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30678B1 -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ally executing application of mobile terminal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 Google Patents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ally executing application of mobile terminal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830678B1 KR100830678B1 KR20070005114A KR20070005114A KR100830678B1 KR 100830678 B1 KR100830678 B1 KR 100830678B1 KR 20070005114 A KR20070005114 A KR 20070005114A KR 20070005114 A KR20070005114 A KR 20070005114A KR 100830678 B1 KR100830678 B1 KR 10083067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pplication
- mobile terminal
- external device
- wipi
- search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Landscapes
- Telephone Function (AREA)
- Stored Programme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시스템에서의 이동단말의 어플리케이션 자동실행 방법 및 장치로서, 외장형 장치가 이동단말의 접속을 감지하면 상기 이동단말의 WIPI(Wireless Internet Platform for Interoperability)를 구동시키는 단계; 상기 WIPI가 구동되면 상기 이동단말에 탑재된 어플리케이션의 정보를 파악하여 상기 파악된 어플리케이션의 정보에 상기 외장형 장치에 연동하는 어플리케이션이 있는 경우 상기 외장형 장치에 연동하는 어플리케이션의 구동을 상기 이동단말에 요청하는 단계; 상기 파악된 어플리케이션의 정보에 상기 외장형 장치에 연동하는 어플리케이션이 없는 경우 상기 이동단말에 어플리케이션의 다운로드를 명령하는 단계; 및 상기 이동단말로부터 어플리케이션이 다운로드되었음을 통보받으면 상기 이동단말에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명령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WIPI 구동은 소정의 WIPI 명령어의 조합을 통해 미리 정의한 명령어에 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ally executing an application of a mobile terminal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comprising: driving a wireless internet platform for interoperability (WIPI) of the mobile terminal when an external device detects a connection of the mobile terminal; When the WIPI is driven to determine the information of the application mounted on the mobile terminal, if there is an application linked to the external device in the information of the identified application requesting the mobile terminal to drive the application linked to the external device; step; Instructing the mobile terminal to download an application when there is no application linked to the external device in the determined application information; And instructing the mobile terminal to execute the application when notified that the application has been downloaded from the mobile terminal, wherein the WIPI driving is performed by a predetermined command through a combination of predetermined WIPI commands.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이동통신망에서 단말과 어플리케이션 서버와의 통신구조를 나타낸 도면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mmunication structure between a terminal and an application server in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단말의 블록 다이어그램 2 is a block diagram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단말의 자동실행모듈의 블록 다이어그램 3 is a block diagram of an automatic execution module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서버의 블록 다이어그램 4 is a block diagram of an application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서버의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부의 블록 다이어그램5 is a block diagram of an application service unit of the application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외장형 장치의 어플리케이션 자동실행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automatically executing an application of an extern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단말과 어플리케이션 서버의 통신과정을 나타낸 흐름도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mmunication process between a mobile terminal and an application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이동통신시스템에서의 이동단말의 어플리케이션 자동실행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단말 어플리케이션 아이디(ID)를 이용한 이동단말에서의 어플리케이션 자동실행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ally executing an application of a mobile terminal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ally executing an application in a mobile terminal using a terminal application ID.
최근 들어 이동단말에는 다양한 기능이 탑재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는 최근의 랩탑 컴퓨터의 성능과 같이 다양한 규격의 기술들을 지원하는 기능을 모두 탑재하는 데에는 단말의 크기나 가격 등의 면에서 매우 제한적이다. 따라서 이러한 한계들을 보완하기 위하여 이동단말과 연동되는 주변장치들이 계속해서 시장에 등장하고 있다. Recently, various functions have been mounted in mobile terminals. However, up to now, it is very limited in terms of the size and the price of the terminal to mount all the functions supporting various standard technologies such as the performance of the recent laptop computer. Therefore, peripheral devices that interoperate with mobile terminals continue to appear in the market to overcome these limitations.
예컨대, 이동통신 사업자들은 휴대폰의 24핀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네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 구동 및 위성항법장치(Global Positioning System) 데이터 전달, 건강 관련 혈당 연동 장치 개발 등 현재 이동단말에 내장하여 상용화하기는 어렵지만 사용자에게 필요한 틈새시장(Niche Market)용 장치 및 서비스가 개발되고 있다.For example, mobile operators are currently difficult to commercialize embedded mobile terminals, such as driving navigation applications, delivering global positioning system data, and developing health-related blood sugar linkage devices through the 24-pin external device interface of mobile phones. Devices and services for the Niche Market are being developed.
그러나 이러한 주변장치들을 이용하는 것 또한 사용자 입장에서는 구동 소프트웨어를 설치하여 운용하는 데에는 불편한 점이 많다. 따라서 사용자 입장에서 보다 편리하게 직관적인 방식으로 이동단말과 주변장치가 연동되는 것이 필요하다. 즉, 일반적인 이동단말의 주변장치에 대한 종래의 이용방법의 어려움을 극복하여 직관적인 방식으로 단말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하여 구동할 수 있는 방식이 요구된다. However, using these peripherals also has many inconveniences for the user to install and operate the driving software. Therefore, it is necessary for the mobile terminal and the peripheral device to be linked with each other in a more convenient and intuitive manner. In other words, there is a need for a method capable of downloading and driving a terminal application in an intuitive manner, overcoming the difficulties of the conventional method of using a peripheral device of a general mobile terminal.
