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714888B1 - 화상표시방법 및 화상표시장치 - Google Patents

화상표시방법 및 화상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14888B1
KR100714888B1 KR1020040044786A KR20040044786A KR100714888B1 KR 100714888 B1 KR100714888 B1 KR 100714888B1 KR 1020040044786 A KR1020040044786 A KR 1020040044786A KR 20040044786 A KR20040044786 A KR 20040044786A KR 100714888 B1 KR100714888 B1 KR 1007148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data
image
information
display
enlargemen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447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111092A (ko
Inventor
아라타니순타로
미야모토카츠히로
오노토모유키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1110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110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48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4888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1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1/32101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281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telecommunication apparatus, e.g. a switched network of teleprinters for the distribution of text-based information, a selective call terminal
    • H04N1/00283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telecommunication apparatus, e.g. a switched network of teleprinters for the distribution of text-based information, a selective call terminal with a television apparatus
    • H04N1/00291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telecommunication apparatus, e.g. a switched network of teleprinters for the distribution of text-based information, a selective call terminal with a television apparatus with receiver circuit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35User-machine interface; Control console
    • H04N1/00405Output means
    • H04N1/00408Display of information to the user, e.g. menus
    • H04N1/0044Display of information to the user, e.g. menus for image preview or review, e.g. to help the user position a she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35User-machine interface; Control console
    • H04N1/00405Output means
    • H04N1/00408Display of information to the user, e.g. menus
    • H04N1/0044Display of information to the user, e.g. menus for image preview or review, e.g. to help the user position a sheet
    • H04N1/00458Sequential viewing of a plurality of images, e.g. browsing or scrol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387Composing, repositioning or otherwise geometrically modifying originals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7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using display pane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 G09G2320/0613The adjustment depending on the type of the information to be displaye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04Changes in size, position or resolution of an image
    • G09G2340/0442Handling or displaying different aspect ratios, or changing the aspect ratio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04Changes in size, position or resolution of an image
    • G09G2340/045Zooming at least part of an image, i.e. enlarging it or shrinking i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04Changes in size, position or resolution of an image
    • G09G2340/0464Position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34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nother still picture apparatus, e.g. hybrid still picture apparat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77Types of the still picture apparatus
    • H04N2201/0087Image storage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77Types of the still picture apparatus
    • H04N2201/0089Image display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2201/3201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 H04N2201/3225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of data relating to an image, a page or a document
    • H04N2201/3242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of data relating to an image, a page or a document of processing required or performed, e.g. for reproduction or before recor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2201/3201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 H04N2201/3225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of data relating to an image, a page or a document
    • H04N2201/3252Image capture parameters, e.g. resolution, illumination conditions, orientation of the image capture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2201/3201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 H04N2201/3225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of data relating to an image, a page or a document
    • H04N2201/3253Position information, e.g. geographical position at time of capture, GPS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2201/3201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 H04N2201/3225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of data relating to an image, a page or a document
    • H04N2201/3254Orientation, e.g. landscape or portrait; Location or order of the image data, e.g. in memo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Studio Circuits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 Editing Of Facsimile Originals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Abstract

화상표시장치는 화상 데이터와 관련된 촬영정보를 얻는다. 상기 화상표시장치는, 얻어진 촬영정보에 의거해서 화상데이터의 표시모드를 선택하고, 선택된 표시모드에 따라서 화상 데이터의 표시를 변경한다.

Description

화상표시방법 및 화상표시장치{IMAGE DISPLAY METHOD AND IMAGE DISPLAY DEVICE}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형태에 의한 텔레비전 수상기(수신기)의 구조를 표시한 블록도
도 2는 본 실시형태의 텔레비전 수상기의 리모콘을 표시한 블록도
도 3은 제 1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표시제어부(110)의 동작의 흐름을 표시한 차트
도 4는 제 1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표시제어부(110)가 표시효과의 파라미터를 결정할 때에 이용하는 정보테이블의 예를 표시한 도면
도 5A 내지 도 5F는 제 1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표시효과처리예를 표시한 도면
도 6A 내지 도 6D는 제 1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작용의 예를 표시한 도면
도 7은 제 3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표시제어부(110)의 동작의 흐름을 표시한 차트
도 8은 제 3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표시제어부(110)가 표시효과의 파라미터를 결정할 때에 이용하는 정보테이블의 예를 표시한 도면
도 9는 제 3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표시효과처리예를 표시한 도면
도 10은 제 4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표시제어부(110)의 작용의 흐름을 표시한 도면
도 11은 제 4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표시제어부(110)가 표시효과의 파라미터를 결정할 때에 이용하는 정보테이블의 예를 표시한 도면
도 12A 및 도 12B는 제 4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표시효과 처리예를 표시한 도면
도 13은 촬영장면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디지틀 TV수신장치 101: 튜너부
102: 디멀티플렉서부 103: 영상/음성 데코더부
104: 음성출력부 105: 화상데이터 입력부
106: 화상처리부 107: 비데오 메모리
108: 표시합성부 109: 카드 슬롯
110: 표시제어부 111: 유저 입력부
112: 표시부 113: 기억부
114: 리모콘
본 발명은, 화상 데이터를 화면상에 표시하는 화상표시방법 및 화상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디지틀 하이 비전(high-vision) 방송이 개시되어, 하이비전 텔레비전 수신기가 보급됨에 따라, 종래보다도 고화질의 보다 인상깊은 화상을 가정에서 즐길 수 있게 되었다. 한편, 전자스틸 카메라의 보급에 따라, 전자화한 정지화상 및 동화상을 퍼스널 컴퓨터뿐만 아니라, 텔레비전 수신기의 모니터 화면에 표시해서 즐기는 유저도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중에, 촬영한 정지화상이나 동화상을 단순히 텔레비전 수신기에 표시할 뿐만 아니라, 텔레비전 프로그램과 같이 "수동적으로" 시청하거나, 또는 텔레비전 프로그램이나 영화처럼 연출이나 영상/음성효과를 부가하려는 유저의 요구도 점차 높아지고 있다.
디지틀 화상 데이터를 유저가 조작하는 일없이 순차 표시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슬라이드쇼 표시라고 하는 것이 존재한다. 이 슬라이드쇼의 표시에 효과를 부가하는 방법이, 일본국 공개특허 제 2002-281450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다. 이 공보에 있어서는, 배포된 정지화상에 미리 부여된 표시절환 효과설정에 따라, 표시절환효과를 제어하는 방법을 종래예로서 제시하고, 또, 유저가 자유로이 표시절환효과를 다른 것으로 변경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도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기술은, 슬라이드쇼에 효과적인 절환효과를 부여하기 위해서는, 콘텐츠의 제작자가 효과를 부가하는 작업을 필요로 하였다. 한편, 유저가 행할 수 있는 것은, 정지화상의 절환효과 제어명령을 다른 명령으로 교환하는 것이다. 즉, 상기 종래의 기술에서는, 사진의 내용에 따른 최적의 표시효과를 자동으 로 혹은 편리하게 행하는 것은 곤란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에 비추에 이루어진 것으로, 화상의 표시모드(즉, 표시형태)를 시계열적으로 변경해서 표시할 경우의 표시효과를, 유저에게 번잡한 설정조작을 요구하는 일없이, 화상의 내용을 반영하기 위해 보다 효과적으로 행할 수 있는 화상표시방법, 이 화상표시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 및 화상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의 제 1측면에 의하면, 화상 데이터와 관련된 촬영정보를 얻는 공정과; 얻어진 촬영정보에 의거해서 상기 화상 데이터의 표시형태를 선택하는 공정과; 선택된 표시형태에 따라 상기 화상 데이터의 표시를 변경하는 공정을 구비한 화상표시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 2측면에 의하면, 화상 데이터와 관련된 촬영정보를 얻는 공정과; 얻어진 촬영정보에 의거해서 상기 화상 데이터의 표시형태의 후보를 선택하는 공정과; 유저가 상기 화상 데이터의 상기 표시형태의 상기 후보를 선택할 수 있도록, 상기 표시형태의 후보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는 공정과; 선택된 표시형태에 따라 상기 화상 데이터의 표시를 변경하는 공정을 구비한 화상표시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본 발명의 화상표시방법은, 예를 들면, 퍼스널 컴퓨터나 텔레비전 수신장치의 마이크로프로세서 등의 광의의 컴퓨터에 있어서 실행되는 프로그램으로서, 디스크 등의 기억매체나 인터넷 등의 전송매체를 통해서 유통가능하다.
