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60165B1 - Image sensor using remote pointing system with general infrared remote control communication function - Google Patents
Image sensor using remote pointing system with general infrared remote control communication function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660165B1 KR100660165B1 KR1020040052846A KR20040052846A KR100660165B1 KR 100660165 B1 KR100660165 B1 KR 100660165B1 KR 1020040052846 A KR1020040052846 A KR 1020040052846A KR 20040052846 A KR20040052846 A KR 20040052846A KR 100660165 B1 KR100660165 B1 KR 10066016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mage sensor
- pointing
- remote control
- remote
- light sourc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18—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for optical projection, e.g. combination of mirror and condenser and objective
- G02B27/2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for optical projection, e.g. combination of mirror and condenser and objective for imaging minute objects, e.g. light-pointer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04—Detection arrangements using opto-electronic means
- G06F3/0308—Detection arrangements using opto-electronic means comprising a plurality of distinctive and separately oriented light emitters or reflectors associated to the pointing device, e.g. remote cursor controller with distinct and separately oriented LEDs at the tip whose radiations are captured by a photo-detector associated to the screen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PDP, LCD방식의 대형 디지털 텔레비젼이나 VTR, DVD 플레이어, Set-Top Box, 노래방 기기, 각종 감시 모니터, 프로젝터 등의 제품들이 그 기능의 다양화와 더불어 수신채널의 증가, 다양한 메뉴기능의 추가로 인해 기존의 일반적 리모콘으로는 그 사용상의 제약이 많았을 뿐만 아니라 리모콘이 이미 그 수용한계를 벗어날 정도로 되었다. 본 발명의 포인팅 방식의 화면상의 직접적 커서이동과 선택방식의 3-D 포인팅 방법의 도입으로 기존 리모콘 기능을 획기적으로 개선하였다. 기존의 단순한 리모콘 키입력에 의해 채널을 선택하거나 볼륨을 제어하는 등의 단순 제어기능뿐 만 아니라 화면상에 특정 지점을 지정하여 그 지정 포인트를 기준으로 선택 혹은 비선택 또는 그 지정 점에서의 추가 서브 메뉴를 열어서 필요한 기능을 선택한다거나 하는 등의 마치 일반 컴퓨터의 마우스처럼 사용할 수 있게끔 함으로서 기존의 방식의 리모콘에서 정의된 각각의 입력키를 일일이 눌러서 최종의 원하는 제어를 하는 방식의 고전적 방식을 탈피하여 원격 포인팅 및 제어방식 기술을 추가함으로서 대형 디스플레이에서의 각종 제어를 마치 인터넷에서 웹 서핑을 하는 것처럼 화면상에 뿌려진 모든 문자나 그림정보가 하나의 메뉴가 되어 그 부분을 찍으면(Pointing) 이미 약속된 그 부분에 해당된 기능을 바로 수행하는 즉 다이렉트 명령체계를 가능케 한 발명이다. 따라서 몇 회의 조작으로 직접 원하는 제어를 완성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질 뿐만 아니라 대형 디스플레이에서의 인터넷 웹서핑이나 컴퓨터에서 이루어지는 각종의 작업들도 아주 복잡한 작업을 제외하고는 어느 정도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is a product such as PDP, LCD type digital TV, VTR, DVD player, Set-Top Box, karaoke equipment, various monitors, projectors, etc. In addition, the existing general remote control was not only limited in terms of its use, but also the remote control had already exceeded its limit. The existing remote control function has been remarkably improved by the direct cursor movement on the screen of the pointing method and the introduction of the 3-D pointing method of the selec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o simple control functions such as channel selection or volume control by existing simple remote control key inputs, a specific point can be designated on the screen to select or deselect based on the designated point, or additional subs at the specified point. By opening the menu and selecting the required function, it can be used like a mouse of a normal computer, and by pressing each input key defined in the conventional remote control one by one, the remote control is removed from the classical method of final control. By adding pointing and control technology, all the texts and picture information spread on the screen become a menu and point to that part as if you are surfing the web on the large display. The direct command system. It is an invention made possible. Therefore, not only has a merit of directly controlling the desired control with a few operations, but also has the advantage that the Internet web surfing on a large display or various tasks performed on a computer are possible to some extent except for a very complicated task.
