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801943B1 - 음순간 패드 - Google Patents

음순간 패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01943B1
KR100801943B1 KR1020037015189A KR20037015189A KR100801943B1 KR 100801943 B1 KR100801943 B1 KR 100801943B1 KR 1020037015189 A KR1020037015189 A KR 1020037015189A KR 20037015189 A KR20037015189 A KR 20037015189A KR 100801943 B1 KR100801943 B1 KR 1008019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erlabial pad
sheet
convex region
labia
interlabia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151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07589A (ko
Inventor
미즈타니사토시
야마키고이치
노다유키
Original Assignee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075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075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19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1943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51Packaging before or after use
    • A61F13/5516Packaging before or after use packaging of interlabial absorbing articles
    • A61F13/55165Packaging before or after use packaging of interlabial absorbing articles before u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15577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 A61F13/15756Applying tabs, strips, tapes, loops; Knotting the ends of pa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7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 A61F13/4702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having a reinforcing memb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7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 A61F13/4704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having preferential bending zones, e.g. fold lines or groo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7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 A61F13/472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specially adapted for female use
    • A61F13/47209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specially adapted for female use having only interlabial part, i.e. with no extralabial par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13/534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 A61F13/53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inhomogeneous in the plane of the pad, e.g. core absorbent layers being of different siz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15203Properties of the article, e.g. stiffness or absorbency
    • A61F13/15252Properties of the article, e.g. stiffness or absorbency compostable or biodegradab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15203Properties of the article, e.g. stiffness or absorbency
    • A61F13/15211Properties of the article, e.g. stiffness or absorbency soluble or disintegratable in liquid
    • A61F2013/15235Properties of the article, e.g. stiffness or absorbency soluble or disintegratable in liquid by its solubility in wat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15203Properties of the article, e.g. stiffness or absorbency
    • A61F2013/15284Properties of the article, e.g. stiffness or absorbency characterized by quantifiable properties
    • A61F2013/15357Stiffness, e.g. Taber rigidit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13/534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 A61F2013/534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from several shee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84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bsorbent pads
    • A61F2013/8497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bsorbent pads having decorations or indicia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 Wire Bo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순 사이에 밀착하여 장착 가능한 음순간 패드에 관한 것으로, 이용자의 신체와의 밀착성이 높고, 또한, 이용자의 음순 형상의 개인차에 관계없이 사용할 수 있는 음순간 패드로서, 확실하고 또한 위생적인 장착을 행할 수 있는 구조의 음순간 패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음순간 패드(1)의 신체측면에 흡수층 시트(2)를 구부려 형성한 긴 볼록형 영역(3)을 설치하여 음순 사이내로 끼워 장착시킬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음순간 패드(1)의 신체 반대측면에 흡수층 시트(2)의 절곡 부분의 확대를 규제하는 기성 미니 시트편(14)을 부착하여 기성 미니 시트(14)와 이면측 시트(l2)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손가락을 삽입할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음순간 패드{INTERLABIAL PAD}
본 발명은 음순 사이에 밀착하여 장착 가능한 음순간 패드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여성용 생리용품으로서는, 생리대, 탐폰이 일반적으로 이용되고 있다. 여기서, 생리대에 대해서는 질구(膣口) 부근으로의 밀착성 부족으로 인해 생기는 간극으로부터 월경혈이 새는 것을 막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또한, 탐폰에 있어서도, 그 물품의 속성에 기인하여 착용시의 이물감이나 불쾌감, 질내로의 장착 곤란성을 일으키기 때문에, 이것을 제거하기 위해서 많은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상황하에, 생리대나 탐폰의 중간에 위치하는 생리용품으로서, 최근, 음순간 패드라고 하는 생리용품이 주목받게 되었다.
한편, 생리대와 신체와의 밀착성을 높인 것으로서, 신체에 접하는 면의 중앙 부근에 흡수체를 집중적으로 설치하여 다른 부분보다도 융기된 부분을 형성한 생리대가 일본 실용 공개 평성 제5-18523호 공보에 있어서 개시되어 있다(도 24 참조). 이러한 생리대의 구조에 따르면, 융기 부분이 음순내로 들어가기 때문에, 통상의 생리대보다는 밀착성이 높다고도 생각된다.
그러나, 이러한 일본 실용 공개 평성 제5-18523호 공보에 관한 생리대는 생 리대의 돌출부를 소정 위치로 가지고 가는 것이 곤란하다. 즉, 생리대라고 하는 것은 속옷에 고정하여, 그 속옷에 고정된 것을 속옷째로 신체에 장착시키는 것이지만, 상기와 같은 개량형 생리대에서는, 속옷에 고정된 생리대에 대해서, 속옷의 장착 동작에 의해 음순 사이의 소정 위치에 생리대의 돌출부를 능숙하게 유도하도록 할 필요가 있다. 이 작업에 있어서, 생리대의 돌출부의 소정 위치로의 유도가 간접적인 작업이 되어 버리기 때문에, 조작이 곤란한 동시에 장착 위치의 정확성이 부족하게 된다. 또한, 흡수체의 두께를 증가시킴으로써 융기부를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그 두께에 따라서는 착용자에게 강한 이물감을 느끼게 하는 원인이 될 지도 모른다.
이것에 대하여, 음순간 패드라고 하는 것은 상기 종래예의 생리대와 같이 융기부를 설치할 필요도 없고, 음순 사이에 직접 끼워 넣는다고 하는 물품 속성에서 유래되어 상기 종래예의 생리대와 같은 밀착성을 확보할 수 있다.
그러나, 음순간 패드는 눈으로 확인하기 곤란한 음순 사이라고 하는 장소에 장착되는 것이기 때문에, 장착이 용이하지 않다. 또한, 적절한 위치에 장착되지 않은 경우에는, 생리대보다도 사이즈가 작기 때문에, 월경혈이 새는 것에 따른 피해가 막대해진다.
또한, 음순간 패드는 음순 사이에 직접 장착하는 것으로, 신체와의 밀착성이 이용자의 음순 형상에 영향을 받기 쉬운 것이기 때문에, 개인차에 따라 적절한 장착을 할 수 있는 것일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이용자 의 신체와의 밀착성이 높고, 또한, 이용자의 음순 형상의 개인차에 관계없이 사용할 수 있는 음순간 패드로서, 확실하고 또한 위생적인 장착을 행할 수 있는 구조의 음순간 패드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발명의 개시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관한 음순간 패드는 표면측 시트와 흡수체를 구부려 신체에 접하는 면에 긴 볼록형 영역을 설치함으로써, 착용자의 음순의 길이에 관계없이 장착할 수 있는 음순간 패드로 한 것, 다시 말하면, 그 긴 볼록형 영역이 착용자의 음순 및 그 주변 부분의 여러 가지 형상을 따라 유연하게 변형하고, 착용자의 안다리에 밀착적으로 장착되는 것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이러한 음순간 패드의 기능이 유효하게 발휘되도록, 감각이 예리한 손가락 끝의 불룩한 부분을 능숙하게 사용하여 장착을 행하는 것이 가능한 구조를 갖춘 음순간 패드, 구체적으로는, 패드의 신체 반대측에 손가락 끝을 원활하게 삽입할 수 있는 포켓을 형성하고, 거기에 손가락을 삽입한 상태로 음순 사이로의 장착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는 음순간 패드로 한 것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은 이하와 같은 것을 제공한다.
(1) 신체측에 면하는 투수성 표면측 시트와 의복측에 면하는 투수성 또는 불투수성 이면측 시트가 체액을 흡수하는 흡수체를 내포시킨 형태로 접합되어 이루어지는 것이며, 여성 음순 사이에 무리 없이 끼워 넣는 것이 가능한 크기의 음순간 패드로서, 상기 표면측 시트의 짧은 길이 방향의 거의 중앙 부분이 신체측을 향해 정점이 되도록 상기 표면측 시트의 긴 길이 방향을 따라 설치되어 있는 긴 볼록형 영역과, 상기 긴 볼록형 영역의 가장자리의 연장으로서 상기 표면측 시트의 짧은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연장 영역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순간 패드.
본 발명에 따르면, 표면측 시트의 긴 길이 방향에 있어서는, 신체측면에 연장되어 있는 긴 볼록형 영역이 신체측을 향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음순간 패드를 장착했을 때에 그 긴 볼록형 영역이 음순 사이에 끼워 장착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관한 음순간 패드는 종래와 같이 단순히 음순 사이에 끼워 넣어질 뿐만 아니라, 그 신체측면에 설치된 긴 볼록형 영역이 음순내의 깊숙한 곳에 있는 소음순 내부의 질구 부근으로까지 들어가기 때문에, 음순간 패드와 음순 사이에 생기는 간극의 발생을 현저히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표면측 시트의 짧은 길이 방향에 있어서는, 연장 영역이 상기 긴 볼록형 영역으로 이어져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음순간 패드를 장착했을 때에는, 이러한 연장 영역이 외음부를 덮은 상태가 된다. 이 때문에, 짧은 길이 방향으로 월경혈이 고속으로 또한 다량으로 유출해오고 있다고 해도, 외음부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위치되는 상기 연장 영역이 이것을 차단하는 벽이 되는 것이다. 또한, 긴 볼록형 영역과 연장 영역과의 경계선은 음순간 패드 장착시에는 외음부를 끼운 되접어 꺾은 부분이 되기 때문에, 이 되접어 꺾은 부분이 홈과 같은 역할을 다하고, 상기 연장 영역자체가 월경혈을 완전히 흡수하지 않은 경우에도, 월경혈을 외부로 새 어나오게 하는 일없이, 이것을 받아낼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표면측 시트의 긴 길이 방향뿐만 아니라, 짧은 길이 방향에 대해서도 월경혈이 새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도모되고 있는 것이다. 또, 상기 연장 영역은 전술한 바와 같이 외음부를 덮도록 변형하여 짧은 길이 방향으로의 월경혈의 유출을 차단하는 벽이 되는 것이기 때문에, 그 형상은 거의 평탄형으로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것에 부가하여, 음순간 패드의 신체면측에 설치된 긴 볼록형 영역이 음순 사이에 밀착적으로 끼워 장착된다고 하는 것은, 착용자의 신체에 그 음순간 패드가 확실하게 고정된다고 하는 것이다. 이 때문에, 본 발명에 관한 음순간 패드에 설치된 긴 볼록형 영역은 샘 방지 기능뿐만 아니라, 탈락 방지 기능도 갖고 있게 된다.
이 탈락 방지 기능을 한층 더 높이기 위해서, 본 발명에 관한 음순간 패드의 표면측 시트에 점착제를 미리 도포하여 착용자의 신체로의 밀착성을 더욱 강화하는 것도 가능하다.
(2) 상기 긴 볼록형 영역은 적어도 상기 표면측 시트 및 상기 흡수체가 구부러져 형성되어 있는 굴곡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에 기재한 음순간 패드.
본 발명에 관한 음순간 패드에 따르면, 신체측면에 설치된 착용자의 음순 사이에 끼워 장착되는 긴 볼록형 영역이, 표면측 시트 및 흡수체를 단순히 구부림으로써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외압력에 의해 용이하게 변형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긴 볼록형 영역은 착용자의 음순과 접촉하는 부분에 있어서는 거의 그대로의 형상을 유지하지만, 그 이외의 부분에 있어서는, 압궤(壓潰)되어 평탄형으로 넓어진다. 이 때문에, 착용자는 음순간 패드를 음순 사이에 장착하고, 단지 속옷 등을 입는 것 만으로, 상기 긴 볼록형 영역이 착용자의 음순과 속옷 등과의 외압력에 의해 자연스럽게 착용자의 음순 형상에 맞는 돌기부로 변형되는 것이다.
이것에 대하여, 음순간 패드의 신체측면에 단순히 기성의 돌출부를 설치한 경우에는, 음순 형상에 개인차가 있기 때문에, 반드시 그 돌출부가 모든 착용자에게 맞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이용자의 음순 치수가 그 돌출부보다도 긴 형상인 경우에는, 돌출부가 음순 사이의 일부에 밖에 들어갈 수 없기 때문에, 그 돌출부가 개재되어 있지 않은 음순 사이 부분이 존재하게 된다. 또한, 일부에는 그 돌출부가 개재되어 있으므로, 대음순이 벌어진 상태가 되기 때문에, 그 돌출부가 개재되지 않은 음순이 넓어져 버리고, 도리어 큰 간극을 발생시키게 되는 원인이 될지도 모른다.
