerator | |
| KR101519877B1 (en) | Ice maker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 |
| KR101179732B1 (en) | Ice making device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 |
| KR20160149571A (en) | Refrigerato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 |
| KR100889845B1 (en) | Refrigerator Ice Maker | |
| CN101231057B (en) | Ice maker for refrigerator | |
| KR100631557B1 (en) | Refrigerator ice maker | |
| KR20050100125A (en) | Structure of door for cold-chamber | |
| KR20080006235U (en) | Ice maker and refrigerator with same | |
| KR20090132401A (en) | Refrigerator with ice maker | |
| CN113767256B (en) | Refrigeration appliances with removable ice storage bin | |
| KR200212608Y1 (en) | Water supply pipe for ice cube maker of refrigerator | |
| WO2021155755A1 (en) | Ice storage box having kick plate for refrigeration appliance | |
| KR20090030689A (en) | Ice bank in refrigerator | |
| KR101944294B1 (en) | Ice maker and refrigerator including the same | |
| KR20050100134A (en) | Top mount type refrigerator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50923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70719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50923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8072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90112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9031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9031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022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226 Year of fee payment: 5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022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224 Year of fee payment: 6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022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224 Year of fee payment: 7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22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224 Year of fee payment: 8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224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214 Year of fee payment: 9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214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214 Year of fee payment: 11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214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209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209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207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