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32483B1 - One-touch fixing buckle - Google Patents
One-touch fixing buckl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732483B1 KR100732483B1 KR1020070041099A KR20070041099A KR100732483B1 KR 100732483 B1 KR100732483 B1 KR 100732483B1 KR 1020070041099 A KR1020070041099 A KR 1020070041099A KR 20070041099 A KR20070041099 A KR 20070041099A KR 100732483 B1 KR100732483 B1 KR 10073248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ixing
- fastening
- bent
- hole
- touch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5/00—Clamping or other pressure-applying devices for securing or retaining closure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ckle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원터치 버클을 도시한 도면.1 is a view showing a one-touch buckle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원터치 고정 버클을 구성하는 부재들을 도시한 도면.Figure 2 shows the members constituting the one-touch fixing buck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원터치 고정 버클을 도시한 도면.3 is a view showing a one-touch fixing buck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원터치 고정 버클을 장착한 모습을 도시한 도면.Figure 4 is a view showing a state equipped with a one-touch fixing buckl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원터치 고정 버클을 장착하여 체결한 모습을 도시한 도면.Figure 5 is a view showing a state of fastening by mounting the one-touch fixing buckle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 조작부 200 : 고정부100: operation unit 200: fixing unit
300 : 체결부 400 : 핀300: fastening portion 400: pin
500 : 본체 600 : 덮개500: body 600: cover
본 발명은 원터치 고정 버클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케이스 본체의 임의의 위치에 상기 원터치 고정 버클을 부착하여 간단한 조작으로 케이스의 본체와 덮개를 체결하도록 하는 원터치 고정 버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one-touch fixing buck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one-touch fixing buckle for attaching the one-touch fixing buckle to any position of the case main body to fasten the main body and the cover of the case in a simple operation.
일반적으로 배전반(개량기)의 덮개, 터널 조명등의 덮개 등 많은 종류의 덮 개를 체결하는 수단으로 원터치 버클을 설치하거나 나사, 클립 등을 사용하여 본체와 덮개가 체결되도록 한다.In general, as a means for fastening many kinds of covers such as covers of switchboards (tunnels), tunnel lights, etc., one-touch buckles are installed or screws and clips are used to fasten the main body and the cover.
상기 종래기술에 의한 체결수단 중 원터치 버클에 대해서 도 1을 참조하여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Figure 1 with respect to the one-touch buckle of the fastening means according to the prior art as follows.
종래기술에 의한 원터치 버클은 케이스 본체(1)에 원터치 버클이 부착되게 되는데, 상기 원터치 버클은 걸림편(3)과, 이 걸림편(3)의 조작을 가능하게 하는 손잡이(4)와 원터치 버클을 본체에 고정되게 하는 부착편(5)으로 구성된다.The one-touch buckle according to the prior art has a one-touch buckle attached to the case body 1. The one-touch buckle has a
케이스 본체(1)에 리벳을 사용하여 부착편(5)을 고정하고, 케이스 본체(1) 위에 덮개를 덮은 후, 손잡이(4)를 위쪽으로 회동시켜 걸림편(3)의 끝단부를 덮개 외주연에 마련된 돌기에 건 다음, 다시 손잡이(4)를 아래쪽으로 내리면 걸림편(3)이 스프링에 의해 탄성적으로 덮개를 고정하게 되며, 덮개를 열고자 할 경우에는 손잡이(4)를 위쪽을 향해 올리는 것으로 덮개의 테두리에 걸려있던 걸림편(3)이 회동하여 분리 가능하다.Fix the attachment piece 5 to the case main body 1 using a rivet, cover the cover on the case main body 1, and then rotate the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의 원터치 버클은 반드시 체결하고자 하는 케이스에 부착되어야 하므로서, 원터치 고정 버클의 고정 위치 선택이 불가능하고 제작 비용이 상승하며 제작공정이 추가되는 번거로움이 있다.However, since the one-touch buckle of the prior art must be attached to the case to be fastened, it is impossible to select a fixed position of the one-touch fixing buckle, the manufacturing cost increases, and the manufacturing process is cumbersome.
