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794774B1 - 온도 보상 회로 - Google Patents

온도 보상 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94774B1
KR100794774B1 KR1020067019699A KR20067019699A KR100794774B1 KR 100794774 B1 KR100794774 B1 KR 100794774B1 KR 1020067019699 A KR1020067019699 A KR 1020067019699A KR 20067019699 A KR20067019699 A KR 20067019699A KR 100794774 B1 KR100794774 B1 KR 1007947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resistor
compensation circuit
terminal pair
temperature compensa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196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16246A (ko
Inventor
다렐 바라바쉬
Original Assignee
노키아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US10/795,447 external-priority patent/US7034618B2/en
Application filed by 노키아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노키아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0601162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62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47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4774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1/00Details of 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nly semiconductor devices or only unspecified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1/30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educe influence of variations of temperature or supply voltage or other physical paramete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1/00Details of 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nly semiconductor devices or only unspecified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1/30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educe influence of variations of temperature or supply voltage or other physical parameters
    • H03F1/306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educe influence of variations of temperature or supply voltage or other physical parameters in junction-FET amplifie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3/00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3/189High-frequency amplifiers, e.g. radio frequency amplifiers
    • H03F3/19High-frequency amplifiers, e.g. radio frequency amplifi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3F3/193High-frequency amplifiers, e.g. radio frequency amplifi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only with field-effect devices
    • H03F3/1935High-frequency amplifiers, e.g. radio frequency amplifi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only with field-effect devices with junction-FET device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3/00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3/20Power amplifiers, e.g. Class B amplifiers, Class C amplifiers
    • H03F3/24Power amplifiers, e.g. Class B amplifiers, Class C amplifiers of transmitter output stages
    • H03F3/245Power amplifiers, e.g. Class B amplifiers, Class C amplifiers of transmitter output stages with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3/00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3/60Amplifiers in which coupling networks have distributed constants, e.g. with waveguide resonators
    • H03F3/601Amplifiers in which coupling networks have distributed constants, e.g. with waveguide resonators using FET's, e.g. GaAs FET'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 H03F2200/18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the bias of the gate of a FET being controlled by a control signal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 H03F2200/447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the amplifier being protected to temperature influence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 H03F2200/451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the amplifier being a radio frequency amplifier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 H03F2200/504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the supply voltage or current being continuously controlled by a controlling signal, e.g. the controlling signal of a transistor implemented as variable resistor in a supply path for, an IC-block showed amplifi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mplifi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증폭기를 위한 온도 보상 회로에 관한 것이다. 이 회로는 전압 조절기, 컴포넌트 배열, 및 두 개 이상의 저항기 유닛을 가진 저항기 결합부를 포함한다. 온도 보상 회로의 출력 전압의 적어도 일부는 조절 가능하다. 상기 컴포넌트 배열은 전압의 공지된 온도 의존성을 가진 적어도 하나의 컴포넌트를 포함한다. 상기 저항기 결합부는 저항기 결합부 내의 저항기의 값의 비율로서 슬로프 계수를 형성한다. 상기 저항기 결합부는 컴포넌트 배열의 공지된 온도 의존성 및 슬로프 계수의 기능인 온도 의존성을 구비한 출력 전압을 온도 보상 회로에 제공하기 위해서 컴포넌트 배열에 결합된다.
저항기, 슬로프 계수, 온도 보상 회로, 전압 조절기, 증폭기

Description

온도 보상 회로{TEMPERATURE COMPENSATING CIRCUIT}
본 발명은 증폭기의 바이어스 전압의 온도 보상에 관한 것이다.
증폭기의 바이어스 전압의 온도 보상은 증폭기가 전원의 전압 변화에 일반적으로 민감하기 때문에 중요하다. 이는 예를 들어 무선 시스템의 기지국에 사용되는 LDMOS(Laterally Diffused Metal Oxide Semiconductor) 장치와 같은 RF 전력 증폭기에서 특히 중요하다.
기지국이 실외에 위치할 때, 전원의 출력 전압은 온도에 따라 변하며, 그 변화는 증폭에서 큰 변화를 야기할 가능성이 매우 크다. 종래 기술에서 온도 보상은 예를 들어 센서와 마이크로컨트롤러를 이용하여, 소정의 제어 알고리즘을 가진 마이크로컨트롤러가 센서에 의해 감지된 온도에 근거하여 온도 보상 회로에 의해 제공된 바이어스 전압을 제어하도록 수행되었다. 이러한 종류의 해결법은 매우 복잡하고 비싸며 수십 평방 센티미터의 전체 회로 기판 면적을 필요로 한다.
특허 공보 US 6,091,279는 2mV/℃ 온도 오프셋 특성을 가진 온도-의존 컴포넌트(temperature dependent component)를 포함하는 보다 단순한 온도 보상 회로를 보여준다. 온도-의존 컴포넌트로 상기 회로는 온도가 변화할 때 - 2mV/℃ 의 일정한 슬로프(slope)를 나타낸다. 그러나 이 해결법은 단점을 가진다. 이 슬로프가 일 정하기 때문에, 상기 해결법은 보상의 필요가 상수가 아닌 경우에는 사용될 수 없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개선된 온도 보상 회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증폭기를 위한 온도 보상 회로가 제공되는 데, 상기 회로는, 세 개 이상의 단자를 구비한 전압 조절기와, 여기서 제1 단자 쌍 사이의 전압은 조절 가능하고, 제2 단자 쌍 사이의 기준 전압은 열적으로 안정되고, 상기 온도 보상 회로의 출력 전압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 단자 쌍으로부터 제공되며; 전압의 공지된 온도 의존성을 가진 적어도 하나의 컴포넌트를 포함하는 컴포넌트 배열과, 여기서 공지된 온도 의존성을 가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컴포넌트는 상기 전압 조절기의 상기 제1 단자 쌍 사이에 결합되며; 그리고 저항기 결합부 내의 저항기의 값의 비율로서 슬로프 계수를 형성하는 두 개 이상의 저항기 유닛의 상기 저항기 결합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여기서 상기 저항기 유닛 각각은 적어도 하나의 저항기를 포함하고, 상기 저항기 결합부는 공지된 온도 의존성을 가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컴포넌트에 결합되어 그리고 상기 전압 조절기의 상기 제1 단자 쌍 사이에 결합되어, 상기 온도 보상 회로에 상기 슬로프 계수의 기능인 온도 의존성 및 상기 컴포넌트 배열 내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컴포넌트의 상기 공지된 온도 의존성을 가진 출력 전압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증폭기를 위한 온도 보상 회로가 제공되는데, 상기 회로는, 전압을 조절하는 수단과, 여기서 상기 전압을 조절하는 수단은 세 개 이상의 단자를 구비하고, 제1 단자 쌍 사이의 전압은 조절 가능하고, 제2 단자 쌍 사이의 기준 전압은 열적으로 안정하며, 상기 온도 보상 회로의 출력 