한편, 기성의 돌출부가 착용자의 음순보다 짧은 경우에는, 상기 돌출부가 음순 사이내로 밀착적으로 개재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그 돌출부와 음순과의 접촉 면적이 좁아져 버린다. 이 때문에, 그 돌출부에 있어서의 월경혈 흡수는 그다지 기대할 수 없다.
이 점, 본 발명에 관한 음순간 패드에 따르면, 긴 볼록형 영역이 착용자의 음순 형상을 따라 용이하게 변형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음순간 패드 착 용시에 있어서 착용자의 신체와 음순간 패드 사이에 불필요한 간극을 발생시키는 일도 없고, 밀접하게 장착된다. 또, 긴 볼록형 영역을 형성하는 데 있어서는, 표면측 시트 및 흡수체뿐만 아니라 이면측 시트도 함께 구부러지는 형태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에 따라, 음순간 패드 전체를 구부리게 되기 때문에, 구부러진 표면측 시트 및 흡수체의 외관상의 길이 치수에 맞추어 이면측 시트를 접합한다고 하는 미세한 작업이 불필요해지고, 본 발명에 관한 음순간 패드의 제조 공정의 간소화를 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긴 볼록형 영역의 정점 부분을 축으로서 용이하게 접는 것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개별 포장 용기에 내포시키기 쉽다고 하는 효과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긴 볼록형 영역이 변형함으로써 음순 사이 개재 부분 및 그 이외의 부분이 형성되기 때문에, 양자가 착용자의 음순 사이에서 음순 사이 부근의 형상을 따라 완만하게 연결되게 된다. 즉, 음순 사이 개재 부분 및 그 이외의 부분이 일련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단순히 신체측면의 일부만을 갑자기 돌출시켜 기성의 돌출부를 설치한 경우에 비하여, 착용자의 안다리와 음순간 패드 사이의 간극의 발생을 저감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단순히 음순간 패드를 구부린다고 하는 간이한 구성에 의해 기능성이 높은 음순간 패드를 완성할 수 있다. 이 점, 생리대는 그 제품 구조에서 유래되어 애당초 두께가 있기 때문에, 본 발명과 같이 구부린 경우에는, 음순 사이에 끼워 넣기에는 부적절한 두께를 갖는 것이 되어 버려, 현저히 착용감을 해치게 된다. 즉, 본 발명은 음순 사이에 끼워 넣는 것이기 때문에, 생리 대에 비하여 현저히 얇다고 하는 음순간 패드의 물품 특성을 이용하여 완성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에 있어서의 음순간 패드에 대해서는, 그 소재를 변형 자유자재의 유연성 있는 것으로 함으로써, 한층 더 개개인의 음순 형상에 적용 가능한 음순간 패드로 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관한 음순간 패드를 개별 포장 용기에 내포시키는 경우에는, 구부려 형성된 긴 볼록형 영역을 짧은 길이 방향을 향해 좌우 중 어느 한쪽으로 쓰러뜨림으로써, 포장 용기내에 컴팩트하게 수납할 수 있다.
(3) 상기 긴 볼록형 영역에 대해서는, 상기 굴곡부의 확대를 규제하는 규제미니 시트편이, 상기 이면측 시트의 신체 반대측에 접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에 기재한 음순간 패드.
전술한 (2)에 기재한 긴 볼록형 영역은 표면측 시트 및 흡수체를 단순히 구부린 것만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용자가 음순 사이에 장착하기 전에 굴곡부가 넓어져 긴 볼록형 영역이 평탄형으로 변형되어 버리고, 장착시에 음순 사이에 적합하게 끼워 장착할 수 없는 형상으로 되어 버릴 경우도 생각된다. 이 점, 본 발명에 따르면, 불필요한 긴 볼록형 영역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해서, 굴곡부의 확대를 규제하는 규제 미니 시트편이 부착되어 있다. 이에 따라, 이용자는 음순간 패드를 장착할 때까지, 특별한 주의를 필요로 하는 일없이, 적합한 긴 볼록형 영역의 형상을 유지할 수 있다.
(4) 상기 긴 볼록형 영역에 대해서는, 상기 규제 미니 시트편에 의해 굴곡부 의 확대가 규제되어 있는 규제 부분과, 상기 규제 미니 시트편에 의해 굴곡부의 확대가 규제되어 있지 않은 비규제 부분이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에 기재한 음순간 패드.
본 발명에 따르면, 규제 미니 시트편을 부착하는 위치를 바꿈으로써, 긴 볼록형 영역의 변형에 대하여 변화를 줄 수 있다. 예컨대, 전방(음핵 방향)으로 새는 것을 일으키기 쉬운 이용자에 대해서는, 후방에 규제 미니 시트편을 설치함으로써 전방이 평탄형으로 변형하는 음순간 패드를 제공할 수 있고, 후방(항문 방향)으로 새는 것을 일으키기 쉬운 이용자에 대해서는 전방에 규제 미니 시트편을 설치함으로써 후방이 평탄형으로 변형하는 음순간 패드를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규제 미니 시트편의 부착 위치를 변경하는 것만으로, 여러 가지 형태의 샘 방지 기능을 갖는 음순간 패드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결과, 이용자는 자기의 월경혈이 새는 상태에 따라 최적의 것을 적절하게 선택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5) 상기 규제 미니 시트편은 상기 이면측 시트의 신체 반대측에 대하여, 그 이면측 시트의 긴 길이 방향의 각 측부에 있어서 한 지점 이상의 접합 부분과, 그 이면측 시트의 짧은 길이 방향에 있어서 한 지점 이상의 비접합 부분을 가지고 접합되고, 상기 한 지점 이상의 비접합 부분의 적어도 하나가, 상기 규제 미니 시트편과 상기 이면측 시트 사이에 있어서, 손가락 삽입용 입구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 또는 (4) 기재의 음순간 패드.
본 발명의 음순간 패드의 신체 반대측면에 부착되어 있는 규제 미니 시트편 은 이면측 시트의 짧은 길이 방향에 있어서는, 규제 미니 시트편의 양 소매부 중 적어도 한쪽 소매부가 이면측 시트의 면에 대하여 접합되어 있지 않다. 이에 따라, 비접합 상태에 있는 규제 미니 시트편의 한쪽 소매부와 이면측 시트 사이에 소맷부리가 형성되고, 이러한 소맷부리가 손가락의 삽입이 가능한 손가락 삽입용 입구가 된다(도 12 참조).
또한, 이면측 시트의 긴 길이 방향에 있어서는, 규제 미니 시트편은 이면측 시트의 좌우측부에서만 접합되고, 내측에 대해서는 접합(접착)되어 있지 않다. 이 때문에, 규제 미니 시트편은 이면측 시트의 한쪽 측부에서 다른 쪽 측부에 걸친 상태로 부착되게 되고, 이러한 한쪽 측부에서 다른 쪽 측부에 걸친 부분에 있어서, 손가락을 삽입하여 유지할 수 있는 공간(손가락 삽입용 공간)이 형성된다.
여기서, 이면측 시트의 짧은 길이 방향에 있어서, 규제 미니 시트편의 양 소매부가 이면측 시트에 대하여 비접합 상태에 있는 경우에는, 상기 손가락 삽입용 공간은 관통 구멍(터널 상태)이 되고, 한편 규제 미니 시트편의 한쪽 소매부가 접합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손가락 삽입용 공간은 동굴 상태가 되게 된다.
그리고 또, 규제 미니 시트편이 복수 매로 이루어질 때에는, 이면측 시트의 긴 길이 방향에 있어서, 좌우측부에 있어서의 접합부는 그 매수에 따라 증가하고, 예컨대 규제 미니 시트편이 2장이라면, 각각 2지점씩 접합부가 설치되게 된다(도 11의 (B) 참조).
또, 본 발명에 있어서, 이면측 시트의 긴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측부」에는 음순간 패드의 주연부(周緣部)에 해당하는 부분뿐만 아니라, 규제 미니 시트편 의 접합 가능한 주연부 부근도 포함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규제 미니 시트편이 손가락 삽입용 입구 및 그것에 계속되는 손가락 삽입용 공간을 형성하도록 이면측 시트에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이러한 손가락 삽입용 입구에 손가락을 삽입함으로써, 손가락 끝에 음순간 패드를 일시적으로 고정하여 유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에 따라, 눈으로 확인하기 곤란한 음순 사이라고 하는 장소로의 장착이라도, 정확한 장착 포인트를 적확하게 파악하면서, 음순간 패드의 신체측면에 설치된 긴 볼록형 영역을 적절한 위치에 끼워 장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여기서, 예컨대, 굴곡부 근처에 규제 미니 시트편을 위치시키는 등으로 손가락 삽입용 입구를 착용자의 손가락 폭의 개구가 되도록 형성함으로써, 평평한 형상인 손가락 끝이, 시트면에 대하여 다른 방향이 되는 일없이, 자연스럽게 시트면에 접하도록 삽입되게 된다. 즉, 이러한 경우에는, 종래예의 요실금 방지 패드(특표평 제6-506368호 공보)와 같이, 정상적인 상태에서는 손가락 삽입용 구멍이 폐쇄되어 있기 때문에(도 25 참조), 우선, 그 요실금 방지 패드와 직각을 이루는 방향으로 손가락을 향해 삽입하고(도 26 참조), 그 후에 손가락을 회전함으로써 처음으로 음순간 패드측에 손가락의 불룩한 부분을 향하게 할 수 있도록, 2차적으로 이면측 시트의 면 방향으로 손가락 폭의 개구가 형성되는 것은 아니고, 일차적으로 이러한 손가락 폭의 개구가 형성된다. 이 때문에, 손가락 삽입용 입구에 손가락을 삽입하는 데 있어서, 자연스럽게 손가락의 불룩한 부분을 시트의 면측을 향하도록 착용자의 손가락 삽입 방향을 특정짓는 것이 가능해져, 음순간 패드의 신속하고 또한 정확한 장착을 한층 더 용이한 것으로 할 수 있다.
그리고 또, 상기 규제 미니 시트편을, 포켓을 형성하도록 상기 이면측 시트에 부착한 경우에는, 손가락의 선단 부분이 접하는 부분에 있어서 이면측 시트와 규제 미니 시트편이 밀착되어 있기 때문에, 장착시에 손가락 끝이 월경혈에 접촉해 버린다고 하는 사태를 확실하게 회피하는 것이 가능해져, 장착이 위생적인 것으로 된다.
더욱이, 그 이면측 시트상의 손가락의 불룩한 부분이 접하는 지점에, 극미소한 요철을 구비하도록 함으로써, 손가락 끝의 불룩한 면과 이면측 시트의 신체 반대측면과의 접촉 면적을 적게 하여, 손가락 끝과 음순간 패드 사이에 있어서 마찰이나 들어붙는 현상을 쉽게 일어나지 않게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한 경우에는, 착용자의 손가락 끝 상태, 예컨대 습윤 환경에 영향을 받아 착용자가 의도하지 않은 장소로 음순간 패드가 장착되어 버린다고 하는 사태를 막을 수 있고, 또한, 장착후 손가락을 빼내는 것도 원활하게 행할 수 있기 때문에, 장착후의 장착 어긋남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본 명세서에 있어서 「손가락 폭」이란, 손가락의 두께가 아닌 것을 의미하고, 구체적으로는 손톱이 넓어지는 방향의 손가락 폭을 말하며, 「손가락 폭의 개구」란, 손가락을 삽입할 수 있는 데 충분한 크기를 갖는 개구를 말한다.
(6) 상기 긴 볼록형 영역의 내부는 긴 구멍 공간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에서 (5) 중 어느 하나에 기재한 음순간 패드.
본 발명에 따르면, 긴 볼록형 영역의 내부가 공동이기 때문에, 음순간 패드 장착 후에 속옷 등을 입을 때에, 착용자의 음순과 속옷 등에 의한 외부 압력으로 그 긴 볼록형 영역이 손쉽게 압궤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때문에, 그 긴 볼록형 영역이 착용자의 음순 형상에 적합한 형상으로 변형하고, 안다리와 음순간 패드와의 간극의 발생을 한층 더 저감시키는 것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7) 상기 긴 볼록형 영역의 단면이 거의 삼각 형상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에서 (6) 중 어느 하나에 기재한 음순간 패드.