본 발명의 제 3측면에 의하면,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수단과; 화상 데이터를 취득하는 화상데이터 취득수단과; 화상 데이터와 관련된 촬영정보를 취득하는 촬영 정보 취득수단과; 촬영정보에 대응하는 표시형태를 선택하는 표시형태 선택수단과; 상기 선택된 표시형태에 따라서 상기 표시수단에 있어서의 화상 데이터의 표시를 변경하는 표시제어수단을 구비한 화상표시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 4측면에 의하면,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수단과; 화상 데이터를 취득하는 화상데이터 취득수단과; 화상 데이터와 관련된 촬영정보를 취득하는 촬영정보 취득수단과; 상기 촬영정보에 대응하는 표시형태의 후보를 선택하는 표시형태후보 선택수단과; 유저가 상기 선택된 표시형태후보를 결정하도록 호출하는 바와 같은 정보를 표시수단에 표시하고, 상기 선택된 표시형태에 따라 표시수단에 있어서의 화상 데이터의 표시를 변경하는 표시제어수단을 구비한 화상표시장치가 제공된다.
이상 표시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유저가 촬영장치에서 촬영한 화상 데이터를 음미할 때에, 개개의 화상 데이터와 관련된 정보들에 의거해서, 화상의 내용에 적합한 표시효과를 부여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제 1실시형태)
(각 부의 설명)
우선, 본 발명의 제 1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디지틀 텔레비전 수신장치(100)의 구성을 표시한 도면이다.
도 1에 있어서, 도시하지 않은 안테나에 의해 수신된 신호는 튜너부(101)에 입력된다. 이 튜너부(101)는, 입력된 신호에 대해서, 복조 및 오류정정 등의 처 리를 실시하고, "트랜스포트 스트림"(transport stream)이라 불리는 형식의 디지틀 데이터를 생성한다. 튜너부(101)는, 또한, 생성한 트랜스포트 스트림(TS) 데이터에 대해서 디스크램블(descramble) 해제처리를 행하고, 해당 처리된 데이터를 디멀티플렉서부(102)에 출력한다.
디멀티플렉서부(102)는, 튜너부(101)로부터 입력된 복수의 채널분의 영상/음성 데이터 및 전자프로그램가이드(EPG)데이터 및 데이터방송데이터가 시분할다중화되어 있는 TS데이터로부터, 영상 데이터 및 음성 데이터를 추출하고, 해당 추출된 영상/음성 데이터를 영상/음성 데코더(103)로 출력한다. 영상/음성 데코더(103)에서 처리된 영상 데이터는 비데오 메모리(107)에 기입하고, 표시합성부(108)를 개재해서, 표시부(112)로 출력된다. 한편, 음성 데이터는, 음성 출력부(104)로 출력된다.
카드 슬롯(109)은, 제거가능한 메모리 카드 등과 접속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카드 슬롯(109)은, 디지틀 카메라와 데이터의 교환을 행하는데 사용된다. 화상데이터 입력부(105)는, 카드 슬롯(109)에 접속된 메모리 카드로부터 디지틀 화상 데이터를 판독한다. 화상처리부(106)는 화상데이터 입력부(105)로부터 입력된 디지틀 화상데이터에 대해서 화상처리를 실시하여, 처리된 데이터를 비데오 메모리(107)에 기입한다.
표시제어부(110)는, 화상데이터 입력부(105)에 대한 화상판독의 지시; 화상처리부(106)에 대한 처리실행의 지시; 비데오 메모리(107)에의 표시데이터의 기입; 표시합성부(108)에 대한 합성처리의 지시; 및 기억부(113)에 대한 정보의 기억지시 를 행한다. 한편, 표시제어부(110)는, 유저 입력부(111)를 개재해서 리모콘(114)으로부터의 입력데이터의 취득 및 화상데이터 입력부(105)를 개재해서, 디지틀 화상데이터와 관련되어 부여된 촬영 데이터(또는 관련 정보)의 취득도 행한다. 한편, 본 발명의 화상표시방법이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으로서 제공되는 경우에는, 표시제어부(110)에 있어서, 그 프로그램이 실행된다.
여기서는, 화상데이터 입력부(105) 및 표시제어부(110)가, 화상데이터 취득수단 및 촬영정보 취득수단에 상당한다. 한편, 기억부(113)에 기억된 테이블(도 4 참조) 및 표시제어부(110)가 표시형태 선택수단에 상당한다. 또한, 표시제어부(110)는 표시제어수단에 상당한다.
리모콘(114)의 예를 도 2에 표시한다. 여기서, 도 2는, 본 실시형태를 설명하는데 필요한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조작을 행하는 버튼만을 표시하였으나, 이들 버튼은 실제의 수신장치에 필요한 것과 동일한 것은 아니다.
도 2에 표시한 바와 같이, 리모콘(114)은, 디지틀 텔레비전 수신장치(100)의 유저 입력부(또는 수광부)(111)와의 적외선 통신을 행하기 위한 발광부(201); 전원을 온/오프하기 위한 전원키(202); 상하좌우 버튼의 중앙에 배치된 결정키를 지닌 커저 & 결정키(203); 업키(UP key)(204): 다운키(DOWN key)(205); 1 내지 9 및 0의 숫자가 매트릭스상에 배열된 숫자키(206); 청, 적, 녹, 황의 4색의 버튼이 1행으로 배열되어 있는 컬러키(207)를 구비하고 있다.
또, 리모콘(114)은, 디지틀 텔레비전 수신장치(100)의 모니터의 표시형태(즉, 표시모드)를 절환하는 모니터 모드키(208) 및 화상뷰어기능을 호출하기 위한 뷰 키(view key)(209)를 또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이용된 디지틀 화상은, 디지틀 카메라(또는 촬영장치)에서 촬영된 정지화상 및 동화상의 데이터를 포함한다. 이용되는 정지화상 데이터는 디지틀 카메라에 의해서 JPEG압축된 후, 정지화상 데이터파일로서 메모리 카드에 기록되어 있다. 또, 이용되는 동화상 데이터도 디지틀 카메라에 의해서 프레임단위로 JPEG압축처리된 후, 동화상 데이터파일로서 메모리 카드에 기록되어 있다. 이후의 설명에서, "화상파일"은 정지화상 데이터 혹은 동화상 데이터를 표시하는 것으로 한다.
각각의 화상파일에는, 디지틀 카메라에 의해서 촬영시의 정보가 화상 데이터와 관련해서 부여되어 있다. 촬영시의 정보(촬영 정보)로서는, 촬영일시나 카메라의 기종명뿐만 아니라, 촬영장면모드, 촬영시에 있어서의 파인더내의 초점위치를 표시하는 초점위치정보, 스트로보 발광상태정보, 피사체와의 거리를 나타내는 정보 및 줌상태정보 등을 포함한다.