Pointing, Infrared, Remote, Control Pointing, Infrared, Remote, Control
Description
도 1 본 발명의 전체 블록다이어그램1 is a complete block diagram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본 발명의 이미지센서측 이동 궤적에 관한 개념도2 is a conceptual diagram related to the movement trajectory of the image sens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 본 발명의 광학 필터의 파장과 투과율에 대한 특성도Figure 3 is a characteristic diagram for the wavelength and transmittance of the optical filte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 본 발명의 원격 포인팅 개념도4 is a conceptual diagram of the remote pointing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대형화가 가속되고 있는 디지털 텔레비젼이나 VTR, DVD 플레이어, Set-Top Box등에서 사용되어지는 리모콘 기능을 획기적으로 개선하여 기존의 단순한 리모콘 키입력에 의해 채널을 선택하거나 볼륨을 제어하는 등의 단순 제어기능뿐 만 아니라 화면상에 자유롭게 커서를 이동하고 또한 특정 지점을 지정하여 그 지정 지점 기준으로 선택 혹은 비선택 또는 그 지정 점에서의 추가 서브 메뉴를 열어서 필요한 기능을 선택한다거나 하는 등의 마치 일반 컴퓨터의 마우스처럼 사용할 수 있게끔 하는 방법을 제시하는 발명으로 기존의 방식의 리모콘에서 정의된 각각의 입력키를 일일이 눌러서 최종의 원하는 제어를 하는 방식의 고전적 방식에 부 가하여 원격 포인팅 기술을 추가함으로서 대형 디스플레이에서의 각종 제어를 마치 인터넷에서 웹 서핑을 하는 것처럼 화면상에 뿌려진 모든 문자나 그림정보가 하나의 메뉴가 되어 그 부분을 찍으면(Pointing) 이미 약속된 그 부분에 해당된 기능을 바로 수행하는 즉 다이렉트 명령체계를 가능케 한 발명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Pointing방법을 적용할 시에는 기존의 주메뉴에서 하위 다단계의 서브메뉴로 이동하여 최종의 원하는 제어를 하는 경우의 조작의 순서나 방법이 무척 복잡하고 키입력 횟수도 보통 4~5회가 넘었으나 본 발명의 포인팅 방법을 적용 시에는 단 몇 회의 조작으로 직접 원하는 제어를 완성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질 뿐만 아니라 대형 디스플레이에서의 인터넷 웹서핑도 무난하게 할 수 있으며 컴퓨터에서 이루어지는 각종의 작업들도 아주 복잡한 작업을 제외하고는 어느 정도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dramatically improves the remote control functions used in digital TVs, VTRs, DVD players, set-top boxes, etc., which are accelerating the enlargement of the screen, and select a channel or control the volume by using a simple remote control key input. In addition to the control functions, you can move the cursor freely on the screen, select a specific point, select or deselect based on the specified point, or open additional submenus at the specified point to select the required function. It is an invention that suggests the method to use like a mouse. In addition to the classic method of final desired control by pressing each input key defined in the conventional remote controller, the remote pointing technology is added to the large display. Surf the web on the internet (Pointing) That is an invention made possible the direct chain of command to immediately carry out the functions corresponding to the portion that has already been promised, as every letter or picture information scattered on the screen is one of the menu that you take a part. Therefore, when applying the Point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cedure or method for the final desired control by moving from the existing main menu to the lower multi-level submenu is very complicated and the number of key inputs is usually 4 to 5 times. However, when the point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not only has a merit of directly completing the desired control with a few operations, but also the Internet web surfing on a large display is safe and various operations performed on a computer. It also has the advantage that it is possible to some extent except for very complex tasks.