전술한 바와 같이, 긴 볼록형 영역 내측의 긴 구멍 공간을 거의 삼각 형상으로 함으로써, 음순간 패드의 장착에 있어서 상기 긴 구멍 공간에 손가락을 삽입한 경우에는, 그 긴 구멍 공간이 손가락에 맞기 쉬운 것이 된다. 이 때문에, 긴 볼록형 영역에 삽입한 손가락에 패드가 확실히 고정·유지되기 때문에, 장착 포인트의 탐지를 한층 더 행하기 쉬워진다.
또한, 긴 볼록형 영역을 갖는 음순간 패드를 장착한 경우에는, 음순 사이에 긴 볼록형 영역이 끼워 넣어져 통상은 밀착한 상태에 있는 좌우의 대음순 및 소음순이 조금 열린 상태가 되지만, 본 발명과 같이, 장착시에 음순 사이의 깊숙한 곳이 정점이 되도록 긴 볼록형 영역의 단면을 거의 삼각 형상으로 한 경우에는, 소음순내의 어느 부분에도 표면측 시트가 접촉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긴 볼록형 영역, 즉, 월경혈 흡수 가능 부분을 착용자의 음순 사이 내에 있어서 간극 없이 밀착시킬 수 있게 되고, 전술한 바와 같은 장착 용이성뿐만 아니라, 월경혈의 샘 방지 기능도 한층 더 높일 수 있게 된다.
(8) 상기 긴 볼록형 영역의 단면적은 긴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한쪽 단부로 부터 다른 쪽 단부로 향함에 따라 서서히 작아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에서 (7) 중 어느 하나에 기재한 음순간 패드.
전술한 바와 같이, 긴 볼록형 영역의 내측인 긴 구멍 공간에 손가락을 삽입하는 경우에 있어서, 끝이 가늘게 되어 있는 손가락의 형상에 적합하도록, 긴 구멍 공간의 형상도 끝이 가는 형상으로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점, 본 발명에 따르면, 한쪽 단부를 향해 긴 볼록형 영역의 단면적이 작게 되어 있기 대문에, 긴 구멍 공간이 손가락에 의해 딱 맞아, 음순간 패드를 손가락 끝에 고정·유지하는 데 보다 바람직한 것이 된다.
(9) 상기 긴 볼록형 영역의 단면은 높이가 5 ㎜에서 30 ㎜,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에서 20 ㎜이며, 밑변 폭이 1 ㎜에서 20 ㎜, 보다 바람직하게는 2에서 10 ㎜의 범위내에 있는 거의 삼각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1)에서 (8) 중 어느 하나에 기재한 음순간 패드.
통계적으로 여성의 음순의 깊이는 17 ㎜ 전후이기 때문에, 상기 거의 삼각 형상의 높이가 30 ㎜보다 높은 경우에는, 거의 삼각 형상의 밑단 부분을 음순 사이에 개재할 수 없다. 이 때문에, 긴 볼록형 영역의 존재가 착용자의 안다리와 본 발명에 관한 음순간 패드의 표면측 시트를 이격시켜 버리고, 표면측 시트와 안다리 사이에 간극을 발생시키게 된 결과, 월경혈이 그 간극을 타고 새어나오게 될 우려가 있다. 한편, 상기 거의 삼각 형상의 높이가 5 ㎜보다 낮은 경우에는, 그 정점이 음순 사이 내의 깊숙한 곳에 접할 수 없고, 질구 부근과 긴 볼록형 영역의 정점 사이에 어떤 간극이 생겨, 그 간극으로부터 월경혈이 새어나오게 될 우려가 있으며, 또한, 제품의 탈락 방지라는 기능도 충분히 달성할 수 없다.
그리고 또, 긴 볼록형 영역을 각 시트나 흡수체를 구부려 형성하고 있는 경우에 있어서, 상기 거의 삼각 형상의 밑변의 길이가 20 ㎜보다 긴 경우에는, 거의 삼각 형상의 정점이 지나치게 둔각이 되어, 이러한 정점이 질구 부근에 도달할 수 없다. 이 때문에, 질구 부근에는 긴 볼록형 영역이 존재하지 않게 되고, 간극이 발생하여, 그 긴 볼록형 영역의 단면이 거의 삼각 형상인 의의가 희미해지게 된다. 한편, 그 밑변이 1 ㎜보다 짧은 경우에는, 정점이 지나치게 예각이 되어, 착용자에게 이질감을 필요 이상으로 주게 된다.
이 점, 본 발명에 있어서의 긴 볼록형 영역은 착용자의 음순 사이내에 끼워 장착하는 데 적절한 크기의 거의 삼각 형상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긴 볼록형 영역의 음순에 대한 밀착성 및 고정성이 높고, 월경혈의 샘 방지 기능과 음순간 패드의 탈락 방지 기능이 효과적으로 발휘되게 된다.
(10) 상기 긴 볼록형 영역은, 그 긴 길이 방향의 길이 치수가 60 ㎜에서 150 ㎜, 바람직하게는 80 ㎜에서 130 ㎜,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 ㎜에서 12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1)에서 (9) 중 어느 하나에 기재한 음순간 패드.
본 발명에 관한 음순간 패드의 긴 길이 방향의 길이는 적어도 60 ㎜ 이상으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음순 형상은 개개인에 따라 다르지만, 어떠한 길이의 음순을 갖는 착용자라도 적용 가능하다. 즉, 평균적인 여성의 외음부의 길이보다도 길게 하여 설계되어 있기 때문에, 음순의 길이가 비교적 긴 이용자에 대해서도 충분히 대응할 수 있고, 또한, 음순의 길이가 비교적 짧은 착용자라도, 긴 볼록형 영 역이 음순에 끼워 장착되지 않는 부분이 압궤되어 평탄형이 되기 때문에, 그 길이가 착용에 있어서 문제를 일으키는 일은 없다. 그러나, 음순 길이에 비하여, 음순간 패드의 긴 길이 방향의 길이가 너무나도 지나치게 긴 경우에는, 착용감을 저해해 버리기 때문에, 본 발명에 있어서는 긴 길이 방향의 길이 치수가 150 ㎜를 넘지 않게 되어 있는 것이다.
(11) 생리대와 병용되는 생리대 병용용 음순간 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1)에서 (10) 중 어느 하나에 기재한 음순간 패드.
생리대 이용자 중에는, 월경혈의 양이 많을 때에는 몇 장이나 겹쳐 사용하는 사람도 있지만, 뻣뻣하다는 등, 착용감이 나쁘고, 외관에도 영향을 미치게 된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중첩 사용이 불필요한 부분, 즉, 질구 부근 이외에까지 생리대가 겹쳐져 버리기 때문에, 발진이나 짓무름의 원인도 되고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르면, 음순 주변에만 생리 용품이 겹쳐지게 되기 때문에, 착용감이나 외측에 그다지 영향을 미치게 하지 않고, 더구나 엉덩이 부근 등에 있어서의 짓무름이나 발진을 저감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리고 또, 교환시에 있어서는, 생리대를 교환하지 않은 채로 하여, 본 발명에 관한 음순간 패드만을 교환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착용자는 눈에 띄기 쉬운 크기의 생리대를 갖고 다니지 않게 된다고 하는 효과도 있다.
(12) 상기 음순간 패드는 요실금용 음순간 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1)에서 (11) 중 어느 하나에 기재한 음순간 패드.
본 발명에 관한 음순간 패드에 따르면, 요실금용 흡수 패드로서 사용할 수 있다. 즉, 월경혈을 배출하는 질구와 뇨를 배출하는 요도구는 모두 음순 사이에 위치하는 것이기 때문에, 본 발명에 관한 음순간 패드를 음순 사이에 끼워 넣어 사용한 경우에는, 뇨를 흡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뇨를 음순 사이, 특히 요도구 부근에서 흡수할 수 있기 때문에, 요실금 특히 경도의 요실금에 대하여 유효한 흡수 패드를 얻을 수 있다.
(13) 상기 음순간 패드는 질분비물 흡수용 음순간 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1)에서 (11) 중 어느 하나에 기재한 음순간 패드.
본 발명에 관한 음순간 패드에 따르면, 음순간 패드를 질분비물 흡수용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관한 음순간 패드는 음순 사이에 끼워 넣어 사용하는 것이기 때문에, 질구로부터의 월경혈 이외의 분비물도 흡수할 수 있으므로, 그것을 위한 용도(질분비물 흡수용)로도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질분비물을 흡수하여 착용자의 불쾌감을 경감할 수 있으므로, 생리시 이외의 착용자에게 있어서도 유효하다.
(14) 상기 표면측 시트와 상기 흡수체와 상기 이면측 시트로 이루어진 흡수층 시트에 대하여, 그 흡수층 시트의 짧은 길이 방향의 폭보다 짧은 폭의 상기 규제 미니 시트편을 상기 흡수층 시트의 짧은 길이 방향의 폭에 맞추어 부착하여 음순간 패드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흡수층 시트의 신체측에 주름진 부분을 생기게 하여, 그 주름진 부분을 긴 볼록형 영역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에서 (13) 중 어느 하나에 기재한 음순간 패드의 제조 방법.
본 발명에 따르면, 박형이라고 하는 음순간 패드의 물품성을 이용하여 단순히 시트 및 흡수체를 구부린다고 하는 간이한 방법에 의해 착용자의 안다리로의 밀착성이 풍부하고, 샘 방지 기능 및 탈락 방지 기능이 높여진 음순간 패드를 제조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간이한 구성이기 때문에, 제조 공정을 특별히 복잡한 것으로 할 필요가 없고, 통상의 음순간 패드를 제조하는 경우에 비하여 제조 비용에 그 만큼 영향을 미치지 않고서, 기능성이 높은 음순간 패드를 제조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규제 미니 시트편은 흡수층 시트의 짧은 길이 방향의 폭보다도 짧은 폭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러한 짧은 폭에 대응하도록 흡수층 시트의 좌우 측부를 접합시킴으로써 흡수층 시트에 주름진 부분을 생기게 할 수 있다.
또한, 규제 미니 시트편에 신축성 소재를 사용함으로써, 그 신축성의 규제 미니 시트편을 흡수층 시트의 짧은 길이 방향의 폭에 맞추어 잡아늘인 상태로 부착하고, 부착후에 규제 미니 시트편이 자연스럽게 줄어들어 주름진 부분을 생기게 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에 따라, 규제 미니 시트편을 부착하기 위해서 흡수층 시트를 규제 미니 시트편의 폭에 맞추어 미리 구부려 둔다고 하는 작업이 불필요하게 되어, 제조 공정의 간소화를 꾀할 수 있게 된다.
(13) (1)에서 (12) 중 어느 하나에 기재한 음순간 패드가 개별 포장용 포장 용기에 내포되어 있는 포장체.
본 발명에 따르면, 음순간 패드가 개별 포장되어 있기 때문에, 하나씩 운반 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복수의 음순간 패드가 동일한 포장 용기내에 내포되어 있는 경우에 비하여 청결하고 또한 편리한 취급이 가능해진다.
(14) (5)에서 (13) 중 어느 하나에 기재한 음순간 패드가 개별 포장용 포장 용기에 내포되어 있는 포장체로서, 상기 음순간 패드가 상기 포장 용기에 직교하는 방향에서 내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체.
본 발명에 따르면, 음순간 패드가 포장 용기와의 사이에서 이방성을 갖고 내포되어 있기 때문에, 포장 용기 개봉시에 규제 미니 시트편에 의해 형성된 손가락삽입용 입구가 착용자를 향해 열리도록 포장체가 형성되게 된다. 이 때문에, 개봉 방향과 손가락 끝 삽입 방향을 착용자에게 있어서 동일 방향으로 할 수 있고, 착용자의 손가락 삽입을 용이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 형태의 음순간 패드의 신체측을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2는 본 실시 형태의 음순간 패드의 신체 반대측을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3은 본 실시 형태의 음순간 패드를 도시한 도 1의 단면도.