정리하면, 사용자가 이동단말에 내장된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할 때에는 내장된 어플리케이션을 바로 이용하면 되지만 이동단말에 접속되는 외장형 장치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외장형 장치를 구동하는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 패키지를 다운로드하고 다운로드된 소프트웨어 패키지를 이동단말에 설치한 후 외장형 장치를 구동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In summary, when a user uses an application embedded in a mobile terminal, the user may use the built-in application immediately, but when using an external device connected to the mobile terminal, a software package including an application for driving the external device is downloaded and downloaded. There is a problem in that an application for driving an external device is used after installing a package in a mobile terminal.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보다 직관적으로 이동단말과 연동되는 외장형 장치들의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이동단말의 어플리케이션 자동실행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ally executing an application of a mobile terminal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that executes a corresponding application of external devices interworking with the mobile terminal more intuitively.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보다 직관적으로 이동단말과 연동되는 외부 장치들의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하는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이동단말의 어플리케이션 자동실행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ally executing an application of a mobile terminal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that downloads a corresponding application of external devices interworking with the mobile terminal more intuitively.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창안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장치는, 이동통신시스템에서의 이동단말의 어플리케이션 자동실행 장치로서, 외장형 장치와 접속할 수 있도록 하는 외장형 장치 인터페이스; 상기 외장형 장치 인터페이스에 외장형 장치가 접속되면, 상기 외장형 장치를 구동할 수 있는 해당 어플 리케이션을 자동으로 다운로드하거나 자동으로 실행하도록 하는 단말내의 다른 기능블록과 연동하는 자동실행모듈; 데이터 메모리들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외장형 장치의 해당 어플리케이션들을 저장하고 있을 수 있는 메모리; 및 상기 각 기능블록을 총괄하여 상기 이동단말의 어플리케이션 자동실행을 결정하기 위한 제어 데이터들을 발생시키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ccordance with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apparatus for automatically executing an application of a mobile terminal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includes: an external device interface for connecting with an external device; When the external device is connected to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an automatic execution module for interworking with other functional blocks in the terminal to automatically download or automatically execute the corresponding application capable of driving the external device; A memory, which may be configured as data memories, and may store corresponding applications of the external device; And a controller configured to collectively control each of the functional blocks to generate control data for determining automatic execution of an application of the mobile terminal.
여기서, 상기 자동실행모듈은, 외장형 장치 인터페이스에 외장형 장치가 접속되면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거나, 이동통신망에 접속된 어플리케이션 서버로부터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검색하고, 검색된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하여 실행하도록 이동단말에 탑재된 WIPI(Wireless Internet Platform for Interoperability)를 구동하는 WIPI 구동부; 상기 외장형 장치가 접속되면 해당 어플리케이션에 부여된 어플리케이션 아이디를 이용하여 해당 어플리케이션이 현재 이동단말에 존재하는지 검색하며, 존재하지 않는 경우 이동통신망을 통해 상기 해당 어플리케이션 아이디를 이용하여 어플리케이션 서버 내에 해당 어플리케이션이 존재하는지를 검색하는 어플리케이션 검색부; 및 상기 어플리케이션 검색부의 검색결과에 따라서 해당 어플리케이션 아이디를 이용하여 상기 접속된 외장형 장치에 상응하는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어플리케이션 실행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automatic execution module is mounted on the mobile terminal to execute the corresponding application when the external device is connected to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or to search for the corresponding application from the application server connec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to download and execute the found application. A WIPI driver for driving Wireless Internet Platform for Interoperability (WIPI); When the external device is connected, the application is searched for whether the application exists in the mobile terminal using the application ID assigned to the application. If the external device does not exist, the application exists in the application server using the application ID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 application search unit for searching whether or not; And an application execution unit that executes a corresponding application corresponding to the connected external device using a corresponding application ID according to a search result of the application search unit.
또한, 상기 WIPI 구동은 소정의 WIPI 명령어의 조합을 통해 미리 정의한 명령어에 의하며, 상기 어플리케이션 아이디는 DD(Download Description) 파일 또는 WAM(WIPI Application Manager)이라는 별도의 메모리 영역에 관리되는 것이 바람직 하다.In addition, the WIPI driving may be based on a predefined command through a combination of predetermined WIPI commands, and the application ID may be managed in a separate memory area called a DD (Download Description) file or a WAM (WIPI Application Manager).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외장형 장치가 이동단말의 접속을 감지하면 상기 이동단말의 WIPI(Wireless Internet Platform for Interoperability)를 구동시키는 단계; 상기 WIPI가 구동되면 상기 이동단말에 탑재된 어플리케이션의 정보를 파악하여 상기 파악된 어플리케이션의 정보에 상기 외장형 장치에 연동하는 어플리케이션이 있는 경우 상기 외장형 장치에 연동하는 어플리케이션의 구동을 상기 이동단말에 요청하는 단계; 상기 파악된 어플리케이션의 정보에 상기 외장형 장치에 연동하는 어플리케이션이 없는 경우 상기 이동단말에 어플리케이션의 다운로드를 명령하는 단계; 및 상기 이동단말로부터 어플리케이션이 다운로드되었음을 통보받으면 상기 이동단말에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명령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driving a wireless internet platform for interoperability (WIPI) of the mobile terminal when the external device detects a connection of the mobile terminal; When the WIPI is driven to determine the information of the application mounted on the mobile terminal, if there is an application linked to the external device in the information of the identified application requesting the mobile terminal to drive the application linked to the external device; step; Instructing the mobile terminal to download an application when there is no application linked to the external device in the determined application information; And instructing the execution of the application to the mobile terminal when notified that the application has been downloaded from the mobile terminal.