전압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1 단자 쌍으로부터 제공되며; 공지된 온도 의존성을 제공하는 수단과; 그리고 슬로프 계수를 형성하는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회로는 상기 공지된 온도 의존성 및 상기 슬로프 계수의 기능인 온도 의존성을 가지는 출력 전압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증폭기를 위한 온도 보상 회로가 제공되는데, 상기 회로는, 세 개 이상의 단자를 구비한 전압 조절기와, 여기서 제1 단자 쌍 사이의 전압은 조절 가능하고, 제2 단자 쌍 사이의 기준 전압은 열적으로 안정되고, 상기 온도 보상 회로의 출력 전압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 단자 쌍으로부터의 전압이며; 전압의 공지된 온도 의존성을 가진 적어도 하나의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컴포넌트 배열과, 여기서 공지된 온도 의존성을 가진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이오드는 상기 전압 조절기의 상기 제1 단자 쌍 사이에서 순방향으로 바이어스되며; 그리고 저항기 결합부 내의 저항기의 값의 비율로서 슬로프 계수를 형성하는 두 개 이상의 저항기의 상기 저항기 결합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여기서 공지된 온도 의존성을 가진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이오드는 직렬 저항기와 직렬로 결합되고, 상기 컴포넌트 배열 및 상기 직렬 저항기의 상기 직렬 결합부는 병렬 저항기와 병렬로 결합되고, 상기 병렬 저항기와 상기 직렬 저항기는 상기 저항기 결합부의 상기 저항기이며, 상기 저항기 결합부는 공지된 온도 의존성을 가진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이오드에 결합되어 그리고 상기 전압 조절기의 상기 제1 단자 쌍 사이에 결합되어, 상기 온도 보상 회로에 상기 슬로프 계수의 기능인 온도 의존성 및 상기 컴포넌트 배열 내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이오드의 상기 공지된 온도 의존성을 가진 출력 전압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온도 보상 회로를 포함하는 증폭기가 제공되는데, 상기 온도 보상 회로는, 세 개 이상의 단자를 구비한 전압 조절기와, 여기서 제1 단자 쌍 사이의 전압은 조절 가능하고, 제2 단자 쌍 사이의 기준 전압은 열적으로 안정되고, 상기 온도 보상 회로의 출력 전압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 단자 쌍으로부터 제공되며; 전압의 공지된 온도 의존성을 가진 적어도 하나의 컴포넌트를 포함하는 컴포넌트 배열과, 여기서 공지된 온도 의존성을 가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컴포넌트는 상기 전압 조절기의 상기 제1 단자 쌍 사이에 결합되며; 그리고 저항기 결합부 내의 저항기의 값의 비율로서 슬로프 계수를 형성하는 두 개 이상의 저항기 유닛의 상기 저항기 결합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여기서 상기 저항기 유닛 각각은 적어도 하나의 저항기를 포함하고, 상기 저항기 결합부는 공지된 온도 의존성을 가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컴포넌트에 결합되어 그리고 상기 전압 조절기의 상기 제1 단자 쌍 사이에 결합되어, 상기 온도 보상 회로에 상기 슬로프 계수의 기능인 온도 의존성 및 상기 컴포넌트 배열 내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컴포넌트의 상기 공지된 온도 의존성을 가진 출력 전압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온도 보상 회로를 구비한 증폭기를 포함하는 전송기가 제공되는데, 상기 전송기의 상기 온도 보상 회로는, 세 개 이상의 단자를 구비한 전압 조절기와, 여기서 제1 단자 쌍 사이의 전압은 조절 가능하고, 제2 단자 쌍 사이의 기준 전압은 열적으로 안정되고, 상기 온도 보상 회로의 출력 전압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 단자 쌍으로부터 제공되며; 전압의 공지된 온도 의존성을 가진 적어도 하나의 컴포넌트를 포함하는 컴포넌트 배열과, 여기서 공지된 온도 의존성을 가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컴포넌트는 상기 전압 조절기의 상기 제1 단자 쌍 사이에 결합되며; 그리고 저항기 결합부 내의 저항기의 값의 비율로서 슬로프 계수를 형성하는 두 개 이상의 저항기 유닛의 상기 저항기 결합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여기서 상기 저항기 유닛 각각은 적어도 하나의 저항기를 포함하고, 상기 저항기 결합부는 공지된 온도 의존성을 가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컴포넌트에 결합되어 그리고 상기 전압 조절기의 상기 제1 단자 쌍 사이에 결합되어, 상기 온도 보상 회로에 상기 슬로프 계수의 기능인 온도 의존성 및 상기 컴포넌트 배열 내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컴포넌트의 상기 공지된 온도 의존성을 가진 출력 전압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온도 보상 회로를 구비한 증폭기를 포함하는 기지국이 제공되는데, 상기 전송기의 상기 온도 보상 회로는, 세 개 이상의 단자를 구비한 전압 조절기와, 여기서 제1 단자 쌍 사이의 전압은 조절 가능하고, 제2 단자 쌍 사이의 기준 전압은 열적으로 안정되고, 상기 온도 보상 회로의 출력 전압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 단자 쌍으로부터 제공되며; 전압의 공지된 온도 의존성을 가진 적어도 하나의 컴포넌트를 포함하는 컴포넌트 배열과, 여기서 공지된 온도 의존성을 가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컴포넌트는 상기 전압 조절기의 상기 제1 단자 쌍 사이에 결합되며; 그리고 저항기 결합부 내의 저항기의 값의 비율로서 슬로프 계수를 형성하는 두 개 이상의 저항기 유닛의 상기 저항기 결합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여기서 상기 저항기 유닛 각각은 적어도 하나의 저항기를 포함하고, 상기 저항기 결합부는 공지된 온도 의존성을 가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컴포넌트에 결합되어 그리고 상기 전압 조절기의 상기 제1 단자 쌍 사이에 결합되어, 상기 온도 보상 회로에 상기 슬로프 계수의 기능인 온도 의존성 및 상기 컴포넌트 배열 내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컴포넌트의 상기 공지된 온도 의존성을 가진 출력 전압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온도 보상 회로를 구비한 증폭기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기가 제공되는데, 상기 전송기의 상기 온도 보상 회로는, 세 개 이상의 단자를 구비한 전압 조절기와, 여기서 제1 단자 쌍 사이의 전압은 조절 가능하고, 제2 단자 쌍 사이의 기준 전압은 열적으로 안정되고, 상기 온도 보상 회로의 출력 전압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 단자 쌍으로부터 제공되며; 전압의 공지된 온도 의존성을 가진 적어도 하나의 컴포넌트를 포함하는 컴포넌트 배열과, 여기서 공지된 온도 의존성을 가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컴포넌트는 상기 전압 조절기의 상기 제1 단자 쌍 사이에 결합되며; 그리고 저항기 결합부 내의 저항기의 값의 비율로서 슬로프 계수를 형성하는 두 개 이상의 저항기 유닛의 상기 저항기 결합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여기서 상기 저항기 유닛 각각은 적어도 하나의 저항기를 포함하고, 상기 저항기 결합부는 공지된 온도 의존성을 가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컴포넌트에 결합되어 그리고 상기 전압 조절기의 상기 제1 단자 쌍 사이에 결합되어, 상기 온도 보상 회로에 상기 슬로프 계수의 기능인 온도 의존성 및 상기 컴포넌트 배열 내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컴포넌트의 상기 공지된 온도 의존성을 가진 출력 전압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온도 보상 회로를 포함하는 증폭기가 제공되는데, 상기 온도 보상 회로는, 세 개 이상의 단자를 구비하는 전압을 조절하는 수단과, 여기서 제1 단자 쌍 사이의 전압은 조절 가능하고, 제2 단자 쌍 사이의 기준 전압은 열적으로 안정하며, 상기 온도 보상 회로의 출력 전압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1 단자 쌍으로부터 제공되며; 공지된 온도 의존성을 제공하는 수단과; 그리고 슬로프 계수를 형성하는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회로는 상기 공지된 온도 의존성 및 상기 슬로프 계수의 기능인 온도 의존성을 가지는 출력 전압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온도 보상 회로를 구비하는 증폭기를 포함하는 전송기가 제공되는데, 상기 전송기의 상기 온도 보상 회로는, 전압을 조절하는 수단과, 여기서 상기 전압을 조절하는 수단은 세 개 이상의 단자를 구비하고, 제1 단자 쌍 사이의 전압은 조절 가능하고, 제2 단자 쌍 사이의 기준 전압은 열적으로 안정하며, 상기 온도 보상 회로의 출력 전압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1 단자 쌍으로부터 제공되며; 공지된 온도 의존성을 제공하는 수단과; 그리고 슬로프 계수를 형성하는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온도 보상 회로는 상기 공지된 온도 의존성 및 상기 슬로프 계수의 기능인 온도 의존성을 가지는 출력 전압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온도 보상 회로를 구비하는 증폭기를 포함하는 기지국이 제공되는데, 상기 전송기의 상기 온도 보상 회로는, 전압을 조절하는 수단과, 여기서 상기 전압을 조절하는 수단은 세 개 이상의 단자를 구비하고, 제1 단자 쌍 사이의 전압은 조절 가능하고, 제2 단자 쌍 사이의 기준 전압은 열적으로 안정하며, 상기 온도 보상 회로의 출력 전압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1 단자 쌍으로부터 제공되며; 공지된 온도 의존성을 제공하는 수단과; 그리고 슬로프 계수를 형성하는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온도 보상 회로는 상기 공지된 온도 의존성 및 상기 슬로프 계수의 기능인 온도 의존성을 가지는 출력 전압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온도 보상 회로를 구비하는 증폭기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기가 제공되는데, 상기 전송기의 상기 온도 보상 회로는, 전압을 조절하는 수단과, 여기서 상기 전압을 조절하는 수단은 세 개 이상의 단자를 구비하고, 제1 단자 쌍 사이의 전압은 조절 가능하고, 제2 단자 쌍 사이의 기준 전압은 열적으로 안정하며, 상기 온도 보상 회로의 출력 전압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1 단자 쌍으로부터 제공되며; 공지된 온도 의존성을 제공하는 수단과; 그리고 슬로프 계수를 형성하는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온도 보상 회로는 상기 공지된 온도 의존성 및 상기 슬로프 계수의 기능인 온도 의존성을 가지는 출력 전압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이 독립항에 기재되었다.