도 4는 음순간 패드의 짧은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길이 치수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도 5는 본 실시 형태의 음순간 패드를 도시하여 긴 볼록형 영역의 양단부에 있어서의 중공부의 단면적이 다른 것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도 6은 본 실시 형태의 음순간 패드를 사용할 때에 중공부에 집게손가락을 넣은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도 7은 본 실시 형태의 음순간 패드를 음순 사이에 장착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본 실시 형태의 음순간 패드의 다른 형태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실시 형태의 음순간 패드의 긴 볼록형 영역이 변형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0은 본 실시 형태의 음순간 패드의 긴 볼록형 영역의 단면도.
도 11은 본 실시 형태의 음순간 패드에 복수의 규제 미니 시트편이 부착되어 있는 경우의 이면측 시트에 있어서의 비접합부의 위치를 도시한 도면.
도 12는 본 실시 형태의 음순간 패드에 부착된 규제 미니 시트편의 한쪽 단부가 이면측 시트에 접합되어 있는 상태를 설명한 설명도.
도 13은 본 실시 형태의 음순간 패드의 규제 미니 시트편이 신체와는 반대측에 느슨해져 있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4는 본 실시 형태의 음순간 패드를 규제 미니 시트편을 인장하여 떼어내는 상태를 도시한 설명도.
도 15는 규제 미니 시트편의 접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서 음순간 패드의 짧은 길이 방향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
도 16은 어긋남 방지 테이프의 박리력 측정의 실험 상황을 도시한 도면.
도 17은 어긋남 방지 테이프의 전단력 측정의 실험 상황을 도시한 도면.
도 18은 본 실시 형태의 음순간 패드를 생리대와 병용하여 사용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9는 본 실시 형태의 음순간 패드가 접어 포개져 포장 용기에 내포되어 있는 경우의 개봉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20은 기성의 돌출부가 존재하는 음순간 패드를 장착한 상태를 설명한 설명도.
도 21은 이면측 시트의 후방 단부에 규제 미니 시트편이 존재하지 않는 본 실시예의 음순간 패드의 장착 상태를 설명한 설명도.
도 22는 이면측 시트의 후방 단부에 규제 미니 시트편이 존재하는 본 실시예의 음순간 패드의 장착 상태를 설명한 설명도.
도 23은 본 실시예의 음순간 패드에 설치된 연장 영역이 외음부를 덮는 상태를 설명한 설명도.
도 24는 기성의 융기 영역을 갖는 생리대에 관한 종래예의 정상적인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25는 손가락 삽입 구멍을 갖는 요실금 방지 패드에 관한 종래예의 정상적인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26은 손가락 삽입 구멍을 갖는 요실금 방지 패드에 관한 종래예의 손가락의 삽입 상태를 설명한 도면.
다음에, 본 실시 형태의 음순간 패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 형태의 음순간 패드의 신체측을 도시하는 개략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실시 형태의 음순간 패드의 신체 반대측을 도시하는 개략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실시 형태의 음순간 패드를 도시하는 도 1의 단면도이다.
[기본 구성]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관한 음순간 패드(1)는 액 투과성 소재로 이루어진 표면측 시트(11) 및 액 불투과성 소재로 이루어진 이면측 시트(12), 흡수체(13)로 이루어진 흡수층 시트(2)와, 액 불투과성 소재로 이루어진 규제 미니 시트편(14)으로 이루어진다.
흡수층 시트(2)의 신체측면에는 흡수층 시트(2)를 구부림으로써 생긴 주름진 부분으로 이루어진 긴 볼록형 영역(3)이, 흡수층 시트(2)의 짧은 길이 방향의 거의 중앙 부분에서 긴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긴 볼록형 영역(3)의 가장자리에, 연장 영역(4)이 설치되어 있다. 한편, 흡수층 시트(2)의 신체 반대측면에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규제 미니 시트편(14)이 구부러져 형성된 긴 볼록형 영역(3)의 확대를 일부 규제하도록 부착되어 있다.
상기 흡수층 시트(2)는 도 3의 (A), 도 3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흡수체(13)를 가두도록 하여 표면측 시트(11)와 이면측 시트(12)가 주연부(15)에 있어서 접합됨으로써,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적합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표면측 시트(11)와 이면측 시트(12)는 이들의 주연부(15)에 있어서 접합시킨다. 그리고, 그 경우에 있어서, 흡수체(13)는 그 접합을 하는 주연부(15)에 있어서 끼워 넣어지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기 위해서, 예컨대 표면측 시트(11)와 이면측 시트(12)만을 접합하고 나서, 흡수체(13)를 그 주연부(15)의 접합부에 주머니형으로 둘러싸여진 부분에 가두도록 한다. 이것에 관하여, 주연부(15)에 흡수체(13)가 끼워 넣어져 접합된 경우에는 그 주연부(15)가 딱딱해져 버리게 되지만, 상기한 바와 같이 함으로써 그것이 회피되어, 착용감을 보다 적합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또, 흡수체(13)의 치수는 음순간 패드(1)와 동등하여도 좋고, 상기 주연부(15)에 흡수체가 끼워 넣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해, 음순간 패드의 외부 윤곽으로부터 2∼10 ㎜ 범위의 간격이 마련되도록 미리 축소한 치수로 하여도 좋다.
표면측 시트(11)와 이면측 시트(12)와의 접합은 히트 엠보스 및/또는 핫 멜트형 접착제에 의해 이루어져 있다. 또한, 흡수체(13)는 표면측 시트(11) 및 이면측 시트(12)에 대한 층간 분리를 방지하기 위해서 각 시트(11, 12)에 대하여 접착된 상태로 되어 있다.
[규제 미니 시트편]
본 실시예에 있어서 규제 미니 시트편(14)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면측 시트(12)와의 사이에 손가락을 삽입할 수 있는 중공부(5)를 형성하도록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손가락 삽입용 입구(19)를 형성하도록 규제 미니 시트편(14)의 한쪽 단부(14a)는 이면측 시트(12)에 대하여 비접합 상태이다. 또한, 규제 미니 시트편(14)의 이면측 시트(12)에 대한 부착 위치는 착용시에 후방(항문 방향)이 되는 후방 단부(12b) 부근에 설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전방(음핵 방향)이 되는 전방 단부(12a) 부근이나 한복판에 부착 위치가 설치된 경우에 비하여, 손가락 삽입용 입구(19)로부터 중공부(5)로 삽입된 손가락의 지문측 면이 이면측 시트(12)와 접촉하는 면적이 커져, 음순간 패드(1)와 손가락 끝과의 일체감을 증가시키는 것이 가능해지고 있다.
그리고 또, 도 2로부터 밝혀진 바와 같이 이면측 시트(12)의 후방 단부(12b)에 있어서 규제 미니 시트편(14)은 존재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도 3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 1의 X-X 방향에서 본 것에 있어서 규제 미니 시트편(14)은 존재하고 있지만, 도 3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도면의 Y-Y 방향에서 본 것에 있어서는 존재하지 않다.
여기서, 만일, 규제 미니 시트편(14)의 단부(14b)를 이면측 시트(12)의 단부(12b)에 접합하여 후술하는 도 12와 같이 포켓형의 손가락 삽입용 공간을 형성하도록 했을 경우에는, 도 1의 Y-Y 방향에서 본 부분에 있어서도 단면도가 도 3의 (A)와 같이 되게 된다.
또한, 규제 미니 시트편(14)의 긴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길이 치수에 대해서는 본 실시예와 같이 이면측 시트(12)보다도 짧게 하여도 좋지만, 이면측 시트(12)와 거의 동일한 길이로 함으로써, 이면측 시트(12)와 규제 미니 시트편(14)과의 접합시의 위치 맞춤을 용이화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또, 본 명세서에 있어서 「포켓형」이라고 하는 것은 쑥 원활하게 손가락이 넣어지는 주머니형 부재를 의미하고, 적합하게는, 그 단면 형상은 평평형 혹은 그것과 유사한 것이지만, 이 밖에도 원추형인 것 등을 채용할 수 있는 등, 이것에 한정되는 일은 없다.
[음순간 패드의 크기]
본 발명에 관한 음순간 패드(1)의 긴 길이 방향의 길이 치수로서는, 60∼150 ㎜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150 ㎜로 하면 좋다. 150 ㎜보다 긴 경우에는, 음순간 패드의 신체 반대측면과 속옷 등이 접촉면이 지나치게 크고, 음순 자체에 의한 음순간 패드 유지력보다도 강력한 마찰력이 생겨 버려, 음순간 패드를 탈락시켜 버릴 우려가 있다. 한편, 60 ㎜보다 짧은 경우에는, 신체측면에 형성된 긴 볼록형 영역(3)이 모든 착용자의 음순 길이에 대하여 충분한 길이 치수를 가질 수 없게 되어 버린다. 이 점, 전술한 바와 같이 길이 치수로 함으로써, 착용시에 적합하고, 또한 샘 방지 기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는 음순간 패드로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음순간 패드의 짧은 길이 방향의 외관상의 길이 치수는 10∼60 ㎜의 범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0∼40 ㎜의 범위로 하는 것이 좋다. 짧은 길이 방향의 길이 치수가 60 ㎜보다 긴 경우에는, 음순 사이에 개재되는 일이 없는 영역이 착용자의 대퇴부 등에 스쳐져 버리고, 이에 따라 생긴 마찰이 양 음순에 의한 협지력을 상회하여, 음순간 패드가 탈락할 우려가 있다. 또한, 짧은 길이 방향의 길이 치수가 10 ㎜보다 짧은 경우에는, 음순 사이에 개재할 수 있는 영역이 적어지기 때문에 음순 내면과의 접촉 면적이 감소하여, 음순간 패드의 탈락 위험성이 생기기 쉬워진다.
또, 상기한 「외관」이란, 길이 치수가 최단의 2점간 거리(도 4의 V에 해당)를 의미한다. 이것은, 제조 공정과의 관계로, 요철 형상을 따른 2점간의 행정, 즉, 요철 형상을 전개한 평평한 상태에서의 2점간 거리를 실제의 길이(도 4의 W에 해당)로서 취급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꼼꼼히 정의한 것이다.
또,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긴 볼록형 영역(3)은 120 ㎜ 정도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착용자의 음순 길이가 제품 설정보다도 길어질 확률이 거의 없고, 긴 길이 방향을 따라 체액이 새는 것을 저감할 수 있다. 또, 음순에 개재되지 않는 부분의 긴 볼록형 영역(3)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평탄형으로 변형되기 때문에, 착용시에 문제가 생기는 일은 없다.
본 발명에 관한 음순간 패드의 두께로서는, 0.5∼20 ㎜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10 ㎜로 하면 좋다. 음순간 패드는 민감한 음순 사이에 장착되기 때문에, 두께가 20 ㎜ 이상의 경우에는, 착용시에 착용자가 이물감을 느끼게 되어 버린다. 한편, 0.5 ㎜ 이하의 경우에는, 내포되어 있는 흡수체의 용량이 월경혈의 흡수에 대하여 불충분해지기 쉽고, 월경혈이 음순간 패드로부터 새어 나와 버릴 우려가 있다. 이 점, 전술한 바와 같이 두께로 함으로써, 이러한 사태를 회피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특히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흡수층 시트(2)를 구부려 긴 볼록형 영역(3)을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흡수층 시트(2) 자체의 두께가 착용감에 있어서 중요한 영향을 미치게 하는 것이 된다. 이 점, 전술한 바와 같은 치수내의 두께라면, 착용감을 적합한 것으로 할 수 있다.