여기서, 상기 WIPI 구동은 소정의 WIPI 명령어의 조합을 통해 미리 정의한 명령어에 의한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WIPI driving is preferably by a predefined command through a combination of predetermined WIPI commands.
또한, 상기 이동단말이 외장형 장치로부터 어플리케이션의 다운로드를 지시하는 명령을 수신하면 이동통신망을 통해 어플리케이션 서버에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검색을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이동단말이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로부터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검색 결과를 응답 받으면,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로 다운로드 요청하고, 요청한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하여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when the mobile terminal receives a command for instructing the download of the application from the external device, requesting the application server to search for the corresponding application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when the mobile terminal receives a search result of the corresponding application from the application server, downloads the corresponding application to the application server, and downloads and executes the requested application.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버는, 이동통신시스템에서의 이동단말과 이동통신 망을 통해 접속되어 상기 이동단말의 어플리케이션 자동실행을 지원하는 어플리케이션 서버로서, 이동통신망의 코어망과 인터페이스되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시그널링 및 데이터를 송수신 하는 유선망 인터페이스부; 이동통신사업자를 통해 가입된 무선 서비스의 복수의 해당 어플리케이션들을 체계적인 정의에 의해서 저장 관리하는 어플리케이션 데이터베이스; 이동단말로부터 전달받은 어플리케이션 검색요구에 대하여 어플리케이션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는 어플리케이션 검색부; 검색된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유선 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전송할 때 상기 유선 인터페이스부에 연결된 망의 상태나 서비스 품질에 따라 버퍼링하는 버퍼; 적어도 하나의 이동단말로부터 요청 받은 어플리케이션의 유지관리를 수행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여 상기 이동단말로 전송하는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부; 및상기 기능블록들을 총괄 제어하여 상기 이동단말로부터 요청 받은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검색하고, 검색 결과를 이동단말로 송신하고, 검색결과에 따라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이동단말로 전송하는 것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application server connected to the mobile terminal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in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to support the automatic execution of the application of the mobile terminal, and is interfaced with the core network of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service Wired network interfac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gnaling and data to provide a; An application database configured to store and manage a plurality of corresponding applications of a wireless service subscrib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provider by a systematic definition; An application search unit for searching an application database with respect to an application search request received from the mobile terminal; A buffer for buffering the searched application according to the state or quality of service of a network connected to the wired interface unit when transmitting the retrieved application through the wired interface unit; An application service unit which performs maintenance of an application requested from at least one mobile terminal, extracts from the application database, and transmits the extracted application to the mobile terminal; And a controller configured to collectively control the functional blocks to search for a corresponding application requested from the mobile terminal, to transmit a search result to the mobile terminal, and to transmit the corresponding application to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search result. It is done.
여기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부는, 펌웨어(firmware)와 운영 체계(Operating System)에 해당하며 상기 어플리케이션 기본적인 지원을 수행하는 플랫폼;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서비스들를 구성할 수 있는 복수의 함수들과 개체들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 개발 키트; 및 상기 이동단말로부터 요청 받은 어플리케이션에 해당하는 서비스들로서 상기 소프트웨어 개발 키트가 참조 이용되어 구성됨으로써 제공되는 N개의 서비스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application service unit may include a platform corresponding to firmware and an operating system and performing basic support of the application; A software development kit including a plurality of functions and objects capable of configuring services of a corresponding application; And N services provided by configuring the software development kit with reference to the services corresponding to the application requested by the mobile terminal.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은, 이동통신시스템에서의 이동단말의 어플리케이션 자동실행 시스템으로서, 외장형 장치 인터페이스에 외장형 장치가 접속되면, WIPI(Wireless Internet Platform for Interoperability)를 구동시키고, 해당 어플리케이션이 존재하는지 유무를 확인하여 해당 어플리케이션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이동통신망을 통해 어플리케이션 서버에서 제공하는 페이지에 접속하여 해당 어플리케이션 검색을 요청하고, 해당 어플리케이션 검색 결과를 응답 받으면,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어플리케이션 서버로 다운로드 요청하고, 요청한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하며,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이동단말; 및 해당 어플리케이션 검색을 요청 받으면, 요청된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연동되는 어플리케이션 데이터베이스로 질의하여 해당 어플리케이션 검색 결과에 대하여 상기 이동단말로 응답하며, 요청 받은 해당 어플리케이션 전송하는 어플리케이션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ystem for automatically executing an application of a mobile terminal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when an external device is connected to an external device interface, the system operates a WIPI (Wireless Internet Platform for Interoperability). If the application does not exist by checking whether there is any, access the page provided by the application server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request the search for the corresponding application, and if the application search result is received, the application is downloaded to the application server. A mobile terminal for downloading the requested application and executing the application; And receiving an application search request, querying the requested application to an application database to which the application is linked, and responding to the mobile terminal with respect to the application search result, and transmitting the requested applica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상에 표시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로 나타내었으며, 다음에서는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 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Hereinafter, the operation principle of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the same elements as shown in the drawings, even though they may be shown on different drawings, an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detailed descriptions of related well-known functions or configurations are not requir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it can be blurred,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Terms to be described later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may be changed according to intentions or customs of users or operators. Therefore, the definition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먼저, 본 발명의 핵심이 되는 개념을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이동단말과 외장형 장치가 연동될 때 필요로 하는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유무를 파악하고, 관련 플랫폼 실행 후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자동으로 다운로드하여 자동으로 실행하는 방식이다. 즉, 이동단말의 무선인터넷 플랫폼인 WIPI(Wireless Internet Platform for Interoperability)에 존재하는 EIF(External Interface) 명령어를 조합하여 새로운 기준을 정해 어플리케이션을 자동으로 다운로드하여 실행하는 방식이 정의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핵심이 되는 개념을 다음의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First, the concept of the cor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of determining whether there is a corresponding application required when a mobile terminal and an external device are interworked, and automatically downloading and executing the corresponding application after executing the associated platform. In other words, a method of automatically downloading and executing an application by defining a new standard by combining EIF (External Interface) instructions present in the wireless Internet platform for interoperability (WIPI) of a mobile terminal is defined. The cor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rough the following examples.