본 실시형태에서 사용한 디지틀 카메라에서는 촬영시에 있어서의 파인더내의 초점위치정보로서, "왼쪽", "중앙" 및 "오른쪽"중 어느 하나가 기록된 것을 이용하고 있다.
(처리 동작 설명)
디지틀 텔레비전 수신장치(100)에 있어서의 디지틀 화상의 표시는, 유저가 카드 슬롯(109)에 메모리 카드를 삽입하고, 리모콘 조작에 의해서 화상뷰어기능을 호출함으로써 개시된다.
도 3은, 디지틀 텔레비전 수신장치에 있어서의 화상뷰어기능의 일부의 동작에 대해서 표시제어부(110)의 동작을 중심으로 표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3을 참조해서 처리동작을 설명한다.
(슬라이드쇼의 개시)
유저가 도 2에 표시한 리모콘의 "뷰어"키를 누르면, 표시제어부(110)는 도 3에 표시한 처리를 개시한다.
(줌위치/배율의 결정)
먼저, 표시제어부(110)는, 화상데이터 입력부(105)를 개재해서, 메모리 슬롯(109)에 삽입된 메모리 카드에 있는 화상파일의 총 수를 판독해서 기억한다(S301). 다음에, 표시제어부(110)는 1매째의 화상파일의 Exif 헤더정보의 판독을 행한다(S302 및 S303).
화상의 Exif 헤더정보에, "초점위치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는(S304), 도 4에 표시한 테이블을 이용해서 초점위치정보에 따른 줌위치 및 줌배율을 결정한다(S305). 예를 들면, 초점위치정보가 "왼쪽"이면, 도 4의 테이블에 따라서 줌위치를 "왼쪽끝", 줌배율을 "200%"로 결정한다. 도 4에 표시한 테이블은, 촬영정보와 화상 데이터의 표시형태와의 대응관계를 결정하는 정보를 제공한다.
한편, 화상의 Exif 헤더정보에, "초점위치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줌위치를 "중심", 줌배율을 "150%"로 결정한다(S306).
그리고, 표시제어부(110)는, 화상입력부(105)를 개재해서 메모리 카드로부터 이 화상의 데이터를 판독하고(S307); 이 판독된 데이터를 화상처리부(106)에 보내 어 데코드처리를 행한 후(S308); 비데오 메모리에 대해서 표시데이터를 기입함으로써 화상의 표시를 행한다(S309).
(주밍 표시)
표시제어부(110)는 표시합성부(108)를 제어해서, 앞서의 동작에서 결정한 줌위치 및 줌배율에 따라서 주밍표시를 실행한다(S310). 도 5는 표시합성부(108)에 의해서 행해지는 화상의 주밍조작의 거동을 표시한 도면이다.
예를 들면, 줌위치가 "중심", 줌배율이 "200%"로 결정된 경우에는, 도 5A에 표시한 바와 같이, 최초에는 화상 전체를 표시하고, 서서히 안쪽의 직사각형까지 주밍을 행하도록 제어한다.
예를 들면, 최초에는 전체 화상(10)을 100%의 배율로 표시하고; 이어서, 제 1부분화상(11)을 150%로 확대해서 화면 전체에 걸쳐서 표시하고; 최후로 제 2부분화상(12)을 200%로 확대해서 화면 전체에 걸쳐서 표시한다. 따라서, 얻어진 표시효과에 있어서, 전체 화상(10)의 중앙위치(즉, 제 2부분화상(12))를 점차로(또는 단계적으로) 확대한다. 여기서는, 2단계 주밍을 설명하나, 단계수는 1개(즉, 전체화상 및 확대화상을 단지 절환하는 것) 혹은 2개이상으로 해도 된다. 단계수가 증대될 수록, 주밍은 원활해진다.
한편, 줌위치가 "왼쪽 끝", 줌배율이 "200%"로 결정된 경우에는, 도 5B에 표시한 바와 같이, 주밍을 행한다.
또한, 줌위치가 "오른쪽 끝", 줌배율이 "200%"로 결정된 경우에는, 도 5C에 표시한 바와 같이, 주밍을 행한다.
마찬가지로, 줌위치가 "중심", 줌배율이 "150%"인 경우에는, 도 5D에 표시한 바와 같이, 줌위치가 "왼쪽 끝", 줌배율이 "150%"인 경우에는, 도 5E에 표시한 바와 같이, 줌위치가 "오른쪽 끝", 줌배율이 "150%"인 경우에는, 도 5F에 표시한 바와 같이, 각각 주밍조작을 행한다.
표시제어부(110)는, 1매째의 화상의 주밍조작을 종료하면, 2매째 이후의 화상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의 조작을 행한다.
(작용)
이상 설명한 표시제어부(110)의 작업에 의해 얻어지는 작용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6A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 이용한 디지틀 화상의 일례이다. 이 예에서는, 사진의 왼쪽에 피사체가 위치되어 있다. 만약 줌위치를 "중심"으로 해서 주밍을 행하면, 도 6B에 표시한 바와 같이 피사체가 화면의 끝에서 일부 숨어버리게 되므로, 유저가 흥미 있어 하는 부분이 표시되지 않게 된다.
상술한 표시제어부(110)의 동작에 의하면, 이 디지틀 화상에 도 6C에 표시한 바와 같은 초점위치정보 "왼쪽"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는, 도 4의 테이블로부터, 줌위치가 "왼쪽 끝", 줌배율이 "200%"로 결정된다. 그 결과, 도 6D에 표시한 바와 같은 주밍조작이 행해지게 되어, 피사체를 항상 화면에 표시시킬 수 있게 된다.
통상 유저는 피사체에 초점을 맞춰서 촬영하고, 초점위치는 유저가 흥미있어 하는 피사체를 표시하고 있는 일이 많다. 초점위치정보가 화상 데이터에 포함되는 경우에는, 그 초점위치를 반영시키면서, 유저가 흥미있어 하는 부분을 서서히 주밍업(zooming up)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보다 높은 표시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표시제어부(110)의 제어에 의하면 초점위치정보가, "왼쪽"과 "중앙"과 같이 2개소인 경우에는, 확대율을 내려서 그 2개소의 영역 모두가 화면으로부터 불룩해지지 않도록 주밍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본 발명의 제 1실시형태에 의하면, 유저가 디지틀 카메라로 촬영한 화상 데이터를 슬라이드쇼로 표시할 때에, 사진 고유의 정보에 의거해서, 그 사진에 적합하게 보다 효과적으로 주밍조작을 자동으로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이상의 설명에 있어서는, 화상에 대해서 서서히 주밍하고 있는 작업을 전제로 하였으나, 본 발명의 본질은, 당연히 이러한 줌인(zoom-in)조작으로 한정되지 않고, 일부분의 확대표시로부터 서서히 줌아웃(zoom-out)하는 조작으로 변경해도 된다.