본 발명은 이러한 원격 포인팅이 가능하게 하기 위해 이미지 센서와 특수파장의 발광소자 그리고 간단한 광학필터와 렌즈시스템을 적용, 이를 조합하여 임의의 거리에서 주사되어지는 발광소자로 부터의 광을 상기한 이미지센서가 인식하여 그 수신된 광의 위치변이 값을 인식하여 2차원상의 가로와 세로축 변이 값으로 환산 한 후 상대좌표 변이방식의 알고리즘을 응용하여 본 발명의 공간상의 위치변동을 인식, 표시하는 방법을 구현하였다. 본 발명은 일정거리에서 이러한 위치 변동을 인식해야 함으로 거리에 따른 수신광의 퍼짐 현상을 막고 정확한 좌표연산과 거리 계산을 위해 발광부 쪽이나 이미지센서부 쪽에 간단한 렌즈시스템을 적용하였으며 특수한 파장의 광만을 이용하기 위해서 발광부나 수광부쪽에 기존의 적외선 리 모콘에서와 유사한 방식의 특수파장대의 광학 필터를 이용한다. 또한 상기한 원격 포인팅의 기능을 구현함과 아울러 일반적 리모트 컨트롤 기능을 수행 가능하게 하기 위해 기존방식의 발광부를 본 방식과 겸용하는 것도 가능하며 수신부쪽의 이미지 센서부도 겸용이 가능토록 함으로서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어지는 리모콘기능도 선택적으로 사용 가능하도록 하였다. The present invention applies an image sensor, a light emitting device having a special wavelength, and a simple optical filter and lens system in order to enable such a remote pointing, combining the light from the light emitting device that is scanned at an arbitrary distance by combining them. Recognizes the positional shift value of the received light, converts it to the horizontal and vertical shift value in two dimensions, and then applies the algorithm of the relative coordinate shifting method to implement the method of recognizing and displaying the positional shift in the space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present invention has to recognize such a change in position at a certain distance to prevent the spread of the received light according to the distance, and to apply a simple lens system to the light emitting part or the image sensor part for accurate coordinate calculation and distance calculation, using only a special wavelength light In order to achieve this, a special wavelength band optical filter is used on the light emitting part or the light receiving part similar to that of the existing IR remote control. In addition, in order to implement the above-mentioned remote pointing function and to perform a general remote control function, it is also possible to use the conventional light emitting part with the present method, and also to use the image sensor part on the receiving side, which is generally widely used. The remote control function can be selectively used.
본 발명은 상기한바와 같이 임의의 거리에서 대형 디스플레이나 각종의 미디어 재생기 즉 VTR, DVD 플레이어, Set-Top Box등에서 표출되는 화면상에 컴퓨터의 마우스처럼 커서를 나타나게 하고 더불어 그 커서의 이동좌표를 연산하고 또한 특정의 위치에서 선택키나 취소키 그리고 그 지점에서의 서브메뉴제어등의 유저인터페이스가 가능하게 하는 기술로서 특히 기존의 리모콘기능도 같이 겸용할 수 있게 하여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기술을 사용할 수 있게 하였다.
본 발명을 다시 설명하면 임의의 거리를 두고 비치된 디스플레이 장치 혹은 디스플레이 출력기능을 가지는 장치에 광수신장치를 두고, 이 광수신장치에 수신하는 광을 발신하는 광발신장치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 등에 나타나는 커서(또는 포인팅 위치)를 광학 네비게이션 방식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광수신장치는 광 이미지를 수신하기 위한 메트릭스방식 광 이미지센서와 상기한 광 이미지센서 전단에 광발신장치로부터의 이미지가 정확히 맺힐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광학장치와 상기한 광학장치 전단 혹은 광학장치 표면에 광발신부로부터 발광된 특정 광파장특성대의 신호만을 통과시키기 위한 필터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광발신장치는 광원의 밝기를 일정하게 하기 위한 정전류방식의 광원구동방식을 채용하며 광원에 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전원과 광원을 제어하기 위한 스위치장치 그리고 광원소자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임의의 거리에서 광발신장치가 좌우상하 이동을 하면, 광수신장치는 상기한 메트릭스방식 광 이미지센서에 맺힌 광 이미지의 최초 출발점으로부터 이동궤적을 연산함에 있어 상대좌표방식의 연산방식을 취하여 0도에서 360도의 전 방향의 이동방향과 이동거리의 궤적연산을 수행하며, 이때 거리에 따른 이동량 보상을 위해 수신 이미지의 이미지 센서의 픽셀 점유량 연산방식을 취하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makes a cursor appear as a mouse of a computer on a screen displayed on a large display or various media players such as a VTR, a DVD player, a set-top box, and calculates a moving coordinate of the cursor at an arbitrary distance as described above. In addition, as a technology that enables a user interface such as a select key or a cancel key at a specific position and a sub-menu control at that point, the user can selectively use the technology of the present invention by allowing the existing remote control function to be used together. Made it possible.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gain by placing an optical receiver on a display device provid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or a device having a display output function, and using the optical transmitter that transmits light to the optical receiver. The cursor (or pointing position) is moved by optical navigation.