[재료]
표면측 시트(11)에 사용하는 재료는 직물 및 부직포, 유공 플라스틱 시트 등의 액체를 투과하는 구조라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열가소성 필름을 퍼포레이션 또는 열 엠보스 또는 기계 가공 등에 의해 개공한 개공 필름이나, 개공 필름과 부직포와의 복합 시트 등 외에, 이하에 도시하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소수성 합성섬유로서는, 열가소성수지인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틸렌(PE),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등의 단섬유, 또는 PE와 PP의 그라프트 중합체로 형성된 섬유나, 혹은 심부가 PP 또는 PET이고 초부가 PE인 심초 구조의 복합 합성섬유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직물이나 부직포로서는, 천연섬유로서 코튼, 실크, 마 등을, 재생 섬유로서 재생 셀룰로오스 섬유, 예컨대 레이온 섬유, 아세테이트 섬유 등을, 합성섬유로서 폴리올레핀계 섬유, 폴리아크릴로니트릴계 섬유를, 폴리에스테르계 섬유, 폴리아미드계 섬유, 폴리비닐알콜계 섬유, 폴리우레탄, 나일론 등을 예로서 들 수 있다. 또, 특히 부직포의 경우에는, 웨브 포밍은 건식(카드법, 스펀 본드법, 멜트 블로법, 에어 레이드법)이나 습식 등의 어느 하나, 또는 복수를 조합하여 제조하여도 좋다. 또한, 본딩은 주상류(柱狀流)를 이용한 스펀 레이스, 서멀 본딩 니들 펀치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재료 중, 음순 내면으로부터의 액 이동성이나 활성제에 의한 화학적 자극 및 음순 내벽과의 밀접성을 고려하면 신체면측에는 섬도 1.1∼4.4 dtex, 섬유 길이 7∼51 ㎜로 이루어지는 레이온을 합계 단위 중량에 대하여 40∼80%를 적층, 그 의복면측에는 섬도 1.1∼4.4 dtex, 섬유 길이 7∼51 ㎜로 이루어지고 합계 단위 중량에 대하여 14∼42%의 레이온과 섬도 1.1∼4.4 dtex, 섬유 길이 7∼51 ㎜로 이루어지고 합계 단위 중량에 대하여 6∼18%의 PET를 혼합하여 적층하고, 2층의 합계 단위 중량이 20∼60 g/㎡가 되도록 적층한 후, 수류 교락(交絡)에 의해 섬유끼리를 서로 얽히게 하여 건조시키고, 두께를 0.13∼0.50 ㎜의 범위에서 조정한 스펀 레이 스 부직포가 바람직하다. 이 때, 의복면측에 PET를 혼입함으로써, 투수성 시트가 습윤 상태가 되어도 부피를 유지하기 쉽기 때문에 음순 내벽과의 밀접성을 유지할 수 있다.
유공 플라스틱 시트로서는, 폴리에틸렌(PE)이나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라는 열가소성 수지의 유공 시트나, 다공성 발포재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산화티탄이나 탄산칼슘 등으로 이루어진 필러를 0.5∼10 중량% 범위에서 혼입함으로써, 백탁화시켜 사용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또한, 열가소성 필름을 퍼포레이션, 열 엠보스 또는 기계 가공 등에 의해 개공한 개공 필름을 사용하여도 좋고, 개공 필름과 부직포와의 복합 시트를 사용하도록 하여도 좋다.
<흡수체>
음순간 패드에 내포되는 흡수체에 이용되는 재료로서는, 펄프, 화학 펄프, 레이온, 아세테이트, 천연 코튼, 고분자 흡수체, 섬유형 고분자 흡수체, 합성섬유를 단독 또는 이들을 혼합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소요로 배합한 혼합물을 엠보스 가공에 의한 압착, 니들링에 의한 뒤얽힘 등의 공지 기술에 의해 시트화시켜, 필요에 따라 부피를 조정하거나, 겹치거나, 겹쳐 포개는 등에 의해 적절하게 조정할 수 있다.
시트형의 재료로서는, 이들을 시트형 혹은 분말형으로 가공하여 사용하여도 좋으며, 사용 방법에 한정되지 않는다.
흡수체는 액체(체액)의 흡수 유지가 가능하면 좋지만, 부피가 크고, 형 붕괴 하기 어려우며, 화학적 자극이 적은 것으로, 나아가서는 음순으로의 적합이 높은 유연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의복면측에는 섬유 길이 1∼10 ㎜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펄프를 50∼150 g/㎡ 적층하고, 그 신체면측에는 섬도 1.1∼4.4 dtex, 섬유 길이 20∼51 ㎜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레이온을 60∼90%, 천연 코튼을 40∼10%의 혼합비로 150∼250 g/㎡ 적층하여 도트형의 엠보스 가공에 의해 시트화시킨, 부피 2∼10 ㎜, 바람직하게는 3∼5 ㎜로 조정한 부직포 시트를 들 수 있다. 이에 따라, 신체면측에서 의복면측으로 액체를 이행시키기 쉽고, 흡수 유지력이 높아진다. 나아가서는, 상기 펄프층의 신체면측에는 섬도 1.1∼4.4 dtex, 섬유 길이 25∼51 ㎜로 이루어진 레이온을 단위 중량 15∼40 g/㎡로 조정한 메쉬 스펀 레이스 부직포를 부설함으로써, 신체면측에서 이행해 온 액체를 메쉬 스펀 레이스에 의해 확산시켜, 펄프층의 거의 전역에 액체를 유도시킬 수 있기 때문에, 효율적으로 보다 많은 액체를 흡수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면측 시트(12)에 사용하는 재료로서는, 직물, 부직포, 플라스틱 등의 시트형 구조물이면 특별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액 불투과 소재인 경우에는, PE, PP 등을 주체로 한 액 불투과성 필름, 통기성의 수지 필름, 발수 처리된 스펀 본드 또는 스펀 레이스 등의 부직포의 이면에 통기성이 우수한 수지 필름이 접합된 것 등을 들 수 있다. 착용감을 손상시키지 않는 유연성을 고려하면, 예컨대 LDPE(저밀도 폴리에틸렌)를 주체로 한 단위 중량 15∼30 g/㎡의 범위에서 얻어지는 필름이 사용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음순 사이에 장착되어 있을 때에, 불투수성 시트끼리, 또는 병용하는 패드, 속옷 등에 접촉했을 때에, 마찰이 높아 소형 패드가 음순 으로부터 탈락해 버릴 위험성을 저하시키기 위해서, 상기 필름에 엠보스 가공을 하고, 볼록형의 융기부를 설치함으로써, 접촉율을 저하시켜 마찰 저항치를 적게 해 두어도 좋다.
상기 이면측 시트(12)는 액 불투과성 소재로 함으로써, 흡수체(13)에 유지된 월경혈이 음순간 패드 밖으로 새어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투습성 소재로 이루어짐으로써, 착용시의 짓무름을 저감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착용자의 착용시에 있어서의 불쾌감을 저감시킬 수 있게 된다.
규제 미니 시트편(14)에 사용하는 재료로서는, 손가락을 삽입했을 때에 파손하지 않을 정도의 강도를 갖는 것을 고려한 후에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부직포 시트, 탄성 신축성 부직포, 필름, 폼 필름, 탄성 신축성 필름, 발포 시트, 박엽지 등의 단독 또는 이들의 라미네이트 재료로부터 한정 없이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는, LDPE 수지를 주성분으로 한 두께 15∼30 ㎛의 필름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규제 미니 시트편(14)에 대해서는, 규제 미니 시트편(14)의 식별을 착용자가 용이하게 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착색이나 모양 등의 인쇄라는 방법을 이용하여 음순간 패드의 이면측 시트와는 다른 색조나 모양, 색도를 갖도록 조정할 수도 있다.
상기 규제 미니 시트편(14)은 착용자의 손가락 끝 사이즈에 관계없이, 본 발명에 관한 음순간 패드를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이면측 시트(12)의 짧은 길이 방향에 대하여 신장성 혹은 탄성 신축성을 갖게 하는 것도 유효하다.
규제 미니 시트편(14)에 신장성을 갖게 하기 위해서는, 잡는 간격 100 ㎜, 인장 속도를 100 ㎜/분으로 정속 신장한 경우의 5% 신장시의 응력이 0.1∼0.5 N/25 ㎜인 신장성 스펀 본드 부직포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규제 미니 시트편(14)에 탄성 신축성을 갖게 하기 위해서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수지를 사용한 섬유형 시트나 필름 시트 및 이들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수지나 천연고무 등의 탄성 신축성 소재를 단독으로 사용하여도 좋고, 또는 비탄성 신축성 소재와 조합하여 사용하여도 좋다.
본 발명의 음순간 패드(1)는 생분해성 소재 및/또는 수분산성 소재 및/또는 수용성 소재로 구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음순간 패드(1)는 사용 후에 있어서 그대로 시간 경과적으로 혹은 적극적으로 자연 분해되는 것으로 되기 때문에, 사용 후에는 그대로 화장실에 흘려보낼 수 있게 되고, 사용을 끝낸 음순간 패드(1)의 폐기를 간편하고 또한 청결히 행할 수 있다. 즉, 착용자는 음순간 패드(1)를 폐기하는 데에 있어서, 화장실에 가서 변기를 향해 안다리를 벌려, 음순 사이에서 음순간 패드를 변기 내에 탈락시키는 것만으로 좋고, 착용자는 일부러 손을 사용하여 사용을 끝낸 제품을 폐기한다고 하는 번거로운 작업으로부터 해방된다. 또한, 이에 덧붙여서 화장실내의 쓰레기 저감을 꾀할 수도 있다고 하는 이점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음순간 패드(1)를 내포하는 개별 포장 용기도 생분해성 소재 및/또는 수용성 소재 및/또는 수분산성 소재로 구성함으로써, 포장 용기도 화장실내로 흘려보내 버릴 수 있다. 이에 따라, 착용자는 포장 용기의 폐기의 번잡함으로부터 해방되는 동시에, 화장실내의 쓰레기의 저감을 한층 더 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본 명세서에 있어서, 「생분해성」이란, 균류, 세균, 방선균 및 다른 미생물의 존재하에 자연계의 프로세스에 따라 혐기성/호기성 조건하에서 물질이 이산화탄소/메탄, 물 및 바이오매스로 분해되는 것을 말하고, 생분해능 속도 및 생분해도라는 합성 재료의 생분해능이, 낙엽 등의 자연스럽게 생기는 재료, 혹은 동일 환경하에서 생분해성으로서 일반적으로 인식되는 합성 폴리머에 필적하는 것을 말한다. 「수분산성」이란, 수해성과 동일한 의미로서, 사용시의 한정된 양의 수분(경혈)에서는 영향은 없지만, 다량의 물 또는 수류 속에서는, 섬유끼리 적어도 일반 화장실 배관을 막히게 하는 일이 없을 정도의 작은 단편으로 용이하게 분산되는 성질을 말한다. 「수용성」이란, 사용시의 한정된 양의 수분(경혈)에서는 영향은 없지만, 다량의 물 또는 수류 속에 있어서는 용해되는 성질을 말한다.
상기에 나타내는 조건을 만족하는 소재, 구성이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이하에 나타내는 것을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우선, 액 투과재로서 이용하는 섬유로서는, 천연섬유 및/또는 화학섬유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고, 천연섬유로서 티슈, 분쇄 펄프, 수용성 수지에 의해 화학 결합한 에어 레이드 펄프, 또는 코튼 등, 친수성 화학 섬유로서 재생 셀룰로오스인 레이온, 피브르 레이온 등, 합성섬유로서 폴리에스테르,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등에 친수성 처리를 행한 합성섬유 등, 합성 생분해성 섬유로서 폴리젖산, 폴리부틸렌숙시네이트 등, 혹은 수용성을 갖는 소재의 예로서,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폴리비닐알코올, 폴리아크릴로니트릴 등을 들 수 있고, 그 중에서도 펄프나 코튼 등의 천연섬유, 레이온, 폴리젖산 등의 생분해성을 갖는 섬유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 다. 또, 이들을 단독 혹은 소요의 배합에 의해 혼합하여, 웨브 또는 부직포로 성형하여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폴리젖산이나 폴리부틸렌숙시네이트 등의 합성 생분해 섬유의 웨브 포밍은 카드법, 스펀 본드법, 멜트 블로법 또는 에어 레이드법에 의한 건식이나 습식 등의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을 복수 조합한 것이라도 좋다.
본딩은 주상류를 이용한 스펀 레이스, 서멀 본딩, 니들 펀치, 케미컬 본딩 등을 들 수 있지만, 수분산성을 갖는 성형 방법의 예로서, 섬유끼리의 수소 결합에 의해 시트형으로 형성한 수해지, 또는 섬유를 교락시켜 시트형으로 형성한 수해지 등을 들 수 있다.