또한, 종래의 원터치 고정 버클은 본체에 부착시 잘못 조립함으로 인한 위치 변화가 생기면 체결이 되지 않는 등의 불량이 발생하고, 장시간 사용시 스프링의 탄성력이 저하하여 체결이 헐거워졌다.In addition, the conventional one-touch fixing buckle, such as when the position change caused by the wrong assembly when attached to the main body, such as a failure occurs such that the fastening occurs, and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when using for a long time, the fastening is loose.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체 케이스에 대해서 그 설치 위치를 임의로 조절할 수 있는 원터치 고정 버클을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as described above, to provide a one-touch fixing buckle that can arbitrarily adjust the installation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cas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간단한 구성 및 조작으로 케이스 본체와 덮개로 체결할 수 있는 원터치 고정 버클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one-touch fixing buckle that can be fastened to the case body and the cover with a simpl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원터치 고정 버클은, 원터치 고정 버클의 체결을 조작하도록 손잡이가 형성된 조작부와, 상기 조작부의 내측에 삽입되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케이스 본체에 원터치 고정 버클을 고정하는 고정부 및 상기 조작부의 외측 상부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덮개를 걸어 체결하는 체결부로 구성된 원터치 고정 버클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에는 케이스 본체에 원터치 고정 버클을 고정하도록 하는 고정편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one-touch fixing buckl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n operation part formed with a handle to manipulate the fastening of the one-touch fixing buckle, and inserted into the operation part so as to be rotatable, and to fix the one-touch fixing buckle to the case body. In the one-touch fixing buckle consisting of a fastening portion which is rotatably installed on the outer upper portion of the operation portion and the cover is fastened, the fixing por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ixing piece for fixing the one-touch fixing buckle to the case body. .
또한, 상기 고정편은 본체에 형성된 홈에 고정되도록 절곡된 절곡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fixing piece is characterized in that for forming a bent portion bent to be fixed to the groove formed in the main body.
또한, 상기 조작부는 양 측면이 절곡되어 측편을 형성하고, 측편에는 고정홀과 체결홀을 형성하되, 체결홀는 고정홀의 아래쪽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operation portion is bent on both sides to form a side piece, the side piece to form a fixing hole and a fastening hole, characterized in that the fastening hole is located below the fixing hole.
또한, 상기 조작부 손잡이의 상단은 아래쪽으로 절개되어 체결부의 회동시 간섭을 막는 절개부를 갖고 중앙에 가로방향으로 장공을 형성하고, 장공의 장측 모서리를 따라 손잡이의 테두리가 내측으로 절곡된 손잡이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upper end of the handle of the operation portion is cut down to prevent the interference during the rotation of the fastening part to form a long hole in the center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handle of the handle is formed in the edge of the handle is bent inward along the long side edge of the long hole It features.
또한, 상기 고정부는 고정핀 홀이 형성된 양 측면이 절곡되어 조작부의 측편 내측에 끼워지되, 고정핀 홀과 조작부의 고정홀이 일치되도록 하고, 회동이 가능하도록 일치된 홀에 핀이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fixing portion is bent both sides of the fixing pin hole is formed to be fitted into the side of the inside of the operation portion, so that the fixing pin hole and the fixing hole of the operation portion coincides, the pin is inserted into the matched hole to enable rotation It is done.
또한, 상기 체결부는 체결홀에 핀으로 결합되는 체결핀 홀이 형성된 절곡부가 중앙편의 양단에서 절곡되어 헝성되되, 절곡부는 조작부의 측편 외측에 끼워지고, 중앙편의 상면에는 덮개 테두리에 걸림이 가능하도록 절곡된 걸림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fastening portion is bent and formed by the bent portion formed in the fastening pin hole coupled to the fastening hole at both ends of the center piece, the bent portion is fitted to the outside of the side of the operation portion, the upper surface of the center piece is bent to be caught on the cover edge Characterized in that the engaging portion is formed.
또한, 상기 체결부에 형성된 절곡부는 회동에 간섭이 없도록 중앙편과 둔각을 이루어 하향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bent portion formed in the fastening por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downward with an obtuse angle with the central piece so as not to interfere in the rotation.