The optical receiver includes an optical device for receiving an optical image and an optical device for accurately forming an image from the optical transmitter in front of the optical image sensor, and an optical transmitter in front of the optical device or the surface of the optical device.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 filter for passing only a signal of a specific light wavelength characteristic band emitted from.
In addition, the light emitting device adopts a constant current light source driving method for making the brightness of the light source constant, and preferably includes a power source for applying power to the light source, a switch device for controlling the light source, and a light source element.
When the optical transmitter moves up and down at an arbitrary distance, the optical receiver adopts a relative coordinate method in calculating the movement trajectory from the initial starting point of the optical image formed on the matrix optical image sensor. The trajectory calculation of the moving direction and the moving distance in the omnidirectional direction of the figure is performed, and the pixel occupancy calculation method of the image sensor of the received image is taken to compensate for the movement amount according to the distance.
도 1은 발명의 전체 블록다이어그램으로서 임의의 거리에서 발광하는 포인팅광 모듈(450)과 상기한 발광체로부터의 광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하는 포인팅 이미지 센서모듈(200)을 주요구성으로 하고 있다. 먼저 이미지 모듈센서부(200)를 보면 포인팅광 모듈(450)로 부터의 발광신호는 특정대의 파장을 갖고 있으며 이 특정대의 신호만을 수신하기 위해 광학필터(240)을 센서 전면에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한 광학필터 바로 후단에는 무한 촛점특성을 갖는 광학렌즈를 구성하고 있다. 무한촛점 렌즈란 최근에 휴대폰이나 저가형 휴대용 카메라에 일반적으로 채용하고 있는 피사계심도(Focal Length)가 깊은 특성을 갖은 초소형 타입의 렌즈로서 통상 수십cm에 서 무한대까지 촛점이 맞혀지는 방식의 보편적 렌즈이다. 이러한 무한촛점특성의 렌즈를 적용하는 이유는 발광체로부터 광신호를 광번짐없이 인식하기 위해 적용하는 것으로 만약에 이러한 렌즈의 적용이 없다면 광원으로부터 이미지 센서가 인식한 신호가 번져 인식됨으로 인해 정확한 좌표연산이나 데이터입력이 어렵게 되며 후술하겠지만 입력 광신호의 크기에 의한 광원과 이미지 센서와의 거리연산도 어려워지기 때문이다. 이렇게 무한촛점 렌즈를 거쳐 이미지센서(210)로 입사광이 입력되며 이미지센서는 광마우스에서 적용하는 이미지 센서처럼 메트릭스방식의 저 해상도를 가지는 CMOS센서를 이용하고 있다. 본 발명이 상대좌표방식 즉 변이의 기준을 매번 옮겨가며 방향과 이동량을 연산하는 방식임으로 고해상도의 고가방식의 이미지센서를 적용할 필요는 없다. 하지만 적용제품이나 분야에 따라 고해상도가 요구될 때는 적용할 이미지센서의 해상도만 높은 것을 적용하면 쉽게 구현 가능하다. 포인팅광 발신모듈(450)의 구성을 보면 우선 리모콘류는 밧데리를 이용하는 것이 일반적이기 때문에 동일 유사한 전원이 구비되고 특정파장대의 광원(456)에 전원이 인가되며 상기한 광원(456)에 일정한 전류로만 구동하기 위한 정전류회로(470)가 연결 구성되며 광원(456)의 ON/OFF 작용을 위한 스위치장치(480)와 광원(456)전면에는 특정파장대만의 광신호만을 통과 시켜주기 위해 광학필터(455)를 구비하고 있다. 