일반적으로 한국에서 상용화되어 유통되는 이동단말에 적용된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Telecommunication Technology Association, 이하 "TTA"라 한다) 24핀 인터페이스는 다음 <표 1> 내지 <표 4>와 같이 표준화된 규격으로서 외장형 장치 또는 개인용 컴퓨터, 충전기, 차량용 GPS 등과의 인터페이스로 사용된다.In general, the Telecommunication Technology Association (TTA) 24-pin interface applied to a mobile terminal commercially available and distributed in Korea is an external type as a standardized standard as shown in Tables 1 to 4 below. It is used as an interface to a device or personal computer, charger, car GPS, and the like.
<표 1>은 충전 기능에 대한 입출력 단자 핀의 신호명을 나타낸 표이다. <표 2>는 핸즈프리 기능에 대한 입출력 단자 핀의 신호명을 나타낸 표이다. <표 3>은 데이터 통신 기능에 대한 입출력 단자 핀의 신호명을 나타낸 표이다. <표 4>는 <표 1> 내지 <표 3>에 나타낸 이외의 기능에 대한 입출력 단자 핀의 신호명을 나타낸 신호명이다. <Table 1> is a table showing signal names of input / output terminal pins for charging function. <Table 2> is a table showing signal name of input / output terminal pin for hands free function. <Table 3> is a table showing signal names of input / output terminal pins for data communication function. <Table 4> is a signal name which shows the signal names of the input / output terminal pins for functions other than those shown in Tables 1 to 3.
여기서, 본 발명에 제안하고자 하는 방식은 구현이 간단하고, 데이터 전송이 간편한 <표 1> 내지 <표 4> 중 <표 3>의 데이터 통신 기능에 대한 입출력 단자 핀의 신호를 이용하여 통신하는 것을 전제로 한다. Here, the scheme prop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simple to implement, and communicates using signals of the input / output terminal pins for the data communication functions of <Table 3> of <Table 1>. On the premise.
외장형 장치는 이동단말과 TTA 24핀 인터페이스(이하 "외장형 장치 인터페이스"라 한다)를 통하여 연결될 때, 하드웨어적으로 연결이 되었다는 사실(가령 전원 공급 여부를 체크하거나, 배터리 아이디를 체크)을 인지 한 후, 일반적으로 다음 도 1의 이동통신망을 통해 해당 단말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하거나 이미 설치되어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한다. When the external device is connected to the mobile terminal through the TTA 24-pin interface (hereinafter referred to as "external device interface"), the external device recognizes that the connection is made in hardware (eg, checks power supply or battery ID). In general, the terminal downloads the corresponding terminal application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of FIG. 1 or drives an already installed appl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이동통신망에서 이동단말과 어플리케이션 서버와의 통신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mmunication structure between a mobile terminal and an application server in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이동통신망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단말(100), 기지국(110), 제어국(120), 패킷 데이터 스위치(130), 게이트웨이(140), 인증센터(150) 및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서버(16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includes a
이동단말(100)은 일반적으로 이동단말의 하단에 위치한 외장형 장치 인터페이스에 외장형 장치(도시하지 않음)가 접속되면, 상기 외장형 장치를 식별하고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여 연동하도록 한다. 그러나, 만약 상기 외장형 장치가 통상적으로 쓰이는 충전기 등이 아닌 새로운 기능을 제공하는 것일 경우에는 상기 외장형 장치와 이동단말(100)이 연동할 수 있도록 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야 한다. 그러나 이러한 외장형 장치와 이동단말의 연동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이동단말(100)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도 1과 같은 이동통신망을 통하여 어플리케이션 서버(160)으로부터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하여 실행하게 된다. In general, when an external device (not shown) is connected to an external device interface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mobile terminal, the
이러한 과정을 위한 이동통신망 내의 각 구성요소의 기능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The function of each component in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for this process is as follows.