또, 양호한 수분산 성능을 갖게 하기 위해서는 섬유 길이를 2∼51 ㎜의 범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적합하게는 2∼10 ㎜의 범위로 하는 것이 좋다. 더욱이, 수분산성과 사용시에 파손을 일으키지 않는 강도를 고려한 경우에는, 섬도(굵기)는 1.1∼4.4 dtex의 범위에서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액 투과재의 단위 중량은 20∼60 g/㎡의 범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액 투과재의 파단 강도(잡는 간격 100 ㎜, 인장 속도 100 ㎜/분으로 정속 신장한 경우의 파단 강도)는 종횡 모두 적어도 800 mN/25 ㎜이며, 보다 적합하게는, 착용시의 유연성도 고려하여 1000∼2000 mN/25 ㎜의 범위에서 선택된다.
액 투과재의 예로서 구체적인 것으로서는, 1.1∼4.4 dtex로 5∼10 ㎜의 길이의 레이온 섬유와 목재 펄프를 90:10∼70:30의 중량비로 혼합하고, 단위 중량을 25∼40 g/㎡, 두께를 0.2∼0.5 ㎜로 조정한 습식 스펀 레이스 부직포를 들 수 있다. 또, 투과재에는 복수의 구멍부를 설치할 수도 있다. 이 경우, 구멍 직경을 0.5∼1.5 ㎜의 범위에서, 구멍부 면적율(면적당 개공율)을 3∼20%의 범위에서 형성하면 된다.
흡수체(13)에는 천연섬유 및/또는 화학섬유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천연섬유로서는 티슈, 분쇄 펄프, 수용성 수지에 의해 화학 결합한 에어 레이드 펄프, 코튼 등을 들 수 있고, 친수성 화학섬유로서는 재생 셀룰로오스인 레이온, 피브릴 레이온 등을 들 수 있으며, 합성섬유로서는 폴리에스테르,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등에 친수성 처리를 행한 합성섬유 등을 들 수 있고, 합성 생분해성 섬유로서는 폴리젖산, 폴리부틸렌숙시네이트 등을 들 수 있으며, 혹은 수용성을 갖는 소재의 예로서,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폴리비닐알코올, 폴리아크릴로니트릴 등을 들 수 있고, 그 중에서도 펄프나 코튼 등의 천연섬유, 레이온, 폴리젖산 등의 생분해성을 갖는 섬유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들을 단독 또는 소요의 배합에 의해 혼합하여 이용하여도 좋고, 나아가서는 알긴산소다, 전분, 스타치,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등의 고흡수성 폴리머를 입상물 혹은 섬유형물로 성형하여, 이 고흡수성 폴리머 등으로 소요의 배합에 의해 혼합하여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흡수체(13)의 구체적인 예로서는, 목재 펄프를 단위 중량 150∼500 g/㎡로 적층하여 티슈에 봉입하고, 이것을 프레스 장치로써 두께 2∼10 ㎜로 조정한 것을 들 수 있다. 전분 등의 흡수재를 5∼30 g/㎡, 상기 흡수체에 혼입시킴으로써, 월경혈의 흡수나 유지 능력을 증가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생분해성 및/또는 수용성을 갖는 액 불투과 소재의 예로서, 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등의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비닐알코올, 알긴산소다, 폴리아크릴산소다, 폴리아크릴산에테르, 폴리비닐피롤리돈, 이소부틸렌과 무수 말레산과의 공중합체와 같은 수용성 고분자, 폴리젖산, 폴리부틸렌숙시네이트, 전분, 덱스트린 등을 들 수도 있다.
이들에 대해서는 단독 혹은 소요의 배합에 의해 혼합하여 필름 시트로 성형하여도 좋고, 나아가서는 이 필름 시트에 실리콘 등의 발수 소재를 도포 혹은 혼입하여도 좋으며, 또한, 부직포에 라미네이트 처리 성형하도록 한 것이어도 좋다.
이러한 시트의 구체적인 예로서는, 폴리비닐알코올을 단위 중량 20∼50 g/㎡로 조정한 필름의 적어도 한 면, 보다 적합하게는 양면에, 실리콘 또는 불소를 0.5∼5 ㎛ 도포한 것을 들 수 있다.
규제 미니 시트편(14)에 적합한 재료로서는, 폴리비닐알코올 필름, 혹은, 폴리비닐알코올과 티슈의 라미네이트재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적용되는 접합으로서는, 수용성 또는 수팽윤성을 갖는 폴리비닐알코올 등에 의한 접착, 히트 시일, 혹은 열가소성의 수분산성 접착제를 이용한 히트 시일 또는 수소 결합 등에 의한 접합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수용성 소재 또는 수분산성 소재인 포장 주머니의 구체적인 예로서는, 단위 중량 15∼40 g/㎡로 조정된 티슈와 단위 중량 20∼50 g/㎡의 폴리비닐알코올을 라미네이트하고, 폴리비닐알코올측에 0.5∼1 ㎛의 범위에서 실리콘이 도포된 복합 재료나, 폴리젖산 섬유를 주체로서 단위 중량 15∼40 g/㎡로 조정된 스펀 본드 부직포 등을 들 수 있다.
도 5는 긴 볼록형 영역(3)이 양단부에 있어서의 중공부(5)의 단면적이 서로 다른 것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긴 볼록형 영역의 중공부(5)의 단면적은 전방의 단면(5a)에 있어서 최대 면적을 가지며, 후방의 단면(5b)을 향해 연속적으로 작아지고 있다. 이 때문에, 본 실시예의 음순간 패드(1)를 사용하는 데에 있어서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집게손가락 또는 중지의 불룩한 부분을 이면측 시트(12)의 신체 반대측면(12A)에 접촉시키면서 단면(5a)으로부터 단면(5b)으로 향해 삽입해 나감으로써, 손가락 끝에 음순간 패드(1)가 확실히 유지된다.
이와 같이 손가락을 삽입함으로써, 수용기가 많이 점재하고 있는 손가락의 제1 관절의 지문면이 이면측 시트(12)의 신체 반대측면(12A)에 접촉한 상태가 된다. 이 때문에, 음순간 패드(1)를 음순으로 유도할 때에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음순(18)에 표면측 시트(11)의 신체측면(11A)을 접촉시켜 감각이 예리한 손가락 끝에 의해 음순(18)의 요철을 감지하면서, 눈으로 확인하기 곤란한 음순 사이의 깊숙한 곳에, 음순간 패드(1)의 신체면측에 형성된 긴 볼록형 영역(3)을 확실하게 유도할 수 있다.
[음순간 패드의 형상]
본 실시예에 관한 음순간 패드(1)의 형상은 음순 사이에 장착하는 데 적합한 형상이면 좋고, 타원형, 알형, 표주박형, 물방울형 등의 형상으로 하여도 좋지만,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은 형상으로 함으로써, 음순 사이 및 손가락의 쌍방에 맞기 쉬운 것으로 할 수 있다.
또, 본 실시예의 음순간 패드를 구성하는 각 시트는 유연성 시트로 이루어져, 외부로부터의 압력에 의해 탄성 변형 자유자재로 되어 있기 때문에, 음순간 패드(1)의 형태는 외관상 구부러지거나 비틀린 형상으로 변형하거나 하는 경우가 있지만, 각 시트의 변형을 제외하고 잡아늘인 상태에 있어서, 전술한 바와 같은 형상을 이룬다.
또, 중공부(5)에 있어서는 짧은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단면 형상은, 전술한 바와 같이, 각 면을 잡아늘인 상태에 있어서 거의 삼각 형상의 형태를 이루는 것이지만, 손가락이 삽입된 단계에서는 손가락의 두께를 따라 타원형 또는 원 형상으로 변형되거나, 사용전에 중공부(5)의 내측으로 쓰러져 인접하는 면과 접촉하도록 변형되고 있거나 하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각 면을 소정 형상으로 잡아늘이면, 전술한 본 발명에 있어서의 구조를 갖는 형상을 이룰 수 있다.
[음순간 패드의 변형 상태]
다음에, 착용했을 때의 본 실시예에 관한 음순간 패드(1)의 변형 상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9는 음순간 패드의 긴 볼록형 영역이 변형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0의 (A)는 도 9의 X-X 방향에서 본 단면도이며, 도 10의 (B)는 도 9의 Y-Y 방향에서 본 단면도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긴 볼록형 영역(3)의 내측은 중공부(5)로 되어 있기 때문에, 음순간 패드(1)를 장착한 착용자가 속옷 등을 입었을 때에 있어서,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긴 볼록형 영역(3)은 그 일부인 비변형 영역(3a)에 있어서 원래의 형상을 유지하고, 그 이외의 영역인 변형 영역(3b, 3c)에 있어서 거의 평탄형으로 변형한다. 즉, 도 10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비변형 영역(3a)은 그 형상을 유지한 채로 음순 사이의 깊숙한 곳으로 들어가고, 도 10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변형 영역(3b, 3c)은 거의 평탄형으로 변형하여 외음부 전후의 주변 부분에 밀착하게 된다. 이와 같이, 긴 볼록형 영역(3)이 착용자의 음순과 접촉하여 적절하게 그 형상을 변형함으로써, 월경혈이 따라 새는 것을 거의 차단할 수 있다.
그리고, 긴 볼록형 영역(3)에 연접하는 연장 영역(4)은 외음부를 덮도록 하여 장착되기 때문에, 외음부의 내벽을 향해 고속 또한 다량으로 흐르는 체액의 흐름에 대해서 거의 수직으로 위치되게 된다. 이 때문에, 음순간 패드의 짧은 길이 방향으로부터 새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규제 미니 시트편의 접합]
다음에, 본 실시예에 관한 음순간 패드에 있어서의 규제 미니 시트편의 접합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1은 긴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이면측 시트에 대한 규제 미니 시트편의 접합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2는 긴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이면측 시트에 대한 규제 미니 시트편의 접합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우선, 이면측 시트(13)의 긴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규제 미니 시트편(14)의 접합 상태를 설명한다. 이면측 시트(13)의 긴 길이 방향에 있어서는, 도 11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규제 미니 시트편(14)의 이면측 시트(12)에 대한 비접합부로서, 손가락 삽입용 입구가 되는 비접합부(14a) 이외에, 제2 비접합부(14b)가 존재한다. 이 제2 비접합부(14b)를, 중공부(5)내로 착용자가 손가락을 삽입했을 때에 손가락 끝이 규제 미니 시트편(14)로 덮어지도록 하여 위치를 부여함으로써, 손가락 끝이 노출되어 음순에 잔존하고 있는 월경혈에 손가락 끝이 접촉한다고 하는 사태를 미연에 막을 수 있다.
또, 규제 미니 시트편(14)의 수가 복수 매이어도, 도 11의(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착용자의 손가락 끝을 규제 미니 시트편(14)이 덮을 수 있도록, 최단에 위치하는 비접합부(14b)가 위치되는 것이면, 규제 미니 시트편(14)의 매수는 복수 매라도 좋다.
또한,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규제 미니 시트편의 한쪽 단부를 접합부(14c)로서 이면측 시트의 단부(12b)에 위치시키고, 이면측 시트(11)와 규제 미니 시트편(14) 사이에 형성된 손가락 삽입용 공간을 포켓형으로 함으로써, 잘못하여 손가락 끝이 접촉부 부근에 닿는다고 하는 사태가 발생하는 것을 확실하게 회피할 수 있고, 보다 위생적인 것으로 할 수도 있다.
규제 미니 시트편(14)은 긴 볼록형 영역(3)에 있어서의 비변형 영역(3a)과 대응하는 위치에 있어서 이면측 시트(12)와 접합시킴으로써, 흡수층 시트(2)의 굴곡부의 확대를 규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에 따라, 긴 볼록형 영역(3)이 질구 부근에서 평탄형으로 변형해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규제 미니 시트편(14)은 이면측 시트(12)와는 접합부(17)에 있어서만 접합되어 있고, 접합부(17)로부터 내측은 공동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그 규제 미니 시트편(14)이 긴 볼록형 영역(3)에 있어서의 비변형 영역(3a)의 상하 방향으로의 가벼운 변형을 불필요하게 제한하는 일은 없는 것이다.