또, 상기 설명에 있어서는, 촬영시에 기록된 초점위치정보라고 하는 정보를 이용한 예를 소개하였으나, 디지틀 카메라가 촬영장면모드로서 피사체 위치 혹은 초점 위치가 고정된 형태를 설정가능한 경우에는, 이 촬영장면모드의 정보를 이용해도 된다. 예를 들면, 도 13에 표시한 바와 같이 "인물 오른쪽", "인물 왼쪽"이라고 하는 촬영장면모드를 지닌 디지틀 카메라에 의해서 촬영한 경우, 그리고, 화상의 Exif 헤더정보에 "인물 오른쪽"이라고 하는 정보가 있는 경우, 사진의 오른쪽을 향해서 서서히 주밍조작을 행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설명과 마찬가지의 작용을 얻을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 1개의 화상 데이터의 표시형태를 시계열적으로 변경하는 조작은, 자동으로 행해도, 유저가 버튼을 눌러서, 순차 단속적으로 변경되도록, 수동으로 행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의 화상표시장치는, 디지틀 카메라나 디지틀 스틸 카메라와 같이 촬영장치와 일체화된 것이어도 된다.
이들 각종 변형은, 후술하는 각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이다.
(제 2실시형태)
이제까지 설명한 제 1실시형태에 있어서는, Exif 헤더정보에 포함되는 촬영시의 초점위치정보 등의 정보로부터 보다 효과적인 주밍을 행하는 예를 표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본질에 의하면, 주밍은 이 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디지틀 카메라가 시선입력기능을 지니고 있는 경우에는, 이 시선에 관한 정보를 이용해도 된다.
예를 들면, Exif 헤더정보에 기록된 정보가, 촬영시에 파인더의 "왼쪽"에 촬영자의 시선이 있었던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고 있을 경우에는, 사진의 왼쪽을 향해서 서서히 주밍하고 있도록 주밍조작을 행함으로써, 제 1실시형태와 마찬가지 작용을 얻을 수 있다.
(제 3실시형태)
(각 부의 설명)
다음에, 본 발명의 제 3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서 이용한 디지틀 텔레비전 수신장치의 구성은 도 1과 마찬가지이므로, 그 설명은 생략 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앞서의 실시형태에서 이용한 것과 마찬가지의 디지틀 카메라로 촬영한 디지틀 화상을 이용하였으나, 본 실시형태에서 사용한 디지틀 카메라에서는, 특히 촬영 일시의 정보, 촬영시의 카메라의 방향을 표시하는 정보(즉, 와이드(wide)/하이(high) 사진)와, "오토모드", "풍경모드", "인물모드(포트레이트모드)", "나이트(야간촬영)모드" 등의 촬영시의 촬영장면모드 설정이 기록된 것을 이용하고 있다.
(처리동작 설명)
본 발명에 의한 디지틀 텔레비전 수신장치(100)에 있어서의 디지틀 화상의 표시는, 유저가 카드 슬롯(109)에 메모리 카드를 장착하고, 리모콘조작에 의해서, 화상뷰어기능을 호출함으로써 개시된다.
도 7은 디지틀 텔레비전 수신장치에 있어서의 화상뷰어기능의 일부의 동작에 대해서 표시제어부(110)의 동작을 중심으로 표시한 도면이다. 이하에 도 7을 참조해서 동작을 설명한다.
(슬라이드쇼의 개시)
유저가 도 2에 표시한 리모콘(114)의 "뷰어"키를 누르면, 표시제어부(110)는 도 7에 표시한 동작을 개시한다.
(표시효과 결정처리)
먼저, 표시제어부(110)는 화상데이터 입력부(105)를 통해서 메모리 슬롯(109)에 삽입되어 있는 메모리 카드내에 있는 화상파일의 총 수를 판독해서 기 억한다(S701). 다음에, 표시제어부(110)는 1매째의 화상파일의 Exif 헤더정보의 판독을 행한다(S702 및 S703). Exif 헤더정보에 포함된 "촬영장면모드정보" 및 "카메라의 방향정보"의 내용에 따라, 도 8에 표시된 테이블을 이용해서 촬영장면모드에 따른 표시효과를 결정한다(S704).
도 8의 테이블은, 표시제어부(110)가 촬영효과를 결정할 때의, 각 조건에 따른 결정결과를 표시한 것이다.
예를 들면, 처리중인 화상의 촬영장면모드가 "풍경"인 경우, 그리고, 카메라의 방향정보, 즉, 화상방향이 "하이"인 경우에는, 표시제어부(110)는 주밍조작 C를 선택한다.
한편, 화상의 촬영장면모드가 "인물"인 경우, 그리고, 화상이 "하이"인 경우에는, 표시제어부(110)는 주밍조작 D를 선택한다.
그리고, 표시제어부(110)는 화상입력부(105)를 개재해서 메모리 카드로부터 이 화상의 데이터를 판독하고(S705); 이 판독된 데이터를 화상처리부(106)에 보내어 데코드처리를 행한 후(S706); 비데오 메모리에 표시데이터를 기입함으로써 화상의 표시를 행한다(S707).
(주밍 표시)
다음에, 표시제어부(110)는 표시합성부(108)를 제어해서, 앞서의 동작에서 결정한 주밍조작 A 내지 D에 따라서 주밍표시를 실행한다(S708).
도 9는 주밍조작 A 내지 D(도면에서는 간단히 "주밍 A 내지 D"로 표현함)에 의한 화상에 대한 표시영역의 변화를 표시한 도면이다.
예를 들면, 주밍조작 A에서는, 화상 전체 표시로부터 중심을 향해서 작은 직사각형 범위의 표시까지 서서히 주밍을 행하도록 제어한다. 구체적으로는, 최초에는 전체 화상(20)을 100%의 배율로 표시하고; 이어서, 제 1부분화상(21)을 확대해서 화면 전체에 걸쳐서 표시하고; 최후로 제 2부분화상(22)을 확대해서 화면 전체에 걸쳐서 표시한다. 여기서는, 2단계 주밍을 설명하였으나, 단계수는 1개 혹은 2개이상으로 해도 된다. 주밍조작 B에서는, 왼쪽의 큰 직사각형 영역으로부터 오른쪽의 작은 직사각형 영역으로 서서히 주밍을 행하도록 제어한다. 또, 주밍조작 C에서는, 아래쪽의 큰 직사각형 영역으로부터 위쪽의 작은 직사각형 영역으로 서서히 주밍을 행하도록 제어한다. 한편, 주밍조작 D에서는, 바깥쪽의 큰 직사각형 영역으로부터 안쪽의 작은 직사각형 영역으로 서서히 주밍을 행하도록 제어한다.
표시제어부(110)는 1매째의 주밍조작을 종료하면, 2매째 이후의 화상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의 처리를 행한다(S710).
(작용)
이상 설명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표시제어부(110)의 동작에 의해 얻어지는 작용에 대해서 설명한다.
표시하고 있는 화상이 "풍경"사진으로 "와이드"인 경우, 도 9의 주밍조작 B에 표시한 바와 같은 주밍조작을 행한다. 일반적으로, 와이드한 풍경사진은 넓은 풍경 전체를 피사체로 한 것이 많으므로, 줌배율을 그다지 높게 하지 않고, 주밍조작 B와 같이 풍경을 판(pan)표시하도록 한 쪽이, 풍경의 폭을 손상시키지 않고 표 시효과를 보다 좋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화상이 "풍경"사진이고 "하이"인 경우에는, 표시제어부(110)는 도 9의 주밍조작 C에 표시한 바와 같이 주밍조작을 행한다. 하이의 풍경사진은, 일반적으로, 높은 건물, 혹은 발에 가깝게 흐르는 강과 함께 먼쪽의 풍경을 찍는 경우가 많고, 이와 같은 경우, 아래쪽으로부터 위쪽을 향해서 주밍함으로써, 높이나 깊이의 표현을 강조하는 표시효과가 얻어질 수 있다.