또한, 상기 고정부는 고정핀 홀이 형성된 양 측면이 절곡되어 조작부의 측편 내측에 끼워지되, 고정핀 홀과 조작부의 고정홀이 일치되도록 하고, 회동 가능하도록 일치된 홀에 핀이 삽입되고, 상기 조작부는 양 측면이 절곡되어 측편을 형성하며, 측편에는 고정홀과 체결홀을 형성하되, 체결홀은 고정홀의 아래쪽에 위치하고, 체결부는 체결홀에 핀으로 결합되는 체결핀 홀이 형성된 절곡부가 중앙편의 양단에서 절곡되어 헝성되되, 절곡부는 조작부의 측편 외측에 끼워지고, 중앙편의 상면에는 덮개 테두리에 걸림이 가능하도록 절곡된 걸림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고정 버클이다.In addition, the fixing portion is bent both sides of the fixing pin hole is formed to be fitted inside the side of the operation portion, so that the fixing pin hole and the fixing hole of the operation unit coincides, the pin is inserted into the hole matched to be rotatable, the operation unit The both sides are bent to form a side piece, and the side pieces to form a fixing hole and a fastening hole, the fastening hole is located below the fixing hole, the fastening portion formed with a fastening pin hole that is coupled to the fastening hole by a pin is formed at both ends of the center piece Is bent in the form of a one-touch fixing buckle, characterized in that the bent portion is fitted to the outside of the side of the operation portion, the upper surface of the central piece is bent to be caught on the cover rim is formed.
이하,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원터치 고정 버클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고,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는 도면 중 동일부분에 대해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그 반복 설명은 생략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one-touch fixing buck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to the same parts in the drawings, and the repeat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본 발명에 따른 원터치 고정 버클은 조작부(100), 고정부(200), 체결부(300)의 3가지 요소로 구성되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원터치 고정 버클을 구성하는 각각의 요소들을 분해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One-touch fixing buck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three elements of the
도 2(a)는 원터치 고정 버클의 체결 및 탈착이 가능하도록 조작하는 조작부(100)를 나타낸 것으로, 손잡이(120)의 양 측면이 직각이 되도록 절곡되어 측편(130)을 마련하고, 측편은 고정홀(131)과 체결홀(132)을 갖는다.Figure 2 (a) shows the
상기 조작부(100)의 손잡이(120) 상단은 아래쪽으로 절개된 절개부(140)를 갖는데 이때, 측편(130)은 절개되지 않고 그 높이를 유지하여 돌출된 형상을 갖게 되며, 돌출된 양쪽 측편(130)에는 고정홀(131)이 생성된다.The upper portion of the
상기 고정홀(131)의 아래편으로는 체결홀(132)이 생성되어 후술되는 체결부(300)와 결합 가능하도록 한다.A
상단에 절개부(140)를 갖는 손잡이는 중앙에 가로방향으로 길게 장공(150)을 형성하여 원터치 고정 버클을 경량화하고, 장공(150)의 장측 모서리를 따라 손잡이(120)의 테두리가 내측으로 절곡되어져서 손잡이(120)를 잡고 조작할 때 미끄러지지 않고 더 많은 힘을 받을 수 있도록 하여 조작이 용이하도록 한다.The handle having an
도 2(b)는 원터치 고정 버클을 본체에 고정시키는 고정부(200)를 나타낸 도면이다.2 (b) is a view showing a
상기 고정부(200)의 양 측면은 직각으로 절곡되어 있고, 이때 절곡된 고정부(200)의 너비는 조작부(100)의 너비보다 작게 형성되어 고정부(200)의 절곡된 부분이 조작부(100)의 측편(130) 사이에 삽입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절곡된 부분에 형성된 고정핀 홀(220)을 조작부(100)의 측편(130)에 형성된 고정홀(131)과 일치하도록 맞추어 핀(400)을 사용하여 체결한다.(도 3 및 도 4의 확대부분 도면 참조)Both sides of the
한편, 고정부(200)의 상면에는 고정편(210)이 형성되는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터치 고정 버클에서는 고정부(200)의 상면 중앙에 고정편(210)이 형성되어 원터치 고정 버클이 설치된다. 고정편(210)은 본체(500)에 형성된 홈(미도시)에 걸릴 수 있도록 절곡되어 형성되어 원터치 고정 버클을 본체(500)에 고정한다.(도 4의 확대부분 도면 참조) 상기 고정편(210)은 일정 간격을 갖고 복수 개가 형성되어도 무방하다.On the other hand, a
도 2(c)는 덮개(600)가 본체(500)에 고정되도록 하는 체결부(300)를 나타낸 도면으로, 판 형상의 중앙편(310) 옆으로 절곡부(320)를 형성하는데, 절곡부(320)는 측면에서 보았을 때 중앙편(310)과 절곡부(320)가 둔각을 갖도록 아래쪽을 향해 형성되고, 체결핀 홀(331)이 형성되었으며, 원터치 고정 버클의 탈부착시 걸림이 없도록 한다.Figure 2 (c) is a view showing a
중앙편(310)의 상측으로는 덮개(600)의 끝단부에 걸려 덮개(600)가 고정되도록 하는 걸림부(330)가 형성되는데, 상기 걸림부(330)는 중앙편(310)에서 연결되어 아치형의 곡면을 갖도록 절곡되며 끝부분은 위쪽을 향해 절곡되어 형성된다.On the upper side of the
도 3은 본 발명의 원터치 고정 버클이 조립된 형상을 나타낸 도면이다.3 is a view showing the assembled shape of the one-touch fixing buckle of the present invention.