이동단말(100)에 존재하지 않는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하기 위하여 상기 이동단말(100)은 가입된 이동통신망의 기지국(110)에 접속한다. 상기 기지국(110)은 상기 이동단말(100)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제어국(120)으로 전달한다. 상기 제어국(120)은 상기 기지국(120)으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해석하여 패킷 데이터인 경우에 패킷 데이터 스위치(130)로 전달한다. 이때, 상기 패킷 데이터 스위치(130)는 CDMA2000 망인 경우에는 PDSN(Packet Data Serving Node)이 되며, WCDMA 망인 경우에는 GGSN(Gateway GPRS Support Node)이 될 수 있다. In order to download an application that does not exist in the
상기 패킷 데이터 스위치(130)는 수신한 패킷 데이터의 목적지를 파악하여 해당 목적지로 해당 패킷 데이터를 스위칭한다. 이때, 게이트웨이(140)는 상기 패킷 데이터를 수신하여 목적지의 망 특성에 알맞게 적합하도록 변환하여 목적지인 어플리케이션 서버(160)로 전달한다. 게이트웨이(140)를 통해 전달된 패킷 데이터를 수신한 어플리케이션 서버(160)는 이동단말(100)이 요구하는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검색하여 해당 어플리케이션이 존재하는 경우 이동단말(100)로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전송한다. The packet data switch 130 detects a destination of the received packet data and switches the packet data to the corresponding destination. At this time, the gateway 140 receives the packet data, converts the packet data to suit the network characteristics of the destination, and delivers the packet data to the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단말의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2 is a block diagram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단말(100)은 외장형 장치 인터페이스(200), 자동실행모듈(210), RF(Radio Frequency)부(220), 키입력부(230), 메모리(240), 표시부(250), 오디오부(260) 및 제어부(270)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2, the
외장형 장치 인터페이스(200)는 외장형 장치와 접속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한국에서 상용화되어 유통되는 이동단말에 적용된 TTA 24핀 인터페이스는 상기 <표 1> 내지 <표 4>와 같이 표준화된 규격의 인터페이스이다. The
상기 자동실행모듈(210)은 상기 외장형 장치 인터페이스(200)에 외장형 장치가 접속되면, 본 발명에 따라 외장형 장치를 구동할 수 있는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자동으로 다운로드하거나 자동으로 실행하도록 하는 단말내의 다른 기능블록과 연동한다.When the external device is connected to the
RF부(220)는 상기 제어부(270)의 제어 데이터에 의해 신호의 주파수를 하향 변환하여 중간주파수 신호를 발생한다. 또한, 키입력부(230)는 숫자 및 문자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키들 및 각종 기능들을 설정하기 위한 기능키들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기능키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외장형 장치 인터페이스의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자동으로 다운로드하거나 자동으로 실행하도록 하는 기능을 선택하기 위한 키들이 포함된다. The
메모리(240)는 데이터 메모리들로 구성될 수 있으며, 외장형 장치의 해당 어플리케이션 등을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표시부(250)는 상기 제어부(270)의 제어 하에 상기 복호기(도시하지 않음)에서 처리되는 신호를 표시한다. 또한, 오디오부(260)는 제어부(100)의 제어 하에 복호기에서 처리되는 오디오 신호를 재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The
제어부(270)는 휴대단말기의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특히 상기 제어부(270)는 상기 키입력부(230)에서 키입력에 의해 따라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이동단말의 어플리케이션 자동실행을 결정하기 위한 제어 데이터들을 발생시키도록 제어한다. The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단말의 자동실행모듈의 블록 다이어그램이다.3 is a block diagram of an automatic execution module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자동실행모듈(200)은 WIPI 구동부(310), 어플리케이션 검색부(320) 및 어플리케이션 실행부(330)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3, the
WIPI 구동부(310)는 도 2의 외장형 장치 인터페이스(200)에 외장형 장치가 접속되면 WIPI를 구동하여 관련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거나, 이동통신망에 접속된 도 1의 어플리케이션 서버(160)로부터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검색하고, 검색된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하여 실행하도록 도 1의 이동단말(100)에 탑재된 WIPI를 구동한다. 여기서, WIPI는 "Wireless Internet Platform for Interoperability"의 머리글자를 딴 것으로, 무선인터넷 플랫폼의 일종이다. 즉, 한국무선인터넷 표준화 포럼(KWISF: Korea Wireless Internet Standardization Forum)의 모바일 플랫폼 특별 분과에서 만든 모바일 플랫폼 표준 규격으로서 무선 인터넷을 통해 다운로드 된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이동통신 단말기에 탑재시켜 실행시키기 위한 환경을 제공하는데 필요한 표준규격이다. When the external device is connected to the
어플리케이션 검색부(320)는 도 2의 외장형 장치 인터페이스(200)에 외장형 장치가 접속되면 해당 어플리케이션에 부여된 어플리케이션 아이디를 이용하여 해당 어플리케이션이 현재 이동단말(100)에 존재하는지 검색하며, 존재하지 않는 경우 이동통신망을 통해 해당 어플리케이션 아이디를 이용하여 어플리케이션 서버(160) 내에 해당 어플리케이션이 존재하는지를 검색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When the external device is connected to the
어플리케이션 실행부(330)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검색부(320)의 검색결과에 따라서 해당 어플리케이션 아이디를 이용하여 외장형 장치 인터페이스(200)에 접속된 외장형 장치에 상응하는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The
여기서, 어플리케이션 아이디는 단말에 탑재되는 어플리케이션 ("mPlayon"에 다운로드 받은 게임, 브라우저, "June Player" 등) 마다 각각 고유하게 부여된 아이디 값을 말한다. 상기 값은 단말에서 어플리케이션을 관리(가령 고스톱 게임을 다운로드 받았는데, 이 게임이 다운로드 받아진 게임인지 아닌지 단말에서 판단할 때, 사용되기도 함), 연동(브라우저상에서 "June Player"를 호출하거나, 다른 어플리케이션에서 브라우저 또는 "June Player" 등을 호출할 때 사용되는 파라미터)에 사용된다. Here, the application ID refers to an ID value uniquely assigned to each application (game, browser, and "June Player" downloaded to "mPlayon") mounted on the terminal. The above value is used to manage the application in the terminal (for example, the GoStop game is downloaded, and may be used when the terminal determines whether the game is a downloaded game), linkage (call "June Player" in a browser, or other application). Parameter used when a browser or "June Player" is called.