주요 동작 관계를 알아보면 광원(456)은 전원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정전류원회로(470)에 의해 스위치(580)의 ON/OFF작용에 동기하여 점멸작용을 하게 되는데 이때 점등시 전류량을 일정하게 하지 않으면 광원(456)에서 방사되는 광량이 변화가게 된다. 이 경우 포인팅 이미지센서부(200)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밝기와 입사광의 크기에 따라 거리계산을 자동으로 하게 되는데 이러한 방사체로 부터의 광량이 포인팅 광모듈(450)의 전원조건에 따라 변동되면 정확한 연산이 어렵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점을 보완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정전류원회로(470)을 부가하였다. 상기한 바와 같이 광 방사체와 광 수신부와의 거리계산이 필요한 이유는 광 방사체와 광 수신부와의 거리에 따른 포인팅 디바이스(400)부의 상하좌우 변이량이 서로 상이하기 때문이다. 즉 가까울 경우는 포인팅 디바이스(400)의 약간의 움직임에도 포인팅 이미지센서부(200)에서는 많이 움직인 것으로 연산 할 것이고 반대로 서로의 거리가 멀 경우에는 포인팅 디바이스(400)의 큰 움직임에도 포인팅 이미지센서부(200)에서는 적게 움직인 것으로 연산 할 것임으로 거리에 따른 변이량의 보상 알고리즘의 적용이 불가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광발신부와 수신부의 거리계산은 광 발신부로 부터의 광신호를 받은 포인팅 이미지센서부(200) 이미지 셀의 빔이 점유하는 셀수를 카운터하는 방식을 사용하게 된다. 즉 동일한 전류조건에서 방사된 광 발신부로 부터의 광신호가 포인팅 이미지센서부(200) 이미지 셀의 점유면적이 많으면 먼 거리이고 점유면적이 작으면 가까운 거리임을 추정할 수 있는 것이다. FIG. 1 is a block diagram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ncludes a pointing
도 2는 본 발명의 이미지센서측 이동 궤적에 관한 개념도로서 상대적 좌표계를 이용하여 이동 궤적을 구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2 is a conceptual diagram of the image sensor-side movement trajectory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of obtaining a movement trajectory using a relative coordinate system will now be described.
이동궤적 연산방식은 삼각좌표연산방식을 이용하여 최종 가로축과 세로축의 변이값을 연산하며 수신광의 움직임과 점유 이미지 셀수 정보를 이용하여 근거리와 원거리에서의 이동량의 차이를 보정하는 방식으로 수행한다.
최초 포인팅 디바이스(400)로 부터 정상 투영된 포인팅 이미지센서부(200)에 광원의 이미지[이미지센서(210)에 맺힌 이미지)는 도면 2의 'O' 와 같이 중앙부에 있었다고 가정한다. 잠시후 원격 포인팅 디바이스(400)가 이동하여 광원이 이동되었으며, 이로 인하여 이미지센서(210)에 맺힌 광원의 이미지가 'O'에서 'R'로 변경되었다면 X축으로는 +dX만큼 이동한 것이고 Y축으로는 이동량이 없는 것이다. 이때 'O'와 'R'의 밝기와 픽셀의 수량을 계산하여 더해지거나 감해진 값이 @라면 상대 좌표계에서 포인팅 디바이스(400)가 이동한 거리 량은 X축으로는 +dX + @가 되며, Y축으로는 이동량이 제로이다. 마찬가지로 'O'에대해서 'L', 'T' , 'B'에 대한 이동량을 각각 구할 수 있으며, 그 외의 궤적 방향에 대해서는 삼각연산법에 의해 X축과 Y축값의 변이량을 연산하여 이동방향과 이동량을 구할 수 있게된다.The movement trajectory calculation method calculates the shift value of the final horizontal axis and the vertical axis by using the trigonometric coordinate calculation method, and corrects the difference between the movement amount in the short distance and the far distance by using the received light movement and occupied image cell information.