조작부(100)의 안쪽에서 측편(130) 사이로 고정부(200)를 삽입하는데, 이때 고정부(200)의 폭은 측편(130) 사이에 삽입될 수 있도록 조작부(100)의 폭보다 좁게 형성된다.Inserting the
상기 측편(130)에 형성된 고정홀(131)은 고정부(200)에 형성된 고정핀 홀(220)과 일치시켜서 핀(400)을 삽입하여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한다.The
또한, 측편(130)의 위쪽에서 체결부(300)가 끼워지는데, 이때 체결부(300)는 조작부(100)보다 넓은 폭을 갖고 있어 체결부(300)에 형성된 절곡부(320) 사이에 측면(130)이 삽입되도록 한다.In addition, the
상기 고정홀(131)의 하측에 형성된 체결홀(132)에 절곡부(320)에 형성된 체결핀 홀(331)을 일치시켜서 고정부(200)의 조립과 마찬가지로 핀(410)을 삽입하여 회동이 가능하도록 결합한다.(도 4의 확대부분 도면 참조)As the assembly of the
한편,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원터치 고정 버클을 케이스 본체에 장착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On the other hand, Figures 4 and 5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one-touch fixing buckle according to the invention mounted on the case body.
원터치 고정 버클을 장착할 케이스 본체(500)의 테두리 부분에 형성된 홈(미도시)에 맞추어 고정부(200)에 형성된 고정편(210)을 걸림고정 되도록 건다. 이때 원터치 고정 버클이 고정부(200)의 고정편(210)에 의해 본체(500)에 걸려 고정되고, 원터치 고정 버클이 고정되면 케이스 본체(500)에 덮개(600)를 내린다.To fasten the
이때, 본체(500)에 형성된 홈(미도시)에 고정편(210)이 삽입되어 고정되므로 덮개(600)를 덮었을 때 본체(500)와 덮개(600)는 밀착되게 된다.At this time, since the
상기 덮개(600)의 외주연은 체결부(300)의 걸림부(330)가 걸려지도록 걸림부(330)에 형성된 아치형의 절곡된 부분과 상응하도록 형성되며, 아치형으로 절곡된 걸림부(330)의 끝단부는 덮개의 외주연의 손상을 방지한다.The outer periphery of the
한편, 조작부(100)에 마련된 손잡이(120)를 위쪽으로 올리면 회동 가능하도 록 체결된 체결부(300)가 위쪽으로 움직이게 되고, 덮개(600)의 테두리 부분에 걸림부(330)가 걸리게 된다. 걸림부(330)가 걸려진 상태에서 손잡이(120)를 아래쪽으로 내려 원터치 고정 버클이 본체(500)와 덮개(600)를 고정하도록 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원터치 고정 버클을 이용하면 배전반(개량기)의 덮개, 터널 조명등의 덮개 등 많은 종류의 덮개를 체결하는 수단으로서 원터치 고정버클을 원하는 위치에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받을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use of the one-touch fixing buck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e effect of using the one-touch fixing buckle at a desired position as a means of fastening many kinds of covers such as covers of switchboards (covers) and tunnel lights. Can b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원터치 고정버클은, 원터치 고정버클이 사용될 본체에 고정식으로 부착할 필요가 없으므로 잘못 조립함으로 인한 위치 변화의 발생이 없고, 간단한 조작으로 손쉽게 체결할 수 있는 등의 효과를 제공받을 수 있다.In addition, the one-touch fixing buck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need to be fixedly attached to the main body to which the one-touch fixing buckle is used, so that there is no occurrence of a change in position due to incorrect assembly, and can be provided with an effect such as easy fastening by simple operation. Can be.