또한, 어플리케이션 아이디가 상주하는 영역은 어플리케이션이 다운로드 되거나, 메모리에 저장되면 DD(Download Description) 파일이라는 것도 저장되는데 이곳이 상기 영역에 해당하며, 경우에 따라서는 WAM(WIPI Application Manager: WIPI 상의 어플리케이션을 관리하는 중앙 모듈)이 존재하여 어플리케이션 아이디를 별도의 메모리 영역에 관리하기도 한다.In addition, the area where the application ID resides is also stored as a DD (Download Description) file when the application is downloaded or stored in the memory, which corresponds to the above area. In some cases, the application on the WAM (WIPI Application Manager: WIPI) is stored. There is also a central module to manage the application ID in a separate memory area.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서버의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4 is a block diagram of an application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어플리케이션 서버(160)는 제어부(410), 유선망 인터페이스부(420), 버퍼(430), 어플리케이션 데이터베이스(440), 어플리케이션 검색부(450) 및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부(460)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4, the
제어부(410)는 유선망 인터페이스부(420), 버퍼(430), 어플리케이션 데이터베이스(440), 어플리케이션 검색부(450) 및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부(460)를 총괄 제어하여 이동단말(100)로부터 요청 받은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검색하고, 검색 결과를 이동단말(100)로 송신하고, 검색결과에 따라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이동단말(100)로 전송한다. The
유선망 인터페이스부(420)는 이동통신망의 코어망과 인터페이스되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시그널링 및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블록이다. 버퍼(430)는 상기 제어부(410)의 제어 하에서 검색된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유선 인터페이스부(420)를 통하여 전송할 때 상기 유선 인터페이스부(420)에 연결된 망의 상태나 서비스 품질에 따라 버퍼링한다. The wired
어플리케이션 데이터베이스(440)는 이동통신사업자를 통해 가입된 무선 서비스의 복수의 해당 어플리케이션들을 체계적인 정의에 의해서 저장관리하며, 제어부(410)의 제어 하에 다른 기능블록들과 연동하여 저장된 어플리케이션을 추출하여 서비스 되도록 한다. 또한, 어플리케이션 검색부(450)는 이동단말(100)로부터 전달받은 어플리케이션 검색요구에 대하여 어플리케이션 데이터베이스(440)를 검색하여 검색결과를 상기 이동단말(100)로 상기 유선 인터페이스부(420)를 통해 송신한다. The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부(460)는 적어도 하나의 이동단말로부터 요청 받은 어플리케이션을 유지관리를 수행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 데이터베이스(440)로부터 추출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동단말로 전송한다. 이러한 가능을 수행하는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부(460)의 내부구조의 구체적인 기능에 관해서는 다음의 도 5에서 상세히 설명한다.The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서버의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부의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5 is a block diagram of an application service unit of the application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부(460)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부(460)가 제공하는 N개의 서비스들(500), 소프트웨어 개발 키트(510) 및 플랫폼(520)을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5, the
N개의 서비스들(500) 각각은 이동단말(100)로부터 요청 받은 어플리케이션들 각각에 해당하는 서비스들로서 소프트웨어 개발 키트(510)가 참조 이용되어 구성됨으로써 제공된다. 소프트웨어 개발 키트(510)는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상기 N개의 서비스들(500) 각각을 구성할 수 있는 복수의 함수들과 개체들을 포함한다.Each of the N services 500 is provided by using the
플랫폼(520)은 컴퓨터 시스템의 기반이 되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로서 집적 회로 칩 수준의 하드웨어 및 펌웨어(firmware)와 운영 체계(Operating System)가 해당하며 상기 어플리케이션 기본적인 지원을 수행한다.The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외장형 장치의 어플리케이션 자동실행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automatically executing an application of an extern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이동단말의 무선인터넷 플랫폼인 WIPI에 존재하는 IEF 명령어를 조합하여 새로운 기준을 정해 어플리케이션을 자동으로 다운로드하여 실행하는 방식이 정의되며, 이러한 동작은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Referring to FIG. 6, a method of automatically downloading and executing an application by setting a new standard by combining IEF commands existing in a WIPI, which is a wireless Internet platform of a mobile terminal, is defined.