It is assumed that the image of the light source (the image formed on the image sensor 210) in the pointing
다음번 연산을 할 때는 바로 전에 존재했던 위치를 다시 새로운 기준점(Origin, 'O')으로 가정하고 새로 획득된 변위점과의 상관 관계를 통해 포인팅 디바이스(400)의 이동방향과 이동량에 관한 정보를 연산한다. 이러한 과정이 반복되면 포인팅 디바이스(400)의 이동 궤적을 정확하게 연산할 수 있게 된다. 이때 구해진 이동량은 실제 화면에서의 이동특성과 포인팅 디바이스(400)의 이동특성 그리고 거리정보와의 관계를 통해 보상처리를 함으로서 실제 사용자가 운용하면서 느끼는 이동성향과의 자연스러움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즉 궤적이동 방향과 이동량 값을 이동 거리로 환산하여 호스트시스템으로 전송할 최종적인 적절한 변이량 값을 연산해 낸다.In the next calculation, it is assumed that the position that existed immediately before is a new reference point (Origin, 'O'), and information about the moving direction and the moving amount of the
도 3은 본 발명의 광학 필터의 파장과 투과율에 대한 특성도를 나타낸 것으로 포인팅 이미지 센서모듈(200)에 이미지센서(210)로 입력되는 이미지중 원격 포인팅 디바이스(400)의 광원(IR)의 파장대역만을 투과시키고 나머지 빛의 파장대역은 통과시키지 않는 대역통과 특성의 필터시스템이다. 이러한 광학 필터는 이미지센서(210)의 표면에 코팅 할수도 있고 광학렌즈(230) 표면에 코팅할 수도 있으며, 도 1의 광학필터(240)와 같이 광 투과율이 좋은 재질로 제작된 필터를 별도로 사용할 수 도 있다. 포인팅 광 모듈(450)에도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며 상기한 이미지 센서모듈(200)측의 필터보다는 기능이 비교적 덜 중요하다. 원격 포인팅 디바이스(400)에서 발생하는 광원 중에 원하지 않는 파장 대역의 광원에 대해서는 이를 투과시키지 않는 광학적 특성이 있는 재질을 사용한다.3 is a view illustrating the wavelength and the transmittance of the optical fil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avelength of the light source IR of the
도 4는 본 발명의 원격 포인팅 개념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포인팅 베이스시스템(100)은 앞서 언급한바와 같이 디지털 텔레비젼이나 VTR, DVD 플레이어, Set-Top Box등이 될 수 있으며 이외에도 디스플레이가 구비된 각종의 기기 즉 노래방 기기, 산업용 모니터, 일반 직시형 브라운과 방식 텔레비젼, 프로젝터, 컴퓨터 등에도 널리 응용이 가능하다. 포인팅이미지센서(200)은 상기한 포인팅 베이스시스템(100)의 전면에 배치가 되어지며 포인팅 디바이스시스템(400)은 포인팅 광원(450)을 포함하며 그와 관련된 구동부도 포함하고 있다. 현재는 기존 일반 리모콘기능과의 겸용을 위해 적외선신호(300)를 사용하고 있지만 향후 레이저나 기타의 직진성이 높은 신호는 얼마든지 응용이 가능하다.4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the remote point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본 발명은 상기한바와 같이 PDP, LCD방식의 대형 디지털 텔레비젼이나 VTR, DVD 플레이어, Set-Top Box등에서는 그 기능의 다양화와 더불어 수신채널이나 기타의 다양한 메뉴기능의 추가로 인해 기존의 일반적 리모콘으로는 전문가들도 사용하기 힘들 정도로 그 사용상의 제약이 많았으나 본 발명의 포인팅방식의 화면상의 직접적 커서이동과 선택방식의 3-D 포인팅방법의 도입으로 기존 리모콘 기능을 획기 적으로 개선하였다. 기존의 단순한 리모콘 키입력에 의해 채널을 선택하거나 볼륨을 제어하는 등의 단순 제어기능뿐 만 아니라 화면상에 특정 지점을 지정하여 그 지정 포인트를 기준으로 선택 혹은 비선택 또는 그 지정점에서의 추가 서브 메뉴를 열어서 필요한 기능을 선택한다거나 하는 등의 마치 일반 컴퓨터의 마우스처럼 사용할 수 있게끔 함으로서 기존의 방식의 리모콘에서 정의된 각각의 입력키를 일일이 눌러서 최종의 원하는 제어를 하는 방식의 고전적 방식을 탈피하여 원격 포인팅 기술을 추가함으로서 대형 디스플레이에서의 각종 제어를 마치 인터넷에서 웹 서핑을 하는 것처럼 화면상에 뿌려진 모든 문자나 그림정보가 하나의 메뉴가 되어 그 부분을 찍으면(Pointing) 이미 약속된 그 부분에 해당된 기능을 바로 수행하는 즉 다이렉트 명령체계를 가능케 한 발명이다. 따라서 몇 회의 조작으로 직접 원하는 제어를 완성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질 뿐만 아니라 대형 디스플레이에서의 인터넷 웹서핑이나 컴퓨터에서 이루어지는 각종의 작업들도 아주 복잡한 작업을 제외하고는 어느 정도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n the large digital TV of the PDP, LCD system, VTR, DVD player, Set-Top Box, etc., due to the diversification of the function and the addition of the receiving channel or other various menu functions of the existing general remote control Although there are many restrictions on their use, it is difficult for experts to use them. However, the func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greatly improved by the direct cursor movement on the scree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introduction of the 3-D pointing method of the selection method. In addition to simple controls such as channel selection or volume control by existing simple remote control keystrokes, a specific point can be specified on the screen to select or deselect based on the specified point, or additional submenus at the specified point. Remote pointing by breaking the classical method of final desired control by pressing each input key defined in the conventional remote control by making it available as a mouse of a general computer by opening a function and selecting a required function. By adding technology, you can control various displays on a large display as if you are surfing the web on the Internet, and all the texts and pictures on the screen become a menu and point to that function. The ability to perform the command immediately People. Therefore, not only has a merit of directly controlling the desired control with a few operations, but also has the advantage that the Internet web surfing on a large display or various tasks performed on a computer are possible to some extent except for a very complicated task.