한편, 화상이 "인물"사진이고 "하이"인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중심보다도 위쪽의 영역에 인물의 얼굴이 위치하므로, 이와 같은 경우, 도 9에 표시한 주밍조작 D와 같이, 상시 이 부분을 표시한 채로 주밍함으로써, 얼굴의 일부가 잘리는 등의 어떠한 결함도 없이 주밍표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 4실시형태)
(각 부의 설명)
다음에, 본 발명의 제 4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서 이용한 디지틀 텔레비전 수신장치의 구성은 도 1과 마찬가지이므로, 그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앞서의 실시형태에서 이용한 것과 마찬가지의 디지틀 카메라로 촬영한 디지틀 화상을 이용하였으나, 본 실시형태에서 사용한 디지틀 카메라에서는, 특히 촬영 일시의 정보, 촬영시의 피사체의 심도정보, 플레시발광의 유무의 정보, "오토모드", "풍경모드", "인물모드(포트레이트모드)", "나이트(즉, 야간촬영)모드" 등의 촬영시의 촬영장면모드의 설정이 기록된 것을 이용하고 있다.
(처리동작 설명)
상기 디지틀 텔레비전 수신장치(100)에 있어서의 디지틀 화상의 표시는, 유저가 카드 슬롯(109)에 메모리 카드를 삽입하고, 리모콘 조작에 의해서, 화상뷰어기능을 호출함으로써 개시된다.
도 10은 디지틀 텔레비전 수신장치에 있어서의 화상뷰어기능의 일부의 동작에 대해서 표시제어부(110)의 동작을 중심으로 표시한 도면이다. 이하에 도 10을 참조해서 동작을 설명한다.
(슬라이드쇼의 개시)
유저가 도 2에 표시한 리모콘의 "뷰어"키를 누르면, 표시제어부(110)는 도 10에 표시한 동작을 개시한다.
(표시효과 결정처리)
먼저, 표시제어부(110)는 화상데이터 입력부(105)를 통해서 메모리 슬롯(109)에 삽입되어 있는 메모리 카드내에 있는 화상파일의 총 수를 판독해서 기억한다(S1001). 다음에, 표시제어부(110)는 1매째의 화상파일의 Exif 헤더정보의 판독을 행한다(S1002 및 S1003).
Exif 헤더정보에, "촬영장면모드정보", "피사체 심도정보", "플래시발광정보" 및 "촬영일시정보"의 내용에 따라, 도 11에 표시된 테이블을 이용해서 촬영장면모드에 따른 표시효과를 결정한다(S1004).
도 11의 테이블은, 표시제어부(110)가 촬영효과를 결정할 때의, 각 조건에 따른 결정결과를 표시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도 11에 표시한 테이블은 촬영정 보(즉, "촬영장면모드정보", "피사체 심도정보", "플래시발광정보" 및 "촬영일시정보")와 표시형태(즉, "표시효과")와의 대응관계를 규정하는 정보를 예시한 것이다.
예를 들면, 처리중인 화상의 촬영장면모드가 "풍경"인 경우, 그리고, 4월 1일의 하루중에 피사체 심도가 15m로 플래시의 발광이 없는 조건하에 화상을 촬영한 경우, 표시제어부(110)는 애니메이션 조작 A(도면에서는 간단히 "애니메이션 A"라 표현함, 이하 마찬가지임)를 선택한다.
한편, 화상의 촬영장면모드가 "야경"인 경우, 그리고, 12월 25일에 피사체 심도가 20m인 조건하에 화상을 촬영한 경우, 표시제어부(110)는 애니메이션 조작 C를 선택한다.
그리고, 표시제어부(110)는 화상입력부(105)를 개재해서 메모리 카드로부터 이 화상의 데이터를 판독하고(S1005); 이 판독된 데이터를 화상처리부(106)에 보내어 데코드처리를 행한 후(S1006); 비데오 메모리에 대해서 표시데이터를 기입함으로써 화상의 표시를 행한다(S1007).
(자동효과 처리)
다음에, 표시제어부(110)는 미리 유저에 의해서 설정된 정보를 판독하고, 그 정보중에서, 자동표시효과가 설정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한다(S1008).
자동표시효과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S1009), 앞서의 처리에서 애니메이션 조작이 선택되어 있으면, 표시중인 화상에 대해서, 애니메이션 오버레이표시를 실행한다(S1010).
예를 들면, 애니메이션 조작 C가 선택되어 있는 경우, 표시제어부(110)는 도 12A에 표시한 바와 같이, 눈이 내리고 있는 바와 같은 애니메이션을 표시중인 화상에 대해서 오버레이를 행하도록, 비데오 메모리(107) 및 표시합성부(108)를 제어한다.
(표시효과 아이콘의 표시)
한편, 자동표시효과가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 앞서의 S1004의 처리에서 애니메이션 조작이 선택되어 있으면, 도 12B에 표시한 바와 같이 애니메이션 오버레이 표시를 유저가 호출하기 위한 표시를 행한다(S1011). 도 12B에서는 청색 버튼을 누름으로써 "눈"의 애니메이션의 표시효과가 실행될 수 있는 것을 표시하고 있다. 그리고, 실제로 유저에 의해서 청색 버튼이 눌러지면(S1012),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표시중인 화상에 대해서, "눈"의 애니메이션 오버레이조작을 실행한다(S1010). 여기서는, 도 11에 표시한 테이블 및 표시제어부(110)가 표시후보 선택수단에 상당한다. 또, 화면상에 표시된 청색 버튼이, 애니메이션 오버레이조작을 선택할지 혹은 표시형태의 후보를 선택할지의 여부의 결정을 재촉하는 정보에 상당한다.
(작용)
이상 설명한 표시제어부(110)의 동작에 의한 작용에 대해서 설명한다.
표시제어부(110)의 동작에 의해, Exif 정보가 일정 조건을 만족하는 화상에 대해서, 도 12A에 표시한 애니메이션을 오버레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예를 들면, 표시하고 있는 화상이 풍경사진으로 4월 1일의 하루중에 촬영된 경우, 일반적으로 일본국내에서 벚꽃이 피어있으므로, 사진이 벚꽃풍경과 관련될 가능성이 높다. 또, 사진이 직접 벚꽃풍경과 관련이 없을 경우에도, 유치원이나 학교의 입학식 장면과 같이 일반적으로 벚꽃과 관련성을 지닌 것처럼 찍은 사진일 가능성이 높다. 이러한 장면의 사진에 "벚꽃"이 떨어지는 표시효과를 적용함으로써, 유저는, 단순히 화상을 표시한 것으로부터 얻어진 사진으로부터 깊은 인상을 받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실시형태의 표시제어부(110)의 동작에 의하면, 이와 같은 사진에 대해서, 자동 혹은 단일 버튼조작으로 벚꽃이 떨어지는 애니메이션을 오버레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표시하고 있는 화상이 야경사진이고 12월 25일에 촬영된 경우, 일반적으로 일본국내의 많은 장소의 계절에서 눈이 내리므로, 촬영시 눈이 내리고 있을 가능성이 높다. 본 실시형태의 표시제어부(110)의 조작에 의하면, 이와 같은 사진에 대해서 자동으로 혹은 단일조작으로 눈이 내리는 애니메이션을 오버레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러한 표시효과를 적용함으로써, 유저는, 그 사진으로부터 깊은 인상을 받는 것이 가능해진다.