600단계에서, 외장형 장치는 이동단말이 접속되면 이동단말의 WIPI를 구동(AT*SKT*WIPI)시키고, 610단계에서, 이동단말은 WIPI를 구동시킨 후 그에 대한 응답(SKT*WIPI: 1)을 외장형 장치에 한다. In
외장형 장치가 이동단말과 연결될 때는 이동단말의 UART(Universal Asynchronous Receiver/Transmitter)로 연결하고, 여기서 UART는 컴퓨터의 비동기 직렬 통신을 처리하는 프로그램으로서 보통 마이크로칩으로 구현되며, 병렬 데이터를 직렬 비트 스트림으로 변환, 또는 복원하고, 패리티 비트를 추가하거나 패리티를 검출, 제거하며, 비동기 통신을 위해 시작 비트와 정지 비트를 추구하고 삭제하는 기능들을 수행한다. 또한, UART는 UART 직렬 통신 측의 속도와 중앙 처리 장치(CPU) 속도에는 큰 차이가 있어 버퍼를 내장하기도 한다.When an external device is connected to a mobile terminal, it connects to the mobile terminal's Universal Asynchronous Receiver / Transmitter (UART), where the UART is a program that handles asynchronous serial communication of a computer, usually implemented in a microchip, and converts parallel data into a serial bit stream. It performs the functions of converting or restoring, adding parity bits, detecting and removing parity, and seeking and erasing start and stop bits for asynchronous communication. UARTs also have built-in buffers because of the large difference between UART serial communications speed and central processing unit (CPU) speed.
620단계에서, 외장형 장치는 이동단말에 질의하여 외장형 장치에 대한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존재 유무(해당 어플리케이션의 아이디 존재 유무)를 파악(AT*WIPI*LIST)하고, 630단계에서, 이동단말은 해당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존재 유무를 파악하여 외장형 장치에 응답(*WIPI*LIST: <number>, <app.id>...)한다. In
640단계에서, 외장형 장치는 응답결과를 참조하여 해당 어플리케이션이 존재하면 이동단말에 어플리케이션 실행을 명령하여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실행(AT*WIPI*EXEC=App ID)시키고, 650단계에서, 이동단말은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 후 그에 대한 응답(*WIPI*EXEC: Success)을 외장형 장치에 한다.In
660단계에서, 외장형 장치는 이동단말에 해당 어플리케이션이 존재하지 않으면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이동통신망을 통해 어플리케이션 서버로부터 다운로드하도록 이동단말에 명령(AT*WIPI*OPEN=<URL>)하고, 670단계에서, 이동단말은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한 후 그에 대한 응답(*WIPI*UOPEN: Success)을 외장형 장치에 한다. In
다음의 <표 5>는 이상과 같이 본원발명에서 제안하는 이동단말의 어플리케이션 자동실행과정을 제어할 수 있는 명령어를 정리한 것이다. Table 5 below summarizes the commands that can control the application automatic execution process of the mobile terminal prop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단말과 어플리케이션 서버의 통신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mmunication process between a mobile terminal and an application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조하면, 710단계에서, 이동단말(100)의 외장형 장치 인터페이스에 외장형 장치가 접속되며, 720단계에서 이동단말(100)의 WIPI를 구동한다. 730단계에서, 해당 어플리케이션이 이동단말(100) 내에 존재하는지 유무를 확인하여 해당 어플리케이션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이동단말(100)은 이동통신망을 통해 어플리케이션 서버에서 제공하는 페이지에 접속하여 해당 어플리케이션 검색을 요청한다. Referring to FIG. 7, in
어플리케이션 서버(160)는 상기 이동단말(100)로부터 해당 어플리케이션 검색을 요청 받으면, 750단계에서, 요청된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연동되는 도 4의 어플리케이션 데이터베이스(440)에 질의한다. 760단계에서, 어플리케이션 서버(160)는 해당 어플리케이션 검색 결과에 대하여 응답한다.When the
770단계에서, 이동단말(100)은 해당 어플리케이션 검색 결과를 응답 받으면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어플리케이션 서버(160)로 다운로드 요청하고, 780단계에서, 요청한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하고, 790단계에서,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 In step 770, when the
지금까지 본 발명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그 과정에서 언급한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일 뿐, 한정적인 것은 아님을 분명히 하며, 본 발명은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으로부터 균등하게 대체될 수 있는 정도의 구성요소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so far, but the embodiments mentioned in the process are only illustrative, and are not intended to be limiting,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by the following claims. Within the scope no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onent changes to the extent that they can be equivalently substituted from the present invention will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동작하는 본 발명에 있어서, 개시되는 발명 중 대표적인 것에 의해 얻어지는 효과를 간단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In the present invention operating as described in detail above, the effects obtained by the representative ones of the disclosed inventions will be briefly described as follows.
본 발명은 보다 직관적으로 이동단말과 연동되는 외장형 장치들의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이동단말의 어플리케이션 자동실행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ally executing an application of a mobile terminal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that executes corresponding applications of external devices interworking with the mobile terminal more intuitively.
또한, 본 발명은 보다 직관적으로 이동단말과 연동되는 외부 장치들의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하는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이동단말의 어플리케이션 자동실 행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providing a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ally executing an application of a mobile terminal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that more intuitively downloads a corresponding application of external devices linked with the mobile terminal.