본 발명의 방법 및 시스템은 몇몇 장점을 제공한다.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온도 슬로프는 저항기의 비율로서 결정될 수 있으며 크기에 있어서 임의로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슬로프는 증폭 컴포넌트를 위해 미리 결정될 수 있으며 적절한 저항기 선택에 의해 생산시 조절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슬로프는 공칭 전압 세팅에 무관하며 따라서 생산 정렬을 돕는다.
다음에서,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예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며, 도면에서:
도 1A는 무선 시스템을 도시하고,
도 1B는 전송기를 도시하고,
도 2A는 온도 보상 회로의 일실시예를 도시하고,
도 2B는 증폭기를 도시하고,
도 3은 온도 보상 회로의 일실시예를 도시하고,
도 4는 온도 보상 회로의 일실시예를 도시하고,
도 5는 온도 보상 회로의 일실시예를 도시하고,
도 6은 온도 보상 회로의 일실시예를 도시하고,
도 7은 온도 보상 회로의 일실시예를 도시하고,
도 8은 상기 회로의 성능을 도시한다.
본 발명은 기지국의 전송기의 전력 증폭기 또는 무선 주파수로 작동하는 사용자 단말기 내의 트랜지스터의 장치 특성의 변화를 보상하는데 특히 적합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먼저 상기 무선 시스템은 도 1에 의해 설명된다. 전형적인 디지털 무선 시스템은 가입자 장비(10 내지 14),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16), 및 무선 네트워크 컨트롤러라고도 불릴 수 있는 기지국 컨트롤러(18)를 포함한다. 상기 가입자 장비(10 내지 14)는 신호(20 내지 24)를 이용하여 상기 기지국(16)과 통신한다. 상기 기지국(16)은 디지털 전송 링크(26)에 의해서 상기 기지국 컨트롤러(18)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가입자 장비(10 내지 14)는 고정되어 설치된 단말기일 수 있으며, 차량 또는 휴대용 이동 단말기 내에 설치된 사용자 장비일 수 있다. 상기 가입자 장비(10 내지 14)와 상기 기지국(16) 사이의 신호(20 내지 24)는 예를 들어 음성, 데이터 정보, 또는 가입자 또는 무선 시스템 내의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생성된 제어 정보일 수 있는 디지털화된 정보를 운반한다.
도 1B는 전송기를 도시한다. 상기 전송기는 입력 신호(또는 다수의 입력 신호들)를 코팅하는 엔코더(50), 상기 신호를 변조하여 전파할 수 있는 변조기(52), 상기 신호를 원하는 무선 주파수를 가진 반송파와 혼합하기 위한 혼합기(54), 상기 신호를 원하는 정도로 증폭하기 위한 파워 증폭기(56), RF 신호를 전자기적 방사(radiation)로서 전송하는 안테나(58), 및 상기 블록(50 내지 56)을 제어하는 제어기(60)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제어기(60)는 온도 보상 회로의 슬로프를 제어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도 2A를 참조하면, 온도 보상 회로의 한 예를 고려한다. 배터리 또는 임의의 다른 DC(Direct Current) 전원(100)은 상기 회로에 일정한 전압을 제공할 수 있 다. 전원 저항기 유닛 Rs(102)는 상기 전원(100)의 내부 저항기일 수 있으나, 또한 내부 저항기와 외부 저항기의 복합체를 나타낼 수도 있다. 프로그램 가능한 정밀 션트 조절기(shunt regulator) TL431 등과 같은 전압 조절기(104)는 상기 전원 저항기(102)와 상기 전원(100)의 음극 단자 사이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전압 조절기(104)는 세 개의 단자(106 내지 110)를 구비할 수 있다. 음극(106)과 기준 단자(110)로 언급되는 제1 단자 쌍 사이의 전압은 조절 가능하며 상기 단자 사이의 컴포넌트의 값에 의존한다. 두 개 이상의 저항기 유닛의 저항기 결합부(130)는 상기 제1 단자 쌍 사이에 결합된다. 본 명세서에서 언급되는 상기 저항기 유닛과 다른 저항기 유닛은 적어도 하나의 저항기를 포함한다. 상기 저항기 결합부(130)는 전압의 공지된 온도 의존성을 가진 적어도 하나의 컴포넌트의 컴포넌트 배열(114)에 연결되고, 공지된 온도 의존성을 가진 상기 컴포넌트는 반도체나 온도-의존 저항기일 수 있다. 이러한 예에서, 직렬 저항기 유닛 Rd(112)와 반도체 컴포넌트(컴포넌트 배열(114)과 연관됨)의 직렬 결합부가 있으며, 이것은 상기 음극(106)과 기준 단자(110) 사이의 병렬 저항기 유닛 Rp(116)에 병렬로 결합 되어있다. 상기 직렬 결합부의 컴포넌트 순서는 자유롭다. 상기 반도체 컴포넌트는 순방향 바이어스 다이오드 또는 그 베이스와 컬렉터가 함께 결합된 바이폴라 접합 트랜지스터(NPN)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순방향 바이어스 다이오드를 지나는 전압(Vd)은 온도에 의존하며 이는 대략 다음과 같다:
Figure 112006068875453-pct00001
여기서 Vd0는 공칭 온도(T0)에서 다이오드를 지나는 전압이고, dV/dT는 온도가 변할 때 전압의 변화를 정의하는 계수이다. 일반적으로, 온도-의존 컴포넌트 또는 온도-의존 컴포넌트들의 결합물의 특정 단자 쌍을 지나는 전압은 유사한 방식으로 근사화될 수 있다.
열적으로 안정된 기준 전압은 상기 전압 조절기의 양극(108) 및 기준 단자(110)로 언급되는 제2 단자 쌍 사이의 기준 저항기 Rr(118)를 통해 형성된다. 상기 기준 전압이 일정하면, 상기 기준 저항기(118)의 값은 상기 기준 저항기(118)를 통해 흐르는 전류를 규정한다(define).
상기 온도-의존 컴포넌트(104)의 음극(106)과 동일한 전위에 있는 상기 온도 보상 회로의 양극 단자(120)는 증폭기(124)에 양의 출력 전압을 제공할 수 있다. 이는 FET(Field Effect Transistor)의 게이트 전압(Vgate)이 될 수 있다. 드레인 전압(Vdd)은 도 2A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전원(100)으로부터 직접 취해질 수 있다. 음의 출력 전압은 온도-의존 컴포넌트의 양극(108)과 동일한 전위에 있는 음극 단자(122)로부터 상기 증폭기(124)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양극 출력 단자(120)와 음극 출력 단자(122) 사이의 출력 전압(Vout(1))은 다음과 같이 표현될 수 있다.
Figure 112006068875453-pct00002
이로부터 알 수 있듯이, 단지 첫 번째 항
Figure 112006068875453-pct00003
만이 온도 의존성을 가지며, 두 번째 항은 온도에 대해 일정하다. 상기 양극 출력 단자(120) 및 기준 단자(110) 사이의 대안적인 출력 전압(Vout(2))은 다음과 같이 표현될 수 있다.