여기서, 도 10의 S1004의 동작 및 도 11에 표시한 테이블에 있어서, 피사체의 심도가 큰(예를 들면, 5m이상) 사진에 대해서만 애니메이션 오버레이를 행하도록 하고 있다. 이 애니메이션 오버레이의 이유는, 다음과 같이 설명된다. 피사체의 심도가 비교적 작은 사진에 대해서 벚꽃이나 눈이 내리는 바와 같은 애니메이션을 오버레이하면, 그 피사체의 심도에서 벚꽃이나 눈이 내리는 것처럼 보이지 않게 되어, 깊이감이 없어져 높은 표시효과를 얻을 수 없다. 또한, 플래시발광이 없는 사진에 대해서만 애니메이션을 오버레이한다. 이것도, 마찬가지로, 일반적 으로 플래시발광시킨 사진은, 실내에서 촬영되었거나, 혹은 (역광방지의 이유로) 피사체가 비교적 근거리에 있는 일이 많기 때문이다.
이들 표시제어를 행함으로써, 사진을 촬영한 계절이나 상황에 따라 표시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2A의 예에 있어서는, 전체의 눈송이가 동일한 크기로 표현되어 있으나, 실제로 채용할 경우에는, 애니메이션에서는 벚꽃이나 눈송이에 관해서, 크기가 혼합된 상태로 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애니메이션표시를 하지 않고도 사진에 깊이감을 더욱 부여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 5실시형태)
제 3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촬영일시정보, 촬영장면모드정보, 피사체심도정보 또는 플래시 발광정보와 같은 Exif 헤더정보들로부터 보다 효과적인 애니메이션을 선택하고 있었으나, 본 발명의 본질에 의하면, 효과적인 애니메이션은 당연히 이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디지틀 카메라가 GPS로부터의 촬영위치정보를 기록할 수 있는 경우에는, 이 정보로부터 효과적인 애니메이션을 선택하도록 해도 된다.
예를 들면, Exif 헤더정보에 기록된 정보로부터 촬영장소가 삿뽀로시 주변에 위치하는 것을 알 수 있다면, 일본국내의 다른 지역보다도 눈이 내리는 계절이 길다는 것을 알 수 있으므로, 예를 들면, 도 11의 애니메이션 C를 선택하기 위한 조건을 "12/10 내지 1/31"로부터 "11/10 내지 2/30"으로 확장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화상표시방법 및 화상표시장치에 의하면, 화상을 차례로 표시할 경우의 표시효과를, 유저에게 어떠한 번잡한 설정조작을 필요로 함이 없이, 화상의 내용을 반영하기 위해 보다 효과적으로 행할 수 있다.

Claims (30)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촬영된 복수의 화상데이터를 연속해서 표시부에 표시시키는 화상표시장치로서,
    상기 표시부에 표시시키는 상기 복수의 화상데이터를 설정하는 설정수단과,
    상기 설정수단에 의해 설정된 각 화상데이터에 대해서, 각 화상데이터의 촬영시에 각 화상데이터에 관련지어 기록된 화상데이터 중의 초점위치에 관련되는 정보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판정수단과,
    상기 판정수단에서 상기 초점위치에 관련되는 정보가 존재한다고 판정된 각 화상데이터에 관련지어져 있는 상기 초점위치에 관련되는 정보를 취득하는 취득수단과,
    상기 취득수단에서 상기 초점위치에 관련되는 정보가 취득된 각 화상데이터에 대해서, 취득된 상기 초점위치에 관련되는 정보에 의거해서, 확대위치 및 확대배율을 결정하는 결정수단과,
    상기 취득수단에서 상기 초점위치에 관련되는 정보가 취득된 각 화상데이터에 대해서, 상기 결정수단에 의해 결정된 상기 확대위치 및 확대배율에 따라서 확대처리를 실시하는 동시에, 각 화상데이터의 소정영역을 상기 표시부에 표시한 상태에서 상기 확대처리에 의해서 얻어진 확대화상을 상기 표시부에 표시한 상태로 표시상태를 천이시키는 상태천이처리를 실시하는 처리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장치.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수단은, 상기 판정수단에서 상기 초점위치에 관련되는 정보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정된 각 화상데이터에 대해서, 미리 결정된 확대위치 및 확대배율을 상기 화상데이터의 확대위치 및 확대배율로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장치.
  15.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는 상기 확대화상의 영역은, 각 화상데이터에 있어서의 초점위치를 포함하는 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장치.
  16.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수단은, 상기 상태천이처리에 있어서 표시상태를 단계적으로 천이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장치.
  17.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수단은, 초점위치와 확대위치 및 확대배율과의 대응관계를 규정하는 정보를 이용해서, 상기 취득수단에서 상기 초점위치에 관련되는 정보가 취득된 각 화상데이터에 대해서, 취득된 상기 초점위치에 관련되는 정보에 의거해서, 확대위치 및 확대배율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장치.
  18. 촬영된 복수의 화상데이터를 연속해서 표시부에 표시시키는 화상표시장치로서,
    상기 표시부에 표시시키는 상기 복수의 화상데이터를 설정하는 설정수단과,
    상기 설정수단에 의해 설정된 각 화상데이터로부터, 각 화상데이터의 촬영시에 각 화상데이터에 관련지어 기록된 촬영 신 모드에 관한 정보 및 세로로 긴 화상인지 가로로 긴 화상인지를 나타내는 정보를 취득하는 취득수단과,
    상기 취득수단에 의해 취득된 정보에 의거해서, 상기 설정수단에 의해 설정된 각 화상데이터의 확대위치 및 확대배율을 결정하는 결정수단과,
    상기 설정수단에 의해 설정된 각 화상데이터에 대해서, 상기 결정수단에 의해 결정된 상기 확대위치 및 확대배율에 따라서 확대처리를 실시하는 동시에, 각 화상데이터의 소정영역을 상기 표시부에 표시한 상태에서 상기 확대처리에 의해서 얻어진 확대화상을 상기 표시부에 표시한 상태로 표시상태를 천이시키는 상태천이처리를 실시하는 처리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장치.
  19. 촬영된 복수의 화상데이터를 연속해서 표시부에 표시시키는 화상표시장치로서,
    상기 표시부에 표시시키는 상기 복수의 화상데이터를 설정하는 설정수단과,
    상기 설정수단에 의해 설정된 각 화상데이터에 대해서, 각 화상데이터의 촬영시에 각 화상데이터에 관련지어 기록된 촬영정보를 취득하는 취득수단과,
    상기 설정수단에 의해 설정된 각 화상데이터에 대해서, 상기 취득수단에 의해 취득된 상기 촬영정보에 의거해서, 합성하는 애니메이션의 종류를 결정하는 결정수단과,
    상기 설정수단에 의해 설정된 각 화상데이터에 대해서, 상기 결정수단에 의해 결정된 상기 애니메이션의 종류에 따라서, 각 화상데이터에 애니메이션을 합성해서 상기 표시부에 표시시키는 처리를 실시하는 처리수단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결정수단은, 촬영정보와 애니메이션의 종류와의 대응관계를 규정하는 정보를 이용해서, 상기 설정수단에 의해 설정된 각 화상데이터에 대해서, 상기 취득수단에 의해 취득된 상기 촬영정보로부터 애니메이션의 종류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장치.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정보는, 각 화상데이터의 촬영일시에 관한 정보, 촬영 신 모드에 관한 정보, 촬영장소에 관한 정보, 피사체까지의 거리에 관한 정보, 촬영시의 플래시발광의 유무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장치.