Claims (9)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20070005114A KR100830678B1 (en) | 2007-01-17 | 2007-01-17 |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ally executing application of mobile terminal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20070005114A KR100830678B1 (en) | 2007-01-17 | 2007-01-17 |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ally executing application of mobile terminal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
Public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100830678B1 true KR100830678B1 (en) | 2008-05-19 |
Family
ID=39664647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20070005114A Active KR100830678B1 (en) | 2007-01-17 | 2007-01-17 |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ally executing application of mobile terminal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0830678B1 (en) |
Cited By (5)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WO2013141630A1 (en) * | 2012-03-21 | 2013-09-26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of recommending application or content |
| KR20140012896A (en) * | 2012-07-22 | 2014-02-04 | 엘지전자 주식회사 | Mobile terminal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
| US20140280462A1 (en) * | 2009-02-09 | 2014-09-18 | Apple Inc. | Intelligent download of application programs |
| KR101893761B1 (en) * | 2016-02-15 | 2018-10-04 | 류창화 | System and method for application automatic activation |
| KR20250070514A (en) | 2023-11-13 | 2025-05-20 | 진잉지 | Fully automatic system, server and method linking computer automatic execution program and 6G technology |
Cit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080023607A (en) * | 2006-09-11 | 2008-03-14 | 삼성전자주식회사 | Automatic execution adjustment method of data application and video reproducing device |
-
2007
- 2007-01-17 KR KR20070005114A patent/KR100830678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080023607A (en) * | 2006-09-11 | 2008-03-14 | 삼성전자주식회사 | Automatic execution adjustment method of data application and video reproducing device |
Non-Patent Citations (1)
| Title |
|---|
| 국내공개특허공보 10-2008-23607 |
Cited By (1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US20140280462A1 (en) * | 2009-02-09 | 2014-09-18 | Apple Inc. | Intelligent download of application programs |
| US10084874B2 (en) * | 2009-02-09 | 2018-09-25 | Apple Inc. | Intelligent download of application programs |
| US10938936B2 (en) | 2009-02-09 | 2021-03-02 | Apple Inc. | Intelligent download of application programs |
| WO2013141630A1 (en) * | 2012-03-21 | 2013-09-26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of recommending application or content |
| AU2013235923B2 (en) * | 2012-03-21 | 2016-02-11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of recommending application or content |
| US10225704B2 (en) | 2012-03-21 | 2019-03-05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of recommending application or content |
| US10820168B2 (en) | 2012-03-21 | 2020-10-27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of recommending application or content |
| KR20140012896A (en) * | 2012-07-22 | 2014-02-04 | 엘지전자 주식회사 | Mobile terminal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
| KR102019130B1 (en) | 2012-07-22 | 2019-09-06 | 엘지전자 주식회사 | Mobile terminal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
| KR101893761B1 (en) * | 2016-02-15 | 2018-10-04 | 류창화 | System and method for application automatic activation |
| KR20250070514A (en) | 2023-11-13 | 2025-05-20 | 진잉지 | Fully automatic system, server and method linking computer automatic execution program and 6G technology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US6760759B1 (en) | System to support mobile visual communications | |
| US20020124046A1 (en) | Peripheral devices which manage application upload to computing devices | |
| KR101017912B1 (en) | Mobile terminal remote control method and system | |
| CN1653445A (en) |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establishing interface to control accessory equipment | |
| KR100830678B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ally executing application of mobile terminal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 |
| GB2379761A (en) | System for updating software in an appliance | |
| CN101063962B (en) | Method for managing mass storage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 |
| KR101366993B1 (en) | System for providing remote device driver and mehtod for providing remote device driver | |
| CN101901157B (en) | Management software self-starting installation method and system | |
| US8296277B2 (en) | Method and apparatus to automatically receive and/or transmit contents | |
| KR100874551B1 (en) | Application management method and system of communication terminal | |
| CN101112065A (en) | Automatic internet connection device | |
| KR100998753B1 (en) | An M2M module having an emergency situation notification function, an M2M device selectively connected to the M2M module, and a driving method thereof | |
| KR100960505B1 (en) | A method for managing heterogeneous applications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using the same | |
| KR100848891B1 (en) | Interworking method and system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external device | |
| KR100657630B1 (en) | Application execution method and device using numeric keyword | |
| KR100663438B1 (en) | How to Access Wireless Internet Content on a Mobile Terminal | |
| KR100467164B1 (en) |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changable casing | |
| KR20050052949A (en) |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log service with memory card | |
| US20050097214A1 (en) | Network peripheral device and installation method thereof | |
| KR20030087418A (en) | Method for upgrading firmware using modem | |
| KR20100033243A (en) | Apparatus and method of upgrading peripheral firmware via wireless communication | |
| KR100819681B1 (en) | Portable terminal capable of function control through string input and its control method | |
| KR100711845B1 (en) | PAN Application Service Method in Personal Area Communication Network and its Management Device | |
| KR100574459B1 (en) | User Interface Management Method in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with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 Technology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0117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121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80428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8051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8051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1050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050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502 Year of fee payment: 6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050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502 Year of fee payment: 7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050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422 Year of fee payment: 8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42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424 Year of fee payment: 10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424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430 Year of fee payment: 11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430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502 Year of fee payment: 12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502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330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401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323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321 Start annual number: 17 End annual number: 17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319 Start annual number: 18 End annual number: 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