Figure 112006068875453-pct00004
이는 상기 출력 전압(Vout (1))이 기준 전압과 조절 가능한 전압의 결합이기 때문이다. 이 대안적인 출력 전압(Vout (2))은 자연적으로 수학식 2에서와 동일한 온도 의존 항
Figure 112006068875453-pct00005
을 가진다. 상기 저항기 결합부(130) 내의 저항기 유닛 Rd(112) 및 Rp(116)은 상기 저항기 결합부 내의 저항기 값의 비율인 슬로프 계수
Figure 112006068875453-pct00006
을 형성한다. 상기 슬로프는 상기 저항기의 값을 변경함으로써 변할 수 있다. 상기 저항기 유닛 중 하나는 또한 일정한 값을 가질 수도 있다. 따라서, 단지 하나의 저항기 유닛의 값만이 변화될 필요가 있다. 이는 적절한 저항기 를 선택함으로써 또는 상기 저항기를 조절함으로써 발생할 수 있다.
한 예로서, 몇몇 전형적인 값을 고려한다: Vd0 = 0.3V, T0 = 25℃, dV/dT = -0.0022V/℃ = -2.2mV/℃, Vref = 2.5V. - 0.5mV/℃의 슬로프를 원한다고 가정한다. 상기 저항기 유닛(Rp)이 Rp = 10kΩ이라면, 상기 저항기 유닛(Rd)은 Rd = 34kΩ가 된다. 따라서, 상기 슬로프 계수(s)는
Figure 112006068875453-pct00007
이 된다.
명확하게, 상기 출력 전압의 슬로프
Figure 112006068875453-pct00008
는 상기 출력 전압(Vout(1))(또는 Vout(2))에 의존하지 않는다. 반면에, 상기 출력 전압(Vout (1))(또는 Vout(2))은 상기 기준 저항기 유닛 Rr(118)의 값에 의존한다. 따라서, 수학식 2에 따라서 상기 출력 전압(Vout (1))은 다음과 같이 표현될 수 있다:
Figure 112006068875453-pct00009
. 상기 출력 전압이 3.8V가 될 필요가 있다고 가정하면, 상기 기준 저항기 유닛 Rr(118)의 값은 = 15682Ω이 된다.
수학식 2로부터 명확하듯이, 획득 가능한 최대 슬로프는 상기 사용된 온도-의존 컴포넌트(114)의 최대 슬로프다. 실리콘 다이오드에 대해서 상기 슬로프는 전형적으로 대략 - 2mV/℃이다. 더 높은 슬로프는 다수의 온도-의존 컴포넌트를 직렬로 사용하여 얻을 수 있다. 이는 상기 슬로프
Figure 112006068875453-pct00010
을 상기 컴포넌트의 슬로프의 합으로서 증가시킨다.
Figure 112006068875453-pct00011
여기서 N은 상기 온도-의존 컴포넌트의 개수이다. 유사한 방식으로 상기 출력 전압은 상기 온도-의존 컴포넌트의 임계 전압의 개수에 의존한다. 따라서, 상기 수학식의 두 번째 항은
Figure 112006068875453-pct00012
이 된다. 상기 온도-의존 컴포넌트가 유사하다면, 상기 결합된 슬로프는 상기 온도-의존 컴포넌트의 개수의 선형 함수이며 단순히
Figure 112006068875453-pct00013
로 표현될 수 있다. 유사한 방식으로, 상기 수학식의 두 번째 항은
Figure 112006068875453-pct00014
로 표현될 수 있다.
도 2B는 증폭기(150)의 회로(170)를 도시한다. 입력 신호는 커패시터(152) 및 입력-정합 네트워크(154)를 통해서 FET(Field Effect Transistor)일 수 있는 증폭 컴포넌트(150)로 공급될 수 있다. 상기 입력 정합 네트워크(154)는 상기 신호 원과 상기 증폭 컴포넌트 사이의 임피던스를 정합한다. 상기 FET의 게이트는 적절한 임피던스를 증명하는(proving) 전송라인(156) 또는 코일, 저항기를 통해 온도 보상 회로에 의해 형성된 게이트 전압(Vgate)에 결합될 수 있다. 소스는 접지될 수 있고 드레인은 코일 또는 적절한 임피던스를 가진 전송 라인(158)을 통해서 동작 전압(Vdd)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증폭기의 출력, 즉 드레인은 커패시터(162)를 통해서 상기 출력 신호를 제공하는 출력 정합 네트워크(16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출력-정합 네트워크(160)는 외부 증폭기 부하 임피던스를 상기 증폭 컴포넌트에 적합한 수준으로 변환시킨다.
도 3을 참조하면, 온도 보상 회로의 다른 예를 고려한다. 이 회로는 LM4041-ADJ 등과 같은 다른 종류의 전압 조절기가 사용된다는 점을 제외하면 기본적으로 도 2A와 유사하다. 다른 차이점은 조절 가능한 저항기 유닛 Repot(212)을 이용한다는 점이다. 상기 저항기 유닛(212)은 기계적으로 또는 전자적으로 조절 가능하다. 이 경우, 기준 전압(Vref)은 음극(206)(상기 회로의 양극 단자(120))와 기준 단자(210)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조절 가능한 전압은 상기 기준 단자(210)와 양극(208)(상기 회로의 음극 단자(122)) 사이에 형성된다. 이 경우 상기 출력 전압은 다음과 같이 표현될 수 있다.
Figure 112006068875453-pct00015
여기서 첫 번째 항
Figure 112006068875453-pct00016
은 온도 의존적이며, 다른 두 개의 항은 온도에 대해 의존적이지 않다. 상기 슬로프 계수(s)는
Figure 112006068875453-pct00017
가 된다. 수학식 3과 마찬가지로, 상기 기준 단자(210) 및 음극 출력 단자(122) 사이의 출력 전압(Vout(2))은 Vout(2) = Vout(1) - Vref로 표현될 수 있으며, 여기서 상기 기준 전압(Vref)은 슬로프에 아무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상기 슬로프는 저항기 유닛(Rp 및 Rd)의 선택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상기 슬로프와 무관하게, 상기 출력 전압의 범위는 조절 가능한 전위차계(potentiometer)를 포함할 수 있는 조절 가능한 저항기 유닛 Repot(212)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상기 전위차계는 전기적으로 제어되는 전위차계일 수 있다.
다음과 같이 가정한다: Vout_max = 4.0V, Vout_min = 2.5V, 공칭 슬로프 dV/dT0 = - 1.888mV/℃, 공칭 온도 T0 = 25℃, 및 온도-의존 컴포넌트의 개수 N = 2. 이는 다음의 계산된 값이 된다: Rd = 15690Ω, Rp = 11790Ω 및 Rr = 8220Ω. 이 결과에 따르면, 다음이 선택될 수 있다: Repot = 0 내지 10kΩ, Rr = 8220Ω, Rp = 12kΩ, 그리고 Rd = 15.1kΩ. 선택된 값은 다음 성능을 보여준다: Vout _ max = 4.006V, Vout_min = 2.503V, 슬로프 dV/dT = - 1.948mV/℃.
도 4에 도시된 온도 보상 회로의 또 다른 예를 고려한다. 본 예에서, 전압 조절기(204)는 LM4041-ADJ 등일 수 있다. 상기 회로는 온도-의존 컴포넌트와 저항기 결합부(130)가 도 3의 것과 다르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도 3과 기본적으로 유사하다. 전압의 공지된 온도 의존성을 가진 적어도 하나의 컴포넌트의 컴포넌트 배열(350)은 NPN 바이폴라 접합 트랜지스터 Q1(304)과 Q2(30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항기 결합부(130)는 상기 트랜지스터 Q1(304)에 결합된 저항기 유닛 R1(300), R2(302)를 포함할 수 있다. 기준 전압(Vref)은 상기 전압 조절기(204)의 음극과 상기 기준 단자(210) 사이의 기준 저항기 유닛(118)을 통해 형성된다.
본 예에서 제한 저항기 유닛(308), 조절 가능한 저항기 유닛(310), 트랜지스터 Q1(304) 및 저항기 결합부(130)의 값에 의존하는 조절 가능한 전압은 상기 기준 단자(210)와 상기 전압 조절기(204)의 양극(208) 사이에 형성된다.
상기 트랜지스터(Q1 및 Q2)에 대한 트랜지스터 베이스 전압(Vbe)의 간단한 온도 의존성을 가정한다.
Figure 112006068875453-pct00018
여기서
Figure 112006068875453-pct00019
는 공칭 온도(T0)에서의 베이스와 에미터 사이의 전압을 의미하고,
Figure 112006068875453-pct00020
는 온도가 변할 때 전압의 변화를 정의하는 계수이다. 상기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에서의 노드 전압(Vb)은 다음과 같이 표현될 수 있다.