  21. 삭제
  22. 촬영된 복수의 화상데이터를 연속해서 표시부에 표시시키는 화상표시방법으로서,
    상기 표시부에 표시시키는 상기 복수의 화상데이터를 설정하는 설정스텝과,
    상기 설정스텝에 의해 설정된 각 화상데이터에 대해서, 각 화상데이터의 촬영시에 각 화상데이터에 관련지어 기록된 화상데이터 중의 초점위치에 관련되는 정보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판정스텝과,
    상기 판정스텝에서 상기 초점위치에 관련되는 정보가 존재한다고 판정된 각 화상데이터에 관련지어져 있는 상기 초점위치에 관련되는 정보를 취득하는 취득스텝과,
    상기 취득스텝에서 상기 초점위치에 관련되는 정보가 취득된 각 화상데이터에 대해서, 취득된 상기 초점위치에 관련되는 정보에 의거해서, 확대위치 및 확대배율을 결정하는 결정스텝과,
    상기 취득스텝에서 상기 초점위치에 관련되는 정보가 취득된 각 화상데이터에 대해서, 상기 결정스텝에 의해 결정된 상기 확대위치 및 확대배율에 따라서 확대처리를 실시하는 동시에, 각 화상데이터의 소정영역을 상기 표시부에 표시한 상태에서 상기 확대처리에 의해서 얻어진 확대화상을 상기 표시부에 표시한 상태로 표시상태를 천이시키는 상태천이처리를 실시하는 처리스텝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방법.
  23.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스텝에서는, 상기 판정스텝에서 상기 초점위치에 관련되는 정보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정된 각 화상데이터에 대해서, 미리 결정된 확대위치 및 확대배율을 상기 화상데이터의 확대위치 및 확대배율로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방법.
  24.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는 상기 확대화상의 영역은, 각 화상데이터에 있어서의 초점위치를 포함하는 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방법.
  25.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스텝에서는, 상기 상태천이처리에 있어서 표시상태를 단계적으로 천이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방법.
  26.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스텝에서는, 초점위치와 확대위치 및 확대배율과의 대응관계를 규정하는 정보를 이용해서, 상기 취득스텝에서 상기 초점위치에 관련되는 정보가 취득된 각 화상데이터에 대해서, 취득된 상기 초점위치에 관련되는 정보에 의거해서, 확대위치 및 확대배율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방법.
  27. 촬영된 복수의 화상데이터를 연속해서 표시부에 표시시키는 화상표시방법으로서,
    상기 표시부에 표시시키는 상기 복수의 화상데이터를 설정하는 설정스텝과,
    상기 설정스텝에 의해 설정된 각 화상데이터로부터, 각 화상데이터의 촬영시에 각 화상데이터에 관련지어 기록된 촬영 신 모드에 관한 정보 및 세로로 긴 화상인지 가로로 긴 화상인지를 나타내는 정보를 취득하는 취득스텝과,
    상기 취득스텝에 의해 취득된 정보에 의거해서, 상기 설정스텝에 의해 설정된 각 화상데이터의 확대위치 및 확대배율을 결정하는 결정스텝과,
    상기 설정스텝에 의해 설정된 각 화상데이터에 대해서, 상기 결정스텝에 의해 결정된 상기 확대위치 및 확대배율에 따라서 확대처리를 실시하는 동시에, 각 화상데이터의 소정영역을 상기 표시부에 표시한 상태에서 상기 확대처리에 의해서 얻어진 확대화상을 상기 표시부에 표시한 상태로 표시상태를 천이시키는 상태천이처리를 실시하는 처리스텝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방법.
  28. 촬영된 복수의 화상데이터를 연속해서 표시부에 표시시키는 화상표시방법으로서,
    상기 표시부에 표시시키는 상기 복수의 화상데이터를 설정하는 설정스텝과,
    상기 설정스텝에 의해 설정된 각 화상데이터에 대해서, 각 화상데이터의 촬영시에 각 화상데이터에 관련지어 기록된 촬영정보를 취득하는 취득스텝과,
    상기 설정스텝에 의해 설정된 각 화상데이터에 대해서, 상기 취득스텝에 의해 취득된 상기 촬영정보에 의거해서, 합성하는 애니메이션의 종류를 결정하는 결정스텝과,
    상기 설정스텝에 의해 설정된 각 화상데이터에 대해서, 상기 결정스텝에 의해 결정된 상기 애니메이션의 종류에 따라서, 각 화상데이터에 애니메이션을 합성해서 상기 표시부에 표시시키는 처리를 실시하는 처리스텝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결정스텝에서는, 촬영정보와 애니메이션의 종류와의 대응관계를 규정하는 정보를 이용해서, 상기 설정스텝에 의해 설정된 각 화상데이터에 대해서, 상기 취득스텝에 의해 취득된 상기 촬영정보로부터 애니메이션의 종류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방법.
  29. 제 28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정보는, 각 화상데이터의 촬영일시에 관한 정보, 촬영 신 모드에 관한 정보, 촬영장소에 관한 정보, 피사체까지의 거리에 관한 정보, 촬영시의 플래시발광의 유무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방법.
  30. 삭제
KR1020040044786A 2003-06-20 2004-06-17 화상표시방법 및 화상표시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071488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176855 2003-06-20
JP2003176855A JP2005012674A (ja) 2003-06-20 2003-06-20 画像表示方法及びそれを実行するプログラム並びに画像表示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11092A KR20040111092A (ko) 2004-12-31
KR100714888B1 true KR100714888B1 (ko) 2007-05-07

Family

ID=334110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44786A Expired - Fee Related KR100714888B1 (ko) 2003-06-20 2004-06-17 화상표시방법 및 화상표시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40263664A1 (ko)
EP (1) EP1489829A3 (ko)
JP (1) JP2005012674A (ko)
KR (1) KR100714888B1 (ko)
CN (1) CN1294753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03778B2 (ja) * 2003-06-20 2010-12-22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表示方法及び画像表示装置
JP4581924B2 (ja) * 2004-09-29 2010-11-17 株式会社ニコン 画像再生装置、および画像再生プログラム
JP4573166B2 (ja) * 2005-01-14 2010-11-04 日本ビクター株式会社 情報記録装置、情報再生装置、情報記録方法、及び情報再生方法
JP4926416B2 (ja) * 2005-06-15 2012-05-09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表示方法、プログラム、記録媒体及び画像表示装置
JP4614391B2 (ja) * 2005-06-15 2011-01-19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表示方法及び画像表示装置
JP4920926B2 (ja) * 2005-07-29 2012-04-18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2007037057A (ja) * 2005-07-29 2007-02-08 Nex Entertainment:Kk コンテンツ作成装置及びコンテンツ作成方法
JP4779500B2 (ja) * 2005-08-24 2011-09-28 株式会社ニコン 制御装置、表示装置及び制御プログラム
JP2007096788A (ja) * 2005-09-29 2007-04-12 Casio Comput Co Ltd 画像表示装置、画像表示方法および画像表示プログラム
KR100708476B1 (ko) * 2005-10-20 2007-04-18 삼성전자주식회사 메모리카드의 성능을 고려한 영상화질 결정방법 및 이를적용한 촬영장치
JP2007195099A (ja) * 2006-01-23 2007-08-02 Fujifilm Corp 撮影装置
JP4692336B2 (ja) * 2006-03-08 2011-06-01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画像表示システム、画像表示装置及び画像表示方法
JP2008061032A (ja) * 2006-08-31 2008-03-13 Sony Corp 画像再生装置及び画像再生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5053731B2 (ja) * 2007-07-03 2012-10-17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表示制御装置及び画像表示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JP5018354B2 (ja) * 2007-09-04 2012-09-05 ソニー株式会社 注目部生成表示システム
JP5144424B2 (ja) 2007-10-25 2013-02-13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
JP5129707B2 (ja) * 2008-09-24 2013-01-30 株式会社日立システムズ 画像実寸表示システムおよび画像実寸表示方法ならびにそのためのプログラム
JP5493455B2 (ja) * 2009-05-01 2014-05-14 ソニー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プログラム
JP5493456B2 (ja) * 2009-05-01 2014-05-14 ソニー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プログラム
US9058797B2 (en) 2009-12-15 2015-06-16 Smule, Inc. Continuous pitch-corrected vocal capture device cooperative with content server for backing track mix
US8983829B2 (en) 2010-04-12 2015-03-17 Smule, Inc. Coordinating and mixing vocals captured from geographically distributed performers
US8682653B2 (en) * 2009-12-15 2014-03-25 Smule, Inc. World stage for pitch-corrected vocal performances
US9601127B2 (en) 2010-04-12 2017-03-21 Smule, Inc. Social music system and method with continuous, real-time pitch correction of vocal performance and dry vocal capture for subsequent re-rendering based on selectively applicable vocal effect(s) schedule(s)
US10930256B2 (en) 2010-04-12 2021-02-23 Smule, Inc. Social music system and method with continuous, real-time pitch correction of vocal performance and dry vocal capture for subsequent re-rendering based on selectively applicable vocal effect(s) schedule(s)
JP5750692B2 (ja) * 2011-02-03 2015-07-22 オリンパス株式会社 撮像装置、撮像プログラムおよび撮像方法