Claims (3)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40052846A KR100660165B1 (en) | 2004-07-08 | 2004-07-08 | Image sensor using remote pointing system with general infrared remote control communication function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40052846A KR100660165B1 (en) | 2004-07-08 | 2004-07-08 | Image sensor using remote pointing system with general infrared remote control communication function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040066776A KR20040066776A (en) | 2004-07-27 |
| KR100660165B1 true KR100660165B1 (en) | 2006-12-20 |
Family
ID=37356534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040052846A Expired - Fee Related KR100660165B1 (en) | 2004-07-08 | 2004-07-08 | Image sensor using remote pointing system with general infrared remote control communication function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0660165B1 (en) |
Cited By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1077024B1 (en) | 2009-03-31 | 2011-10-26 | 최원복 | projector typed mobile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0773905B1 (en) * | 2004-11-10 | 2007-11-09 | 주식회사 포인칩스 | Remote pointing device and method using image sensor |
| KR100728796B1 (en) * | 2006-08-08 | 2007-06-19 | (주)골든칩스 | Mouse with remote pointing device |
| KR100886381B1 (en) * | 2007-09-06 | 2009-03-02 | 김기수 | Remote control transceiver |
-
2004
- 2004-07-08 KR KR1020040052846A patent/KR100660165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Cited By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1077024B1 (en) | 2009-03-31 | 2011-10-26 | 최원복 | projector typed mobile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040066776A (en) | 2004-07-27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US12080261B2 (en) | Computer vision and mapping for audio | |
| US8555171B2 (en) | Portable virtual human-machine interaction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 |
| KR100714722B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implementing a pointing user interface using a signal from a light source | |
| CA2468904C (en) | Device and method for calculating a location on a display | |
| KR101577331B1 (en) |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 |
| US20070205980A1 (en) | Mobile projectable gui | |
| US20180253140A1 (en) | Generating position information employing an imager | |
| JPH09134250A (en) | Tracking method for apparatus posture | |
| KR20120136719A (en) | The method of pointing and controlling objects on screen at long range using 3d positions of eyes and hands | |
| US20080252737A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n Interactive Control System | |
| US8184211B2 (en) | Quasi analog knob control method and appartus using the same | |
| US20190384421A1 (en) | Latency masking systems and methods | |
| KR100660165B1 (en) | Image sensor using remote pointing system with general infrared remote control communication function | |
| US20210063681A1 (en) | Optical device and mobile terminal comprising same | |
| CN104270664B (en) | Light pen remote control, the system and method for realizing intelligent operating platform input control | |
| US10488576B2 (en) | Image display apparatus | |
| KR102360628B1 (en) | Video projector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 |
| KR100833644B1 (en) | Remote control device and display remote control system including the same | |
| KR102867534B1 (en) | Display device | |
| KR101439178B1 (en) | System and Method for remote control using camera | |
| KR20210056762A (en) |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 |
| US20240419293A1 (en) | Display device | |
| KR20230156473A (en) | Display device | |
| KR20240044943A (en) | Transparent display device | |
| KR20240174305A (en) | Display device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
|
| D13-X000 | Search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
|
| D14-X000 | Search report comple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 R17-X000 |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
|
| T11-X000 |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
|
| T11-X000 |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
|
| T11-X000 |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4-asn-PN2301 |
|
| P14-X000 | Amendment of ip right document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P10-P14-nap-X000 |
|
| P16-X000 | Ip right document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P10-P16-nap-X000 |
|
| Q16-X000 | A copy of ip right certificate issu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6-nap-X000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527 Year of fee payment: 7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1202 Year of fee payment: 8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8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1205 Year of fee payment: 9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9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1203 Year of fee payment: 10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0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212 Year of fee payment: 11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1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201 Year of fee payment: 12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2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181215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812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