Figure 112006068875453-pct00021
여기서 Ic는 콜렉터 전류이고 β는 전류 이득이다. 상기 콜렉터 전류는 다음과 같이 결정될 수 있다.
Figure 112006068875453-pct00022
전류 이득(β)이 일반적인 경우처럼 크다고 가정하고(예를 들어, β = 50 ... 100), 수학식 7의 Ic를 수학식 8로 치환하고 콜렉터 전압(Vc)에 대해 풀면 다음과 같이 된다.
Figure 112006068875453-pct00023
상기 기준 저항기 유닛(118)이 기준 단자(210)와 음극 출력 단자(122) 사이에 흐르는 전류를 결정하기 때문에, 상기 출력 전압(Vout(1))은 다음과 같이 표현될 수 있다.
Figure 112006068875453-pct00024
첫 번째 항에서 출력 전압(Vout(1))의 온도 슬로프(dV/dT)는
Figure 112006068875453-pct00025
이다. 트랜지스터 Q2(306)가 원칙적으로 필요하지 않더라도, 상기 출력 전압은 입력 신호에 의해서 그것이 없다면 "밀리고 당겨지며", 이는 직선성 결함을 야기할 수 있다. 상기 트랜지스터 Q2(306)의 출력 전압(Vg)은 다음과 같이 표현될 수 있다.
Figure 112006068875453-pct00026
앞선 예와 유사하게, 첫 번째 항
Figure 112006068875453-pct00027
은 온도 의존성을 가지며, 다른 항은 온도에 대해 일정하다. 상기 저항기 결합부(130)는 슬로프 계수
Figure 112006068875453-pct00028
을 결정한다. 상기 제한 저항기 유닛 R3(308)의 기능은 상기 조절 저항기 유닛 Repot(310)에 의해 수행되는 조절 범위를 제한하는 것이다. 상기 저항기 유닛(310)은 기계적으로 또는 전자적으로 조절 가능하다. 이러한 방식으로 상기 조절 저항기 유닛 Repot(310)은 출력 전압 수준을 미세하게 조절(fine-tunning)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한 예로서, 다음 컴포넌트 값을 가정한다: Vref = 1.1V, Vbe = 0.65V, dV/dT = - 2mV/℃. 이제 상기 온도 보상 회로의 다음 설계 목표치를 가정한다: Vg_min = 2.5V, Vg _ max = 4.0V, dV/dT = - 1.8mV/℃, Repot = 0 내지 10kΩ. 상기 저항기 유닛 R1(300)에 대해서, 1kΩ의 편리한 값이 선택될 수 있다. 이는 계산된 값 R3 = 5433 Ω, Rref = 7333Ω, R2 = 900Ω이 된다. 상기 계산된 값 대신에, 표준 컴포넌트는 온도 슬로프(dV/dT)가 dV/dT = - 1.82mV/℃가 되는 R3 = 4700Ω, Rref = 6800Ω 및 R2 = 910Ω로 선택될 수 있다.
도 5는 도 4의 것과 다른 회로 버전을 도시한다. 도 5에서 조절 저항기 유닛 Repot(310)가 도 4에서 저항기(302) 및 저항기(308) 사이에 결합하는 대신에 저항기(300) 및 그라운드 사이에 결합되더라도, 도 4 및 도 5의 회로의 유효 동작은 동일하다.
도 6은 도 4 및 도 5의 것과 유사한 회로를 도시한다. 기계적으로 조절 가능한 전위차계에 비하여 전자적으로 조절 가능한 전위차계의 단대단(end-to-end) 저항 온도 안정성이 더 나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수정된 설계가 보다 적합하다. 전자적으로 조절 가능한 전위차계(310)가 고정 전압 기준(514)을 스케일(scale)하는데 사용되는 다음 회로를 고려한다. 전압 기준 때문에, 단대단 저항의 변화는 아무런 영향을 가지지 않을 것이다. 전자적으로 조절 가능한 전위차계의 저항기 체인 내의 디퍼렌셜 변화(differential variation)만이 전압에 영향을 줄 것이다. 전자적으로 조절 가능한 전위차계에 의해 생성된 전압은 전압 추적기로 사용되는 PNP 트랜지스터 Q1(500)의 베이스에 인가된다. 트랜지스터 Q2(502)는 트랜지스터 Q3(504)의 b-e 접합과 동일한 다이오드처럼 동작하도록 연결된다. 저항기 유닛 Rcs(506) 및 Rcp(508)의 적절한 결합은 온도 슬로프를 0에서부터 단일 b-e 접합의 온 도 슬로프로 설정하게 한다. 트랜지스터(Q1 및 Q3)의 온도 슬로프는 적어도 대략적으로 서로를 상쇄해야 한다는 점을 유의해야 한다. 결국, 일정한 전류 소스(510)가 트랜지스터의 전류 이득 및 상기 슬로프를 유지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LM4041-ADJ와 같은 전압 조절기가 사용될 수 있으며 이는 상기 공정(process)에서 오프셋 전압(512)을 생성한다.
트랜지스터 베이스-에미터 포화 전압에 대한 간단한 온도 의존성을 가정한다.
Figure 112006068875453-pct00029
트랜지스터(Q1)의 에미터 전압을 구하기 위해 테브난 등가 전압 소스로 시작한다. "탭" 세팅을 정의하는 k_pot를 갖는 두 개의 저항기로서 전자적으로 조절 가능한 전위차계를 모델링한다. 저항의 온도 계수(TCR)는 온도에 대한 단대단 저항의 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공통(common) TCR과 두 개의 저항기가 서로에 대해 얼마나 잘 추적(tracking)하는지를 설명하기 위한 차등(differential) TCR로 나뉘어진다. 저항기 Rlo(516)과 Rhi(518)는 다음과 같이 표현될 수 있다.
Figure 112006068875453-pct00030
Figure 112006068875453-pct00031
여기서 TCRc는 공통 TCR을 가리키며, TCRd는 차등 TCR을 가리키며, kpot는 전자적 전위차계와 유사한 기계적 전위차계 내의 와이퍼(wiper) 위치를 나타내는 0에서부터 1까지의 실수이다. 베이스 전류는 콜렉터 에미터 전류로부터 유추될 수 있다. 후자는 고정 전압 오프셋을 생성하는데 사용되는 전류 소스(Ibias)에 의해 조정된다. 편의를 위해서, 다음과 같은, 기준 전압 및 전자적으로 조절 가능한 전위차계의 저항의 테브난 등가물을 이용한다.
Figure 112006068875453-pct00032
Figure 112006068875453-pct00033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 전압은 이제 다음과 같이 표현될 수 있다.
Figure 112006068875453-pct00034
전류 이득(β)이 일반적으로 크기 때문에, 수학식 17에서 두 번째 항은 생략될 수 있으며 결국 대략 Vb1과 Vthev는 동일하다.
이는 트랜지스터(Q1)의 에미터 전압(Vc1)을 이끌어낸다.
Figure 112006068875453-pct00035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 전압은 다음과 같이 표현될 수 있다.
Figure 112006068875453-pct00036
Rcs/Rcp의 접합에서의 노드 방정식은 노드에서 전압(Vprime)에 의해 작성될 수 있다.
Figure 112006068875453-pct00037
그 다음
Figure 112006068875453-pct00038
에 대해 풀면,
Figure 112006068875453-pct00039
이번에는 트랜지스터(Q3)의 베이스 전압이 다음과 같이 결정될 수 있다.
Figure 112006068875453-pct00040
이는 LDMOS 장치의 게이트에 인가될 전압(Vgate)를 이끌어낸다.
Figure 112006068875453-pct00041
결과적으로, 공칭 온도(T0)에서의 온도 슬로프는 다음과 같이 표현될 수 있다(β는 크다고 가정된다).
Figure 112006068875453-pct00042
여기서
Figure 112006068875453-pct00043
,
Figure 112006068875453-pct00044
,
Figure 112006068875453-pct00045
,
Figure 112006068875453-pct00046
,
Figure 112006068875453-pct00047
이다.