Claims (3)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70041099A KR100732483B1 (en) | 2007-04-27 | 2007-04-27 | One-touch fixing buckl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70041099A KR100732483B1 (en) | 2007-04-27 | 2007-04-27 | One-touch fixing buckle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2020060020705U Division KR200428979Y1 (en) | 2006-08-01 | 2006-08-01 | One-touch fixing buckle |
Public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100732483B1 true KR100732483B1 (en) | 2007-06-29 |
Family
ID=38373465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070041099A Expired - Fee Related KR100732483B1 (en) | 2007-04-27 | 2007-04-27 | One-touch fixing buckle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0732483B1 (en) |
Citations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S57186530U (en) * | 1981-05-22 | 1982-11-26 | ||
| KR960017127U (en) * | 1994-11-30 | 1996-06-17 |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 Fixing structure of trunk mat board |
| KR200315359Y1 (en) * | 2003-03-10 | 2003-06-02 | 이선아 | Opening and shutting stucture for food container |
| KR200365929Y1 (en) * | 2004-07-26 | 2004-10-28 | 주식회사 코멕스산업 | One-touch fastening configuration of both the cover and body of a sealed storage container |
-
2007
- 2007-04-27 KR KR1020070041099A patent/KR100732483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S57186530U (en) * | 1981-05-22 | 1982-11-26 | ||
| KR960017127U (en) * | 1994-11-30 | 1996-06-17 |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 Fixing structure of trunk mat board |
| KR200315359Y1 (en) * | 2003-03-10 | 2003-06-02 | 이선아 | Opening and shutting stucture for food container |
| KR200365929Y1 (en) * | 2004-07-26 | 2004-10-28 | 주식회사 코멕스산업 | One-touch fastening configuration of both the cover and body of a sealed storage container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US20130037396A1 (en) | Switch assembly | |
| US20060061949A1 (en) | Computer enclosure | |
| US7593237B2 (en) | Expansion card retention assembly | |
| US8579340B2 (en) | Adjustable strike | |
| KR101491913B1 (en) | Sliding Door Handle | |
| JP5321387B2 (en) | Protector for wire harness | |
| KR101976432B1 (en) | Coupling device of electronic device | |
| US20080238110A1 (en) | Case latch assembly | |
| US7576999B2 (en) | Expansion card retention assembly | |
| KR100732483B1 (en) | One-touch fixing buckle | |
| US20040190235A1 (en) | Pivotal frame for facilitating replacement of electronic device | |
| KR200428979Y1 (en) | One-touch fixing buckle | |
| KR200436128Y1 (en) | Cover coupling structure for lighting | |
| US7272903B2 (en) | Picture frame turn button | |
| RU2312963C2 (en) | Hinge assembly and hinge locking member | |
| CN223050303U (en) | Mutual buckling self-locking combined front baffle structure and refrigerator | |
| KR19980019979A (en) | Handheld computer with door for attaching and detaching peripherals | |
| US9809996B2 (en) | System and method for assembling a door lock | |
| JP4918434B2 (en) | Cover plate fixing structure | |
| JP6337178B1 (en) | Eaves bowl support and eaves bowl support apparatus provided with the same | |
| JP2006076523A (en) | Wiper arm | |
| KR0132654Y1 (en) | Drive kit assembling structure | |
| JP7493784B2 (en) | Window frame mounting structure | |
| JP4883597B2 (en) | Box door stop | |
| JP4580864B2 (en) | Grating fixture and grating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108 | Dual application of patent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108 | Dual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8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7-exm-PA0302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6-exm-PA0302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 S17-X000 | Non-exclusive voluntary license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S10-S17-lic-X000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604 Year of fee payment: 7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617 Year of fee payment: 8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8 |
|
| S17-X000 | Non-exclusive voluntary license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S10-S17-lic-X000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610 Year of fee payment: 9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9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614 Year of fee payment: 10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0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616 Year of fee payment: 11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1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627 Year of fee payment: 12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2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620 Year of fee payment: 13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3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4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210621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2106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