US9866731B2 (en) 2011-04-12 2018-01-09 Smule, Inc. Coordinating and mixing audiovisual content captured from geographically distributed performers
US9245312B2 (en) 2012-11-14 2016-01-26 Facebook, Inc. Image panning and zooming effect
CN104423853A (zh) * 2013-08-22 2015-03-18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对象切换方法、装置以及触摸屏终端
CN104205031A (zh) * 2014-02-24 2014-12-10 华为终端有限公司 图片缩放方法及设备
JP2016039513A (ja) * 2014-08-08 2016-03-22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画像生成装置、画像生成方法及びプログラム
WO2016196987A1 (en) 2015-06-03 2016-12-08 Smule, Inc. Automated generation of coordinated audiovisual work based on content captured geographically distributed performers
US11488569B2 (en) 2015-06-03 2022-11-01 Smule, Inc. Audio-visual effects system for augmentation of captured performance based on content thereof
CN105554366A (zh) * 2015-09-30 2016-05-04 宇龙计算机通信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多媒体拍摄处理方法、装置及智能终端
US11310538B2 (en) 2017-04-03 2022-04-19 Smule, Inc. Audiovisual collaboration system and method with latency management for wide-area broadcast and social media-type user interface mechanics
DE112018001871T5 (de) 2017-04-03 2020-02-27 Smule, Inc. Audiovisuelles Kollaborationsverfahren mit Latenzverwaltung für großflächige Übertragung
CN107341214B (zh) * 2017-06-26 2021-01-05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图片显示方法及装置
CN109286750B (zh) * 2018-09-21 2020-10-27 重庆传音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智能终端的变焦方法及一种智能终端
JP7233961B2 (ja) * 2019-02-25 2023-03-07 シャープ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画像形成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画像処理プログラム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41302A (ko) * 1998-12-22 2000-07-15 윤종용 촬영정보의 선택적 표시방법 및 그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00884B2 (ja) * 1996-01-31 2005-09-28 富士写真フイルム株式会社 フイルム画像再生方法及び装置
US6249652B1 (en) * 1997-11-13 2001-06-19 Fuji Photo Film Co., Ltd. Lens-fitted photo film unit and method of producing photographic print
US6175343B1 (en) * 1998-02-24 2001-01-16 Anivision,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operating the overlay of computer-generated effects onto a live image
JP2000083222A (ja) * 1998-09-04 2000-03-21 Olympus Optical Co Ltd ディジタル画像編集装置
JP4272801B2 (ja) * 2000-08-10 2009-06-03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及び方法
US6429924B1 (en) * 2000-11-30 2002-08-06 Eastman Kodak Company Photofinishing method
JP2002183742A (ja) * 2000-12-18 2002-06-28 Yamaha Motor Co Ltd 旅の電子アルバム作成方法および装置並びに電子アルバム作成用モバイルツール
JP4272810B2 (ja) * 2000-12-26 2009-06-03 キヤノン株式会社 放送受信装置及び放送受信装置の制御方法
JP2002281450A (ja) * 2001-03-16 2002-09-27 Victor Co Of Japan Ltd 情報記録円盤の再生装置
US6526234B1 (en) * 2001-07-17 2003-02-25 Eastman Kodak Company Revision suggestion camera and method
JP3534101B2 (ja) * 2001-10-18 2004-06-07 ミノルタ株式会社 デジタルカメラ
FR2833131B1 (fr) * 2001-11-30 2004-02-13 Eastman Kodak Co Procede et systeme pour obtimiser l'affichage d'un sujet d'interet dans une image numerique
US7196733B2 (en) * 2002-01-28 2007-03-27 Canon Kabushiki Kaisha Apparatus for receiving broadcast data, method for displaying broadcast program, and computer program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41302A (ko) * 1998-12-22 2000-07-15 윤종용 촬영정보의 선택적 표시방법 및 그 장치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20000041302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489829A3 (en) 2005-11-23
CN1294753C (zh) 2007-01-10
JP2005012674A (ja) 2005-01-13
CN1574946A (zh) 2005-02-02
US20040263664A1 (en) 2004-12-30
KR20040111092A (ko) 2004-12-31
EP1489829A2 (en) 2004-1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14888B1 (ko) 화상표시방법 및 화상표시장치
US8462178B2 (en) Image display method, program, and image display apparatus
KR100691531B1 (ko) 화상표시방법 및 화상표시장치
US7522195B2 (en) Image display controlling apparatus and method for superimposing images based on attention area and data time information
JP4340806B2 (ja) 画像処理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3248815B (zh) 摄像装置、摄像方法
WO2012138620A2 (en) Digital camera having variable duration burst mode
CN100579175C (zh) 摄影装置及摄影方法
CN102611835A (zh) 数字拍摄设备及其控制方法
JP4434624B2 (ja) 撮像装置、撮像方法、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及び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憶媒体
JP4725854B2 (ja) 画像表示装置及び画像表示方法
JP2007325152A (ja) 撮像装置及びそのプログラム
JP2008167273A (ja) 撮像装置、及びその静止画撮影プログラム
JP2006350647A (ja) 画像表示方法及び画像表示装置
JP4345608B2 (ja) 画像データ再生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4682254B2 (ja) 画像表示方法および画像処理装置
JP2006211324A (ja) ディジタルカメラ装置、画像再生方法および画像再生プログラム、ならびに、データ構造体
JP4408397B2 (ja) 撮影装置および撮影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4179760A (ja) 電子カメラ
JP5224951B2 (ja) 画像処理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081629B1 (ko) 통신 단말기에서 영상 데이터 처리 방법 및 그 장치
KR101643604B1 (ko) 디지털 촬영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
JP2006229267A (ja) デジタルカメラ、動画編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6238194A (ja) 画像再生装置及び画像再生方法
JP2017121001A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AMND Amendment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T11-X000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T11-X000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T11-X000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AMND Amendment
E13-X000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St.27 status event code: N-2-6-B10-B15-exm-PE0601

T11-X000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PJ0201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3-3-V10-V11-apl-PJ0201

AMND Amendment
E13-X000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PB0901 Examination by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St.27 status event code: A-6-3-E10-E12-rex-PB0901

B701 Decision to grant
PB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St.27 status event code: A-3-4-F10-F13-rex-PB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7-oth-X00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0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26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4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4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6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5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3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200428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2004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