전력 증폭기 회로에 필요한 컴포넌트 값을 구하기 위해서, 공지된 상수로 시작한다. Vbe _ nom = 0.65V, dVbe/dT = - 2mV/℃, β = 50을 가진 일반적인 트랜지스터를 가정한다. 추가적으로, Vg_min = 2.5V, Vg_max = 4.0V, s = - 1.8mV/℃, Ibias = 1mA 및 Vref = 1.225V인 설계 목표 및 Repot = 10kΩ, Nsteps = 256, Voffset = 1.1V, TRCc = 0.00075℃/Ω, TRCd = 0.00003℃/Ω인 전기적으로 조절 가능한 전위차계의 세부사항을 가정한다. 이러한 가정으로, 다음의 컴포넌트가 선택될 수 있다: Rcp = 12kΩ 및 Rcs = 1kΩ. 온도 슬로프(s)는 상기 전기적으로 조절 가능한 전위차계의 최소 설정(setting)에서 s = - 1.846mV/℃, 중간 설정에서 s = - 1.799mV/℃, 최대 설정에서 s = 1.846mV/℃이 된다. 실제적인 관점에서의 설정에 관해 상기 슬로프 변화는 일정하다고 간주될 수 있다.
상기 전자적으로 조절 가능한 전위차계의 저항 값 및 그로 인한 공칭 전압은 장치를 제조하는 동안 조절될 수도 있고 상기 장치를 매일 사용하는 동안 조절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온도-의존 컴포넌트의 노화를 고려할 수 있으며 상기 바이어스 전압이 온도 의존성의 변화에 적합하게 될 수 있다. 이는 시간 함수로서 또는 다른 몇몇 측정 가능한 성능 측정기준으로서 상기 전압을 변경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다른 가능한 것은 상기 증폭 컴포넌트의 슬로프의 변화를 측정하거나 그렇지 않으면 결정하고, 그리고 온도 보상에 의해 형성된 슬로프를 상기 변화에 적합하게 하는 것이다.
도 7은 변경 가능한 전압 및 온도 슬로프를 가진 회로를 도시한다. 도 7에서, 상기 회로는 저항기 유닛(506, 508)이 조절 가능한 전위차계(700)로 대체되어 조절 가능한 슬로프 메커니즘을 제공한다는 점을 제외하면 도 6의 회로와 유사하다. 그러므로, 저항기 결합부는 슬로프 계수를 조절하기 위한 조절 가능한 전위차계를 포함하고, 상기 조절 가능한 전위차계는 상기 온도 보상 회로에 컴포넌트 배열(114) 내의 적어도 하나의 컴포넌트의 공지된 온도 의존성 및 슬로프 계수의 조절 가능한 기능인 온도 의존성을 가진 출력 전압을 제공한다. 상기 전위차계(700)는 기계적으로 조절 가능한 전위차계일 수도 있고 전자적으로 조절 가능한 전위차계일 수도 있다(도 6의 전위차계(310)와 유사함). k·Rpot의 값을 가진 저항기(702)는 저항기 유닛(506)에 상응하는 것으로 간주될 수 있으며, 여기서 Rpot는 상기 전위차계의 전체 저항이고 k는 0부터 1까지의 실수이다. 유사한 방식으로 값 i·Rpot의 값을 가진 저항기(704)는 저항기 유닛(508)에 상응하는 것으로 간주될 수 있으며, 여기서 k = 1 - i가 되도록 i는 0부터 1까지의 실수이다. 또한 상기 조절 가 능한 전위차계(700)는 저항기 유닛(506, 508) 중 하나만을 대체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증폭기는 증폭기에 입력 신호가 없을 때 꺼질(switch off) 수도 있다. 이는 상기 증폭 컴포넌트의 임계값 이하로 온도 보상 회로의 최소 출력 전압을 설정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증폭 컴포넌트로 사용될 수 있는 LDMOS(Laterally Diffused Metal Oxide Semiconductor)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압이 제작자가 정한 임의의 임계 전압 아래로 떨어질 경우, 드레인과 소스 사이에는 전류가 흐를 수 없으며, 따라서 상기 컴포넌트는 꺼질 수 있다.
도 8은 도 4 및 도 5의 온도 보상 회로의 동작 및 그 예를 도시한다. 출력 전압(Vg)은 슬로프 s = - 1.82mV/℃를 가지고, 상기 출력 전압의 수준은 2.5V와 4.0V 사이에서 슬로프와 무관하게 제어될 수 있다. 상기 슬로프는 예를 들어 - 1.5 mV/℃ 내지 - 4.0 mV/℃의 범위가 요구될 수 있도록 실질적으로 변할 수 있다.
상기 전압 조절기는 온도 보상 기준에 대한 전압 비교기로서 기능하는 어떤 종류의 회로도 될 수 있다. 상기 전압 조절기는 세 개 이상의 단자를 갖는 통합된 또는 분리된 장치일 수 있다.
본 발명이 첨부된 도면을 따라서 실시예를 참조하여 상기와 같이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은 그에 제한되지 않으며 첨부된 청구항의 범위 내에서 여러 방식으로 변형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Claims (22)

  1. 증폭기를 위한 온도 보상 회로로서,
    세 개 이상의 단자를 구비한 전압 조절기와, 여기서 제1 단자 쌍 사이의 전압은 조절 가능하고, 제2 단자 쌍 사이의 기준 전압은 열적으로 안정되고, 상기 온도 보상 회로의 출력 전압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 단자 쌍으로부터 제공되며;
    전압의 공지된 온도 의존성을 가진 적어도 하나의 컴포넌트를 포함하는 컴포넌트 배열과, 여기서 공지된 온도 의존성을 가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컴포넌트는 상기 전압 조절기의 상기 제1 단자 쌍 사이에 결합되며; 그리고
    저항기 결합부 내의 저항기의 값의 비율로서 슬로프 계수를 형성하는 두 개 이상의 저항기 유닛의 상기 저항기 결합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여기서 상기 저항기 유닛 각각은 적어도 하나의 저항기를 포함하고,
    상기 저항기 결합부는 공지된 온도 의존성을 가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컴포넌트에 결합되어 그리고 상기 전압 조절기의 상기 제1 단자 쌍 사이에 결합되어, 상기 온도 보상 회로에 상기 슬로프 계수의 기능인 온도 의존성 및 상기 컴포넌트 배열 내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컴포넌트의 상기 공지된 온도 의존성을 가진 출력 전압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도 보상 회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 보상 회로의 상기 출력 전압은 상기 제1 단자 쌍과 상기 제2 단자 쌍으로부터의 전압의 결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도 보상 회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컴포넌트 배열은 각각이 상기 전압 조절기의 상기 제1 단자 쌍 사이에서 순방향으로 바이어스된, 공지된 온도 의존성을 갖는 컴포넌트인 적어도 하나의 다이오드를 포함하고,
    상기 컴포넌트 배열은 직렬의 저항기 유닛과 직렬로 결합되고,
    상기 컴포넌트 배열과 상기 직렬의 저항기 유닛의 직렬 결합부는 병렬 저항기 유닛과 병렬로 결합되고, 상기 병렬 저항기 유닛과 상기 직렬 저항기 유닛은 상기 저항기 결합부의 저항기 유닛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도 보상 회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컴포넌트 배열은 공지된 온도 의존성을 가진 컴포넌트로서 바이폴러 접합 트랜지스터를 포함하고,
    제1 저항기 유닛은 상기 트랜지스터의 베이스와 에미터 사이에 결합되고,
    제2 저항기 유닛은 상기 트랜지스터의 베이스와 콜렉터 사이에 결합되고, 상기 제1 및 제2 저항기 유닛은 상기 저항기 결합부의 저항기 유닛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도 보상 회로.
  5. 제 1항에 있어서,
    조절 가능한 저항기 유닛이 상기 제1 단자 쌍 사이에 결합되어, 상기 온도 의존성에 무관하게 조절 가능한 출력 전압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조절 가능한 저항기 유닛은 적어도 하나의 저항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도 보상 회로.