규제 미니 시트편(14)은 손가락 삽입용 공간을 형성하도록 내측이 이면측 시 트(12)와 접착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음순간 패드(1)가 장착 후에 그 손가락 삽입용 공간에서 손가락이 빼내어진 후에는,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신체측과는 반대 방향으로 느슨해져 있다. 이 때문에, 사용을 끝낸 음순간 패드(1)를 떼어내는 데 있어서는,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느슨한 상태의 규제 미니 시트편(14)을 인장할 수 있다. 또한, 규제 미니 시트편(14)을 액 불투과성, 혹은 투습성 소재로 함으로써, 착용자가 규제 미니 시트편(14)을 잡은 경우에도, 손가락이 오염되지 않고, 음순간 패드를 떼어낼 수 있게 된다.
다음에, 이면측 시트의 짧은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규제 미니 시트편의 접합 상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5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면측 시트(11)와 이면측 시트(12)와의 접합 지점인 주연부(15)와 같은 위치에 접합부(17)를 위치시켜 함께 고정한 경우에는, 주연부(15) 부분이 딱딱해지게 되어, 착용감을 저해한다. 이것에 대해서는, 주연부(15)의 부분 이외에 접합부(17)를 배치하여 규제 미니 시트편(14)을 고정함으로써 회피할 수 있다.
그러나, 도 15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접합부(17)를 주연부(15)의 부분보다도 외측에 위치시킨 경우에는, 도 15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착용자의 동작에 따라 접합부(17) 및 그 근방이 움직임으로써 마찰이 생겨, 착용자에게 자극을 주게 될 가능성도 있다고 생각된다.
이러한 것으로부터, 실시에 있어서는, 도 15의 (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연부(15)와 접합부(17)는 위치를 어긋나게 하고, 또한, 주연부(15)의 부분보다도 내측에 접합부(17)를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규제 미니 시트편(14)을 부착하는 데에 있어서는, 접착제로서 감압형 핫 멜트, 감열형 핫 멜트 등을 사용할 수 있고, 또한, 그 도포 형태로서는, 면형, 선형, 나선형, 점형 등의 것을 채용할 수 있다.
또, 규제 미니 시트편(14)은 상기와 같은 부착 부분에 적합하도록 미리 재단해 두어도 좋고, 또한, 접합하는 지점을 다른 시트와 다르게 할 뿐이며, 재단은 다른 시트와 함께 행하도록 하여도 좋다.
[점착제의 도포]
표면측 시트(11)의 착용자 피부와 접촉하는 부분에는 점착제를 미리 도포해 둠으로써, 음순간 패드의 음순 사이 내로의 고정 및 밀착성을 보다 강화하여 착용자의 신체 동작에 의해 음순간 패드(1)와 신체 사이에 간극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점착제로서는, 수용성 고분자, 가교제, 가소제, 수분으로 이루어진 겔 점착제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할 수 있는 수용성 고분자로서는, 예컨대 젤라틴, 폴리아크릴산나트륨, 폴리비닐알코올, 카르복실메틸셀룰로오스 등을 들 수 있고, 가교제로서는 염화칼슘, 황산마그네슘과 같은 수용성 금속염을 들 수 있으며, 가소제로서는 글리세린, 왁스, 파라핀 등을 들 수 있다.
다른 점착제로서는, 소위 감압형 핫 멜트라고 불리는 점착제도 사용할 수 있다. 덧붙여서, 이 감압형 핫 멜트라고 부르고 있는 본 점착제의 주성분은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SIS),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블록 공중합체(SBS), 스티렌-에틸렌·부타디엔-스티렌 블록 공중합체(SEBS), 스티렌-에 틸렌·프로필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SEPS)와 같은 합성 고무 수지가 주체가 된 것으로, 감압형 핫 멜트는 거기에 테르펜 수지, 로진 수지인 점착 부여제와 왁스 등의 가소제를 용융 혼합함으로써 얻어지는 점착제이다. 또한, 이 밖의 점착제로서, 실리콘계 점착제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고, 그러한 것으로서는, 실리콘 수지, 불소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여, 백금, 몰리브덴, 안티몬과 같은 금속염으로부터 얻어지는 가교제, 에스테르계왁스, 글리세린, 머신오일로부터 얻어지는 가소제를 혼합하여 얻어지는 혼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여기서, 도포 안정성을 고려한 경우에는, 점착제로서는 감압형 핫 멜트가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SEBS인 스티렌계 블록 공중합체 15∼25 중량%, 가소제 15∼35 중량%, 점착 부여제 40∼70 중량%로 용융 혼합한 점착제이다. 또한, 이 감압형 핫 멜트에 대해서는, 경우에 따라서는 산화 방지제, 형광 방지제 등을 0.1∼1.0 중량%의 범위에서 첨가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점착제에 대해서는, 점착제의 부분을, 일반적으로 얻어지는 박리지인 박엽지에 실리콘 수지를 코트한 시트 또는 필름에 실리콘 수지를 코트한 시트로 피복함으로써, 보관중의 박리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점착제의 배치 방법으로서는, 면형, 도트형, 메쉬형, 줄형 등의 것을 들 수 있다. 점착제의 도포 위치는 신체에의 고정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음순 부근, 특히 음순의 앞부분에 있는 발모 부분의 존재를 고려한 후에, 음순간 패드의 양측부 부근에 줄형으로 1∼5 ㎜ 정도의 폭 치수의 범위에서 도포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점착제의 점착력의 평가 방법에 대해서 일례를 설명한다. 이러한 평가 방법은 점착제의 박리 강도(도 16 참조) 및 점착제의 전단 강도(도 17 참조)를 측정하는 것으로, 정속 신장 인장 시험기 및 길이 80 ㎜ ×폭 50 ㎜의 스테인레스판을 이용하여 행한다. 평가 시험을 행하는 것에 있어서는, 미리 스테인레스판과 거의 같은 사이즈의 폴리에틸렌 필름에, 점착제를 폭 25 ㎜, 길이 50 ㎜가 되도록 도포한 것을 실온하(20℃)에서 30분 방치해 둔다. 다음에, 스테인레스판에 점착제가 접촉하도록 폴리에틸렌 필름을 겹쳐서 가볍게 얹혀놓고, 2 kg의 롤러를 편도만 1회 건다. 그 후에, 실온하(20℃)에 30분 방치하여 시험편을 작성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작성한 시험편의 폴리에틸렌 필름 부분을, 박리 강도 시험에 있어서는, 도 32에 도시하는 화살표 A의 방향으로 인장하여 박리하고, 전단 강도 시험에 있어서는 도 33에 도시하는 화살표 B의 방향으로 인장한다. 단, 시험 조건으로서는, 척 간격(잡는 간격) 70 ㎜, 인장 속도를 100 ㎜/min으로 한다. 상기 방법에 의해 측정한 경우에 있어서의 박리 강도의 측정치는 100∼2000 mN/25 ㎜, 전단 강도의 측정치는 2900∼15000 mN/25 ㎜인 것이 바람직하다. 착용자의 피부에의 부담을 고려한 것이다.
[음순간 패드의 다른 사용 형태]
본 실시 형태의 음순간 패드(1)는,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상의 생리대(30)와 병용하여 이용할 수도 있다. 장착 방법으로서는, 음순간 패드(1)를 음순 사이내로 장착하고, 생리대(30)를 속옷에 장착한다. 본 실시예에 관한 음순간 패드(1)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착용자의 음순 형상을 따라 변형하기 때문 에, 월경혈의 샘 방지 기능이 높은 것이지만, 이와 같이 생리대와 병용함으로써, 월경혈량이 많은 날이라도, 본 발명의 음순간 패드를 보다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음순간 패드를 개별 포장하는 것에 있어서는, 포장 용기 개봉 후 곧 손가락을 삽입할 수 있도록, 개봉 방향과 손가락 끝 삽입 방향이 동일 방향이 되도록 포장 용기와 이방성을 갖게 하여 내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내포하는 것에 있어서는, 손가락 삽입을 위한 규제 미니 시트편(14)이 찢는 부분에 가깝게 되도록 배치하거나, 포장 용기의 개봉시에 손가락 삽입용 입구(19)가 자연스럽게 열리도록 되어 있는 것이면, 음순간 패드(1)를 접어 포개어 내포시켜도 상관없다. 예컨대, 도 19의 도 1(A)와 같이 규제 미니 시트편(14)이 내측이 되도록 하여도 좋고, 또한, 도 19의 (B)와 같이, 규제 미니 시트편(14)이 외측이 되도록 하여도 상관없다.
이와 같이, 규제 미니 시트편(14)과 이면측 시트(12) 사이에 형성된 손가락삽입용 입구(19)에 착용자가 간이하고 또한 신속하게 손가락을 삽입할 수 있는 상태로 개별 포장함으로써, 착용 시간의 한층 더한 단축화를 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음순간 패드의 장착 상태]
다음에, 음순간 패드(1)를 착용자의 음순에 장착한 상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도 20은 기성의 돌출부(21)를 갖는 음순간 패드의 장착 상태를 설명하는 설명도이고, 도 21은 이면측 시트의 후방 단부에 규제 미니 시트편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도 11 참조)의 본 실시예의 음순간 패드의 장착 상태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며, 도 22는 이면측 시트의 후방 단부에 규제 미니 시트편이 존재하고 있는 포켓형의 손가락 삽입용 공간을 형성하는(도 12 참조) 본 실시예의 음순간 패드의 장착 상태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성의 돌출부(21)를 갖는 음순간 패드는 본 실시예의 음순간 패드와 같이 돌출부(21)의 전후가 평탄형으로 넓어지는 일은 없다. 이 때문에, 돌출부(21) 이외의 부분에 있어서는 착용자의 신체와 음순간 패드 부분에 있어서 간극을 발생시키게 된다.
이것에 대하여, 도 21에 도시되는 본 실시예의 음순간 패드(1)에 있어서는, 규제 미니 시트편(14)이 부착되어 있지 않은 2지점에 대응하는 부분에 있어서, 긴 볼록형 영역(3)의 일부인 변형 영역(3b, 3c)이 착용자의 음순 전후에 있어서 평탄형으로 변형하고 있다. 이 때문에, 도 20의 경우와 같이 간극이 발생하는 일이 없다.
또한, 도 22의 음순간 패드에 있어서는, 이면측 시트(12)의 후방 단부(12b)에도 규제 미니 시트편(14)이 접합되어 있기 때문에, 규제 미니 시트편(14)이 존재하지 않는 변형 영역(3b)만이 착용자의 음순 전방에 있어서 평탄형으로 변형한다. 이 때문에, 음순이 후방을 향하는 형상의 이용자에게 있어서 샘 방지에 효과적이다. 이와 같이, 규제 미니 시트편(14)이 부착 위치를 적절하게 변경함으로써, 착용자의 선택의 폭을 넓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음순 사이에 긴 볼록형 영역(3)이 끼워 넣어진 후에는,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장 영역(4)이 외음부를 덮도록 변형하여 위치된다. 이에 따라, 긴 볼록형 영역(3)에서 흡수할 수 없던 월경혈이 음순간 패드의 짧은 길이 방향에 대하여 유출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음순간 패드의 신체측면에 설치된 긴 볼록형 영역이 착용자의 음순 형상을 따라 적절하게 변형하기 때문에, 음순간 패드와 착용자의 안다리 사이에 간극이 발생하는 일이 없고, 월경혈이 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규제 미니 시트편을 부착한 본 발명에 따르면, 착용자는 전술한 긴 볼록형 영역을 용이하게 음순 사이에 끼워 장착시키도록 음순간 패드를 장착할 수 있기 때문에, 장착 미스를 현저히 저감할 수 있다. 또한, 그 규제 미니 시트편이 적절한 위치에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종래의 경우에 비하여 장착시에 있어서의 월경혈의 손가락 끝 부착을 방지하는 효과도 높여지고 있다.