  6. 제 5항에 있어서,
    제한 저항기 유닛이 상기 제1 단자 쌍 사이에서 상기 조절 가능한 저항기 유닛과 직렬로 결합되어, 조절 범위를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도 보상 회로.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 가능한 저항기 유닛은 전자적으로 조절 가능한 저항기 유닛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도 보상 회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자 쌍 사이에는 트랜지스터가 결합되고, 상기 트랜지스터의 베이스에는 전자적으로 조절 가능한 저항기 유닛이 결합되고, 상기 전자적으로 조절 가능한 저항기 유닛에는 일정한 전압이 결합되고, 상기 전자적으로 조절 가능한 저항기 유닛은 상기 온도 의존성과는 무관하게 조절 가능한 출력 전압을 제공하기 위해서 상기 트랜지스터의 베이스로 공급되는 전압을 조절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도 보상 회로.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적으로 조절 가능한 저항기 유닛은 상기 증폭기로 공급되는 입력 신호가 없을 때 상기 증폭기를 끄기 위해서 상기 증폭기의 임계 전압 이하로 상기 조절 가능한 출력 전압을 조절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도 보상 회로.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 보상 회로는 바이폴라 접합 트랜지스터를 더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바이폴라 접합 트랜지스터의 콜렉터는 전원의 양극 단자에 결합되고 상기 바이폴라 접합 트랜지스터의 베이스는 상기 온도 보상 회로의 출력에 결합되고, 상기 바이폴라 접합 트랜지스터의 에미터는 출력 단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도 보상 회로.
  11. 제 1항에 있어서,
    전압의 공지된 온도 의존성을 가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컴포넌트는 반도체 컴포넌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도 보상 회로.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저항기 결합부는 상기 슬로프 계수를 조절하기 위한 조절 가능한 전위 차계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조절 가능한 전위차계는 상기 컴포넌트 배열 내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컴포넌트의 상기 공지된 온도 의존성 및 상기 슬로프 계수의 조절 가능한 기능인 온도 의존성을 가지는 출력 전압을 상기 온도 보상 회로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도 보상 회로.
  13. 증폭기를 위한 온도 보상 회로로서,
    전압을 조절하는 수단과, 여기서 상기 전압을 조절하는 수단은 세 개 이상의 단자를 구비하고, 제1 단자 쌍 사이의 전압은 조절 가능하고, 제2 단자 쌍 사이의 기준 전압은 열적으로 안정하며, 상기 온도 보상 회로의 출력 전압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1 단자 쌍으로부터 제공되며;
    공지된 온도 의존성을 제공하는 수단과; 그리고
    슬로프 계수를 형성하는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회로는 상기 공지된 온도 의존성 및 상기 슬로프 계수의 기능인 온도 의존성을 가지는 출력 전압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도 보상 회로.
  14. 증폭기를 위한 온도 보상 회로로서,
    세 개 이상의 단자를 구비한 전압 조절기와, 여기서 제1 단자 쌍 사이의 전압은 조절 가능하고, 제2 단자 쌍 사이의 기준 전압은 열적으로 안정되고, 상기 온도 보상 회로의 출력 전압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 단자 쌍으로부터의 전압이며;
    전압의 공지된 온도 의존성을 가진 적어도 하나의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컴포넌트 배열과, 여기서 공지된 온도 의존성을 가진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이오드는 상기 전압 조절기의 상기 제1 단자 쌍 사이에서 순방향으로 바이어스되며; 그리고
    저항기 결합부 내의 저항기의 값의 비율로서 슬로프 계수를 형성하는 두 개 이상의 저항기의 상기 저항기 결합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여기서 공지된 온도 의존성을 가진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이오드는 직렬 저항기와 직렬로 결합되고, 상기 컴포넌트 배열 및 상기 직렬 저항기의 상기 직렬 결합부는 병렬 저항기와 병렬로 결합되고, 상기 병렬 저항기와 상기 직렬 저항기는 상기 저항기 결합부의 상기 저항기이며,
    상기 저항기 결합부는 공지된 온도 의존성을 가진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이오드에 결합되어 그리고 상기 전압 조절기의 상기 제1 단자 쌍 사이에 결합되어, 상기 온도 보상 회로에 상기 슬로프 계수의 기능인 온도 의존성 및 상기 컴포넌트 배열 내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이오드의 상기 공지된 온도 의존성을 가진 출력 전압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도 보상 회로.
  15. 온도 보상 회로를 포함하는 증폭기로서, 상기 온도 보상 회로는,
    세 개 이상의 단자를 구비한 전압 조절기와, 여기서 제1 단자 쌍 사이의 전압은 조절 가능하고, 제2 단자 쌍 사이의 기준 전압은 열적으로 안정되고, 상기 온도 보상 회로의 출력 전압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 단자 쌍으로부터 제공되며;
    전압의 공지된 온도 의존성을 가진 적어도 하나의 컴포넌트를 포함하는 컴포 넌트 배열과, 여기서 공지된 온도 의존성을 가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컴포넌트는 상기 전압 조절기의 상기 제1 단자 쌍 사이에 결합되며; 그리고
    저항기 결합부 내의 저항기의 값의 비율로서 슬로프 계수를 형성하는 두 개 이상의 저항기 유닛의 상기 저항기 결합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여기서 상기 저항기 유닛 각각은 적어도 하나의 저항기를 포함하고,
    상기 저항기 결합부는 공지된 온도 의존성을 가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컴포넌트에 결합되어 그리고 상기 전압 조절기의 상기 제1 단자 쌍 사이에 결합되어, 상기 온도 보상 회로에 상기 슬로프 계수의 기능인 온도 의존성 및 상기 컴포넌트 배열 내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컴포넌트의 상기 공지된 온도 의존성을 가진 출력 전압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폭기.
  16. 온도 보상 회로를 구비한 증폭기를 포함하는 전송기로서, 상기 전송기의 상기 온도 보상 회로는,
    세 개 이상의 단자를 구비한 전압 조절기와, 여기서 제1 단자 쌍 사이의 전압은 조절 가능하고, 제2 단자 쌍 사이의 기준 전압은 열적으로 안정되고, 상기 온도 보상 회로의 출력 전압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 단자 쌍으로부터 제공되며;
    전압의 공지된 온도 의존성을 가진 적어도 하나의 컴포넌트를 포함하는 컴포넌트 배열과, 여기서 공지된 온도 의존성을 가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컴포넌트는 상기 전압 조절기의 상기 제1 단자 쌍 사이에 결합되며; 그리고
    저항기 결합부 내의 저항기의 값의 비율로서 슬로프 계수를 형성하는 두 개 이상의 저항기 유닛의 상기 저항기 결합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여기서 상기 저항기 유닛 각각은 적어도 하나의 저항기를 포함하고,
    상기 저항기 결합부는 공지된 온도 의존성을 가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컴포넌트에 결합되어 그리고 상기 전압 조절기의 상기 제1 단자 쌍 사이에 결합되어, 상기 온도 보상 회로에 상기 슬로프 계수의 기능인 온도 의존성 및 상기 컴포넌트 배열 내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컴포넌트의 상기 공지된 온도 의존성을 가진 출력 전압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기.
  17. 온도 보상 회로를 구비한 증폭기를 포함하는 기지국으로서, 상기 전송기의 상기 온도 보상 회로는,
    세 개 이상의 단자를 구비한 전압 조절기와, 여기서 제1 단자 쌍 사이의 전압은 조절 가능하고, 제2 단자 쌍 사이의 기준 전압은 열적으로 안정되고, 상기 온도 보상 회로의 출력 전압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 단자 쌍으로부터 제공되며;
    전압의 공지된 온도 의존성을 가진 적어도 하나의 컴포넌트를 포함하는 컴포넌트 배열과, 여기서 공지된 온도 의존성을 가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컴포넌트는 상기 전압 조절기의 상기 제1 단자 쌍 사이에 결합되며; 그리고
    저항기 결합부 내의 저항기의 값의 비율로서 슬로프 계수를 형성하는 두 개 이상의 저항기 유닛의 상기 저항기 결합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여기서 상기 저항기 유닛 각각은 적어도 하나의 저항기를 포함하고,
    상기 저항기 결합부는 공지된 온도 의존성을 가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컴포 넌트에 결합되어 그리고 상기 전압 조절기의 상기 제1 단자 쌍 사이에 결합되어, 상기 온도 보상 회로에 상기 슬로프 계수의 기능인 온도 의존성 및 상기 컴포넌트 배열 내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컴포넌트의 상기 공지된 온도 의존성을 가진 출력 전압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18. 온도 보상 회로를 구비한 증폭기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기로서, 상기 전송기의 상기 온도 보상 회로는,
    세 개 이상의 단자를 구비한 전압 조절기와, 여기서 제1 단자 쌍 사이의 전압은 조절 가능하고, 제2 단자 쌍 사이의 기준 전압은 열적으로 안정되고, 상기 온도 보상 회로의 출력 전압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 단자 쌍으로부터 제공되며;
    전압의 공지된 온도 의존성을 가진 적어도 하나의 컴포넌트를 포함하는 컴포넌트 배열과, 여기서 공지된 온도 의존성을 가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컴포넌트는 상기 전압 조절기의 상기 제1 단자 쌍 사이에 결합되며; 그리고
    저항기 결합부 내의 저항기의 값의 비율로서 슬로프 계수를 형성하는 두 개 이상의 저항기 유닛의 상기 저항기 결합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여기서 상기 저항기 유닛 각각은 적어도 하나의 저항기를 포함하고,
    상기 저항기 결합부는 공지된 온도 의존성을 가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컴포넌트에 결합되어 그리고 상기 전압 조절기의 상기 제1 단자 쌍 사이에 결합되어, 상기 온도 보상 회로에 상기 슬로프 계수의 기능인 온도 의존성 및 상기 컴포넌트 배열 내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컴포넌트의 상기 공지된 온도 의존성을 가진 출력 전압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기.
  19. 온도 보상 회로를 포함하는 증폭기로서, 상기 온도 보상 회로는,
    세 개 이상의 단자를 구비하는 전압을 조절하는 수단과, 여기서 제1 단자 쌍 사이의 전압은 조절 가능하고, 제2 단자 쌍 사이의 기준 전압은 열적으로 안정하며, 상기 온도 보상 회로의 출력 전압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1 단자 쌍으로부터 제공되며;
    공지된 온도 의존성을 제공하는 수단과; 그리고
    슬로프 계수를 형성하는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회로는 상기 공지된 온도 의존성 및 상기 슬로프 계수의 기능인 온도 의존성을 가지는 출력 전압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폭기.
  20. 온도 보상 회로를 구비한 증폭기를 포함하는 전송기로서, 상기 전송기의 상기 온도 보상 회로는,
    전압을 조절하는 수단과, 여기서 상기 전압을 조절하는 수단은 세 개 이상의 단자를 구비하고, 제1 단자 쌍 사이의 전압은 조절 가능하고, 제2 단자 쌍 사이의 기준 전압은 열적으로 안정하며, 상기 온도 보상 회로의 출력 전압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1 단자 쌍으로부터 제공되며;
    공지된 온도 의존성을 제공하는 수단과; 그리고
    슬로프 계수를 형성하는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온도 보상 회로는 상기 공지된 온도 의존성 및 상기 슬로프 계수의 기능인 온도 의존성을 가지는 출력 전압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송기.
  21. 온도 보상 회로를 구비한 증폭기를 포함하는 기지국으로서, 상기 전송기의 상기 온도 보상 회로는:
    전압을 조절하는 수단과, 여기서 상기 전압을 조절하는 수단은 세 개 이상의 단자를 구비하고, 제1 단자 쌍 사이의 전압은 조절 가능하고, 제2 단자 쌍 사이의 기준 전압은 열적으로 안정하며, 상기 온도 보상 회로의 출력 전압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1 단자 쌍으로부터 제공되며;
    공지된 온도 의존성을 제공하는 수단과; 그리고
    슬로프 계수를 형성하는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온도 보상 회로는 상기 공지된 온도 의존성 및 상기 슬로프 계수의 기능인 온도 의존성을 가지는 출력 전압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22. 온도 보상 회로를 구비한 증폭기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기로서, 상기 전송기의 상기 온도 보상 회로는,
    전압을 조절하는 수단과, 여기서 상기 전압을 조절하는 수단은 세 개 이상의 단자를 구비하고, 제1 단자 쌍 사이의 전압은 조절 가능하고, 제2 단자 쌍 사이의 기준 전압은 열적으로 안정하며, 상기 온도 보상 회로의 출력 전압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1 단자 쌍으로부터 제공되며;
    공지된 온도 의존성을 제공하는 수단과; 그리고
    슬로프 계수를 형성하는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온도 보상 회로는 상기 공지된 온도 의존성 및 상기 슬로프 계수의 기능인 온도 의존성을 가지는 출력 전압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기.
KR1020067019699A 2004-03-09 2005-03-08 온도 보상 회로 Expired - Fee Related KR10079477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0/795,447 2004-03-09
US10/795,447 US7034618B2 (en) 2004-03-09 2004-03-09 Temperature compensating circuit
US11/027,684 2005-01-03
US11/027,684 US7095282B2 (en) 2004-03-09 2005-01-03 Temperature compensating circui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6246A KR20060116246A (ko) 2006-11-14
KR100794774B1 true KR100794774B1 (ko) 2008-01-21

Family

ID=349219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19699A Expired - Fee Related KR100794774B1 (ko) 2004-03-09 2005-03-08 온도 보상 회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EP (1) EP1726091A1 (ko)
KR (1) KR100794774B1 (ko)
WO (1) WO200508634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304262A (ja) 2007-06-06 2008-12-18 Freescale Semiconductor Inc 温度補償回路、トリミング回路及び加速度検出装置
US11349021B2 (en) * 2020-03-24 2022-05-31 Littelfuse, Inc. Thyristor assembly
US12339722B2 (en) 2021-12-06 2025-06-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Storage device and a power management devic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30076A (en) 1966-05-27 1969-02-25 Northern Electric Co Temperature compensated bias circuit
US6091279A (en) 1998-04-13 2000-07-18 Lucent Technologies, Inc. Temperature compensation of LDMOS devices
EP1081573A1 (en) * 1999-08-31 2001-03-07 STMicroelectronics S.r.l. High-precision biasing circuit for a cascoded CMOS stage, particularly for low noise amplifiers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516012C2 (sv) * 1999-01-25 2001-11-05 Ericsson Telefon Ab L M Styreförspänningsanordning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30076A (en) 1966-05-27 1969-02-25 Northern Electric Co Temperature compensated bias circuit
US6091279A (en) 1998-04-13 2000-07-18 Lucent Technologies, Inc. Temperature compensation of LDMOS devices
EP1081573A1 (en) * 1999-08-31 2001-03-07 STMicroelectronics S.r.l. High-precision biasing circuit for a cascoded CMOS stage, particularly for low noise amplifie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6246A (ko) 2006-11-14
WO2005086343A1 (en) 2005-09-15
EP1726091A1 (en) 2006-1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51189B1 (en) System and method for auto-bias of an amplifier
EP0734118B1 (en) Bias control circuit for an RF power amplifier
US20050088237A1 (en) Temperature compensated power amplifier power control
KR960016642B1 (ko) 송수신기
EP0942524A2 (en) Radio frequency amplifiers
KR20060114339A (ko) 단일 칩 전력 증폭기 및 인벨롭 변조기
US11411539B2 (en) Amplifier device
US6429746B1 (en) System and method for auto-bias of an amplifier
US20180191308A1 (en) Amplifier device
US7057462B2 (en) Temperature compensated on-chip bias circuit for linear RF HBT power amplifiers
US7095282B2 (en) Temperature compensating circuit
US6271652B1 (en) Voltage regulator with gain boosting
JPH0951238A (ja) マイクロ波増幅器回路
RU2354042C2 (ru) Коррекция температуры и технологического процесса в полевом моп-транзисторе, работающем в подпороговом режиме
US6542045B2 (en) High-frequency variable attenuator having a controllable reference voltage
KR100794774B1 (ko) 온도 보상 회로
US9444415B2 (en) Power amplifier spurious cancellation
US6664856B2 (en) Circuit configuration for setting the operating point of a radiofrequency transistor and amplifier circuit
US10707815B2 (en) Amplifier device
US6091279A (en) Temperature compensation of LDMOS devices
EP1326328A1 (en) High-frequency amplifier
US6958653B2 (en) Temperature compensated amplifier
US5812008A (en) Logarithmic converter
KR100937039B1 (ko) 온도와 임계전압 변화에 대해 보상 가능한 바이어스 회로및 이를 이용한 증폭기
JP3833472B2 (ja) 電子装置の温度補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5-nap-PA010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2-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110109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10109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