Claims (16)

  1. 신체측에 면하는 투수성 표면측 시트와 의복측에 면하는 투수성 또는 불투수성 이면측 시트가 체액을 흡수하는 흡수체를 내포한 형태로 접합되어 이루어지며, 여성 음순 사이에 무리 없이 끼우는 것이 가능한 크기의 음순간 패드로서,
    상기 표면측 시트의 짧은 길이 방향의 거의 중앙 부분이 신체측을 향해 정점이 되도록 상기 음순간 패드의 긴 길이 방향을 따라 적어도 상기 표면측 시트 및 상기 흡수체가 구부러져 형성되어 있는 굴곡부로 이루어진 긴 볼록형 영역과,
    상기 긴 볼록형 영역의 가장자리의 연장으로서 상기 표면측 시트의 짧은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연장 영역과,
    상기 이면측 시트의 긴 길이 방향의 각 측부에 있어서 한 지점 이상의 접합 부분과, 그 이면측 시트의 짧은 길이 방향에 있어서 한 지점 이상의 비접합 부분을 갖고, 상기 한 지점 이상의 비접합 부분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긴 볼록형 영역의 굴곡부에 있어서 상기 이면측 시트 사이에서 손가락 삽입용 입구를 형성하는 규제 미니 시트편과,
    상기 규제 미니 시트편이 상기 긴 볼록형 영역을 사이에 두고 음순간에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것에 의해, 상기 긴 볼록형 영역에 있어서 굴곡부의 확대가 규제되어 상기 긴 볼록형 영역을 유지하기 쉬운 비변형 영역과,
    상기 규제 미니 시트편이 존재하지 않는 영역이 상기 긴 볼록형 영역을 사이에 두고 음순간 이외의 주변에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것에 의해, 상기 긴 볼록형 영역에 있어서 굴곡부의 확대가 규제되지 않아 변형 가능하고 평탄화하기 쉬운 변형 영역
    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순간 패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긴 볼록형 영역의 내부는 상기 미니 시트편을 수반한 긴 구멍 공간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순간 패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긴 볼록형 영역의 단면이 상기 미니 시트편을 밑변으로 한 거의 삼각 형상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순간 패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긴 볼록형 영역의 단면적은 긴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한쪽 단부로부터 다른 쪽 단부를 향함에 따라 서서히 작아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순간 패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긴 볼록형 영역의 단면은 높이가 5 ㎜ ∼ 30 ㎜, 밑변 폭이 1 ㎜ ∼ 20 ㎜의 상기 미니 시트편을 밑변으로 한 거의 삼각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순간 패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긴 볼록형 영역은 그 긴 길이 방향의 길이 치수가 60 ㎜ ∼ 15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순간 패드.
  7. 제1항에 있어서, 생리대와 병용되는 생리대 병용용 음순간 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순간 패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순간 패드는 요실금용 음순간 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순간 패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순간 패드는 질분비물 흡수용 음순간 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순간 패드.
  10. 상기 표면측 시트, 상기 흡수체 및 상기 이면측 시트로 이루어진 흡수층 시트에 대하여, 그 흡수층 시트의 짧은 길이 방향의 폭보다 짧은 폭의 상기 규제 미니 시트편을 상기 흡수층 시트의 짧은 길이 방향의 폭에 맞추고, 또한 음순간에 대향하도록 배치되도록 부착하여 음순간 패드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흡수층 시트의 신체측에 주름진 부분을 생기게 하여, 그 주름진 부분을 긴 볼록형 영역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한 음순간 패드의 제조 방법.
  11.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한 음순간 패드가 개별 포장용 포장 용기에 내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체.
  12.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한 음순간 패드가 개별 포장용 포장 용기에 내포되어 있는 포장체로서, 상기 음순간 패드가 상기 포장 용기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내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체.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KR1020037015189A 2001-05-22 2002-05-21 음순간 패드 Expired - Fee Related KR10080194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1-00152403 2001-05-22
JP2001152403 2001-05-22
JP2001195365 2001-06-27
JPJP-P-2001-00195365 2001-06-27
PCT/JP2002/004881 WO2002094145A1 (fr) 2001-05-22 2002-05-21 Tampon interlabia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07589A KR20040007589A (ko) 2004-01-24
KR100801943B1 true KR100801943B1 (ko) 2008-02-12

Family

ID=266154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15189A Expired - Fee Related KR100801943B1 (ko) 2001-05-22 2002-05-21 음순간 패드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040181201A1 (ko)
EP (1) EP1424051B1 (ko)
JP (1) JP4230778B2 (ko)
KR (1) KR100801943B1 (ko)
CN (1) CN100450464C (ko)
AT (1) ATE522194T1 (ko)
TW (1) TW541170B (ko)
WO (1) WO200209414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231196C (zh) * 2001-05-22 2005-12-14 尤妮佳股份有限公司 阴唇间吸湿垫及其包装体
JP4566522B2 (ja) 2002-08-30 2010-10-20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体の製造装置
US7754940B2 (en) * 2003-06-12 2010-07-13 Johnson & Johnson Inc. Thin sanitary napkin having protrusions
US8246593B2 (en) 2003-07-03 2012-08-2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Sanitary napkin for dynamic body fit
EP1693032B1 (en) * 2003-12-09 2013-02-20 Uni-Charm Corporation Inter-labium pad
EP1693033A4 (en) 2003-12-09 2009-09-23 Uni Charm Corp INTER-Labium PAD
US7582074B2 (en) 2004-09-16 2009-09-01 Mcneil-Ppc, Inc. Drapeable sanitary absorbent napkin
US7578810B2 (en) * 2004-09-16 2009-08-25 Mcneil-Ppc, Inc. Body attachable drapeable sanitary absorbent napkin with AI, MCB and BW values
AU2005209598B2 (en) * 2004-09-16 2011-06-16 Johnson & Johnson Consumer Inc. Drapeable sanitary absorbent napkin
AU2005209663A1 (en) * 2004-09-16 2006-03-30 Mcneil-Ppc, Inc. Drapeable sanitary absorbent napkin
US7695461B2 (en) 2004-09-16 2010-04-13 Mcneil-Ppc, Inc. Drapeable sanitary absorbent napkin
US7704241B2 (en) 2004-09-16 2010-04-27 Mcneil-Ppc, Inc. Drapeable sanitary absorbent napkin
AU2005209665B2 (en) * 2004-09-16 2011-05-19 Johnson & Johnson Consumer Inc. Drapeable sanitary absorbent napkin
US7615039B2 (en) 2004-09-16 2009-11-10 Mcneil-Ppc, Inc. Body attachable drapeable sanitary absorbent napkin
AU2005205823B2 (en) * 2004-09-16 2011-12-01 Johnson & Johnson Consumer Inc. Body attachable drapeable sanitary absorbent napkin
US7811270B2 (en) 2004-09-16 2010-10-12 Mcneil-Ppc, Inc. Disposable absorbent sanitary napkin with modified circular bending stiffness and absorbency index values for improved drapeability
AU2005205821B2 (en) * 2004-09-16 2011-12-01 Johnson & Johnson Consumer Inc. Drapeable sanitary absorbent napkin
US7566329B2 (en) 2006-03-16 2009-07-28 Mcneil-Ppc, Inc. Drapeable absorbent article
US7753897B2 (en) * 2006-03-16 2010-07-13 Mcneil-Ppc, Inc. Drapeable absorbent article
US7771404B2 (en) * 2006-03-16 2010-08-10 Mcneil-Ppc, Inc. Drapeable absorbent article
TW200913969A (en) * 2007-09-27 2009-04-01 Kang Na Hsiung Entpr Co Ltd Externally set sanitary pad
US7976525B2 (en) * 2008-02-13 2011-07-12 Kimberly-Clark Worldwide, Inc. Compound absorbent article with improved body contact
JP5498028B2 (ja) * 2009-02-06 2014-05-21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の体液吸収性着用物品
US9394637B2 (en) 2012-12-13 2016-07-19 Jacob Holm & Sons Ag Method for production of a hydroentangled airlaid web and products obtained therefrom
US20150141945A1 (en) * 2013-11-21 2015-05-21 Ravit Emergi Disposable Feminine Hygiene Utility
JP6373216B2 (ja) * 2015-03-31 2018-08-15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US10709806B2 (en) * 2015-07-22 2020-07-14 Everyone's Earth Inc. Biodegradable absorbent articles
TW201733541A (zh) * 2016-03-23 2017-10-01 yuan-zheng Jian 衛生棉
WO2020256865A1 (en) 2019-06-21 2020-12-24 Purewick Corporation Fluid collection devices including a base securement area, and related systems and methods
US20230210685A1 (en) * 2020-04-17 2023-07-06 Purewick Corporation Fluid collection devices, systems, and methods securing a protruding portion in position for use
US20210378883A1 (en) * 2020-06-08 2021-12-09 Lynnea Lang Feminine sanitary fold device
USD992859S1 (en) 2020-12-10 2023-07-25 Armani Ibrahim Body shape enhancing apparatus
US11647797B2 (en) 2020-12-10 2023-05-16 Armani Ibrahim Body shape enhancing apparatus and method
USD1075217S1 (en) 2020-12-10 2025-05-20 Armani Ibrahim Garment with body shape enhancing apparatus
USD942119S1 (en) 2020-12-10 2022-02-01 Armani Ibrahim Body shape enhancing apparatus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95392A (en) * 1983-10-03 1986-06-17 Kimberly-Clark Corporation Interlabial pad
EP0419434A1 (en) 1989-09-20 1991-03-27 Mölnlycke AB A sanitary napkin or incontinence guard
WO1995017148A2 (en) 1993-12-22 1995-06-2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Sanitary napkin having convex upward shaped cross section
WO1999001096A1 (en) 1997-07-01 1999-01-1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Handling aid for a body applied disposable absorbent article
US6131736A (en) 1999-06-28 2000-10-1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Packaging device for an interlabial absorbent article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331355A (en) * 1941-09-18 1943-10-12 Herman L Strongson Catamenial pad
US5336208A (en) 1991-01-10 1994-08-09 Advanced Surgical Intervention, Inc. Urinary incontinence pad
JPH0518523U (ja) 1991-08-26 1993-03-09 克子 杉原 生理用ナプキン
US5885265A (en) * 1995-11-22 1999-03-2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Water dispersible and flushable interlabial absorbent structure
US6183456B1 (en) * 1997-06-16 2001-02-06 The Procter & Gamble Company Feminine hygiene system and kit using an absorbent interlabial device
EP0888764A1 (en) * 1997-07-01 1999-01-0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Use of a handling aid for a body applied disposable absorbent article
US6010001A (en) * 1997-11-21 2000-01-0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Individual packaging for hygienic wiping
US6475199B1 (en) * 1998-04-27 2002-11-0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ethod of individually packaging a three dimensionally-shaped absorbent articl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95392A (en) * 1983-10-03 1986-06-17 Kimberly-Clark Corporation Interlabial pad
EP0419434A1 (en) 1989-09-20 1991-03-27 Mölnlycke AB A sanitary napkin or incontinence guard
WO1995017148A2 (en) 1993-12-22 1995-06-2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Sanitary napkin having convex upward shaped cross section
WO1999001096A1 (en) 1997-07-01 1999-01-1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Handling aid for a body applied disposable absorbent article
US6131736A (en) 1999-06-28 2000-10-1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Packaging device for an interlabial absorbent art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514709A (zh) 2004-07-21
EP1424051A4 (en) 2004-11-10
CN100450464C (zh) 2009-01-14
WO2002094145A1 (fr) 2002-11-28
KR20040007589A (ko) 2004-01-24
TW541170B (en) 2003-07-11
ATE522194T1 (de) 2011-09-15
EP1424051B1 (en) 2011-08-31
JP4230778B2 (ja) 2009-02-25
JPWO2002094145A1 (ja) 2004-09-02
HK1068241A1 (zh) 2005-04-29
US20040181201A1 (en) 2004-09-16
EP1424051A1 (en) 2004-06-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01943B1 (ko) 음순간 패드
EP1407742B1 (en) Interlabial pad
KR100785365B1 (ko) 손가락 확보를 위한 형태를 구비하는 음순간 제품 및 개별 포장체
JP4960946B2 (ja) 陰唇間パッド及びその包装体
US7033342B2 (en) Flap-equipped interlabial pad
KR100797494B1 (ko) 음순간 패드
JP4230780B2 (ja) 陰唇間パッド
JPWO2002094153A1 (ja) 陰唇間パッド
JP4178043B2 (ja) 陰唇間パッド
JP4178044B2 (ja) 陰唇間パッド及びその包装体
JP4178042B2 (ja) 陰唇間パッド
HK1068241B (en) Interlabial pa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5-nap-PA0105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T11-X000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E13-X000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2-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PG1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5-5-P10-P19-oth-PG1701

Patent document republication publication date: 20080408

Republication note text: Request for Correction Notice (Document Request)

Gazette number: 1008019430000

Gazette reference publication date: 200802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8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7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150201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502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