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91540B1 - TAP device with remote control - Google Patents
TAP device with remote control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591540B1 KR100591540B1 KR1020040029349A KR20040029349A KR100591540B1 KR 100591540 B1 KR100591540 B1 KR 100591540B1 KR 1020040029349 A KR1020040029349 A KR 1020040029349A KR 20040029349 A KR20040029349 A KR 20040029349A KR 100591540 B1 KR100591540 B1 KR 10059154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network
- communication path
- ethernet
- traffic
- tap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3/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3/12—Network monitoring prob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2—Arrangements for remote connection or disconnection of substations or of equipment thereof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9/00—Packet switching elements
- H04L49/25—Routing or path finding in a switch fabri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격제어가 가능한 TAP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AP device capable of remote control.
본 발명은 트래픽 경로를 스위칭하여 통신경로를 설정하는 스위칭부; 이더넷 포트; 이더넷 포트를 통해 연결되는 장치와 서로 통신하는 이더넷 통신부; 및 이더넷 통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제어명령에 따라 스위칭부를 제어하여 통신경로를 설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모니터링 장비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지를 확인하기 위한 일정 정보(헬스-첵 정보)를 모니터링 장비에 주기적으로 요청하여 응답상태에 따라 통신경로를 자동 설정하거나, 이더넷 포트를 통해 연결된 장비와의 링크 상태를 검사하여 검사결과에 따라 통신경로를 자동 설정하도록 구성하면 더욱 바람직하게 실시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witching unit for setting a communication path by switching the traffic path; Ethernet port; An Ethernet communication unit for communicating with an apparatus connected through an Ethernet port; And a controller configured to set a communication path by controlling the switching unit according to a control command received through the Ethernet communication unit. In particular, the controller periodically requests schedule information (health-check information) to check whether the monitoring equipment operates normally, and automatically establishes a communication path according to the response status or checks the link status with the equipment connected through the Ethernet port. It is more preferable if the communication path is configured to automatically set the communication path according to the inspection result.
본 발명을 사용하면, 이더넷을 통해 연결되는 각종 장비에서 TAP 장치를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뿐만아니라 TAP 장치 스스로 각종 모니터링 장비의 동작상태나 타 원격 관리장치와의 연결상태를 감시하여 상황에 맞는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트래픽 상태뿐아니라 다양한 네트워크 환경에 더욱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보안 및 계측장비에 더욱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Using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control the TAP device from various equipment connected via Ethernet. In addition, the TAP device can monitor the operation status of various monitoring equipments or the connection status with other remote management devices and operate in a mode suitable for the situation.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more actively cope with various network environments as well as traffic conditions, so that it can be used more effectively for various security and measurement equipment.
네트워크, 트래픽, 감시, TAP, 이더넷Network, traffic, surveillance, TAP, Ethernet
Description
도 1은 TAP 장치의 사용 구조에 관한 개요,1 is an overview of a structure of use of a TAP device;
도 2는 종래의 TAP 장치에 관한 구성,2 is a configuration of a conventional TAP device;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TAP 장치의 설치상태에 관한 실시예,3 is an embodiment of an installation state of a TAP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동작모드별 통신경로,4 is a communication path for each operation mode;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TAP 장치의 구성도,5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TAP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헬스-첵 기능에 관한 동작 과정의 예,6 is an example of an operation process relating to a health-check function;
도 7은 링크 검사 기능에 관한 동작 과정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7 shows an example of an operation process related to the link check func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11,12: 네트워크 11-1: 라우터11,12: network 11-1: router
12-1: 허브 20,40: TAP 장치12-1:
21~24,41~44: 포트 30: 모니터링 장비21 ~ 24,41 ~ 44: port 30: monitoring equipment
40-1: 모드 스위치 45,46: 이더넷 포트40-1:
47: 스위칭부 48: 이더넷 통신부47: switching unit 48: Ethernet communication unit
49: 제어부 50: 관리장치49: control unit 50: management device
본 발명은 원격제어가 가능한 TAP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이더넷을 통해 그 동작상태를 감시 및 제어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모니터링 장비의 동작상태나 기 규정된 장비와의 링크상태에 따라 적절한 동작모드로 자동 설정할 수 있도록 하여, 네트워크에 발생하는 각종 상황에 대응하여 능동적으로 동작할 수 있는 TAP(Test Access Port)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AP device that can be remotely controlled, and in particular, to monitor and control the operation state through Ethernet, and to the appropriate operation mode according to the operation state of the monitoring equipment or the link state with the prescribed equipmen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AP (Test Access Port) device capable of automatically setting and actively operating in response to various situations occurring in a network.
인터넷과 네트워크 기술이 발달하면서 실생활에 많은 편리함을 주고 있다. 그러나 그에 따른 여러 가지 부작용들도 나타나고 있는데, 특정 장치를 해킹하거나 불특정 다수에 의한 과다한 트래픽 생성 공격 등이 그 예이다. 이에 따라, 네트워크 보안이 매우 중요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으며, 네트워크 보안을 위하여 방화벽(Firewall)이나 IDS(Intrusion Detection System) 등이 사용되고 있다.With the development of internet and network technology, it brings much convenience to real life. However, there are various side effects, such as hacking a specific device or an excessive traffic generation attack by an unspecified number. Accordingly, network security has emerged as a very important problem, and a firewall or an intrusion detection system (IDS) is used for network security.
도 1을 참조하자면, 모니터링 장비(30)는 제1네트워크(11)와 제2네트워크 (12)의 통신경로상에 위치하는 TAP 장치(20)를 통해 통신경로상의 트래픽을 포트 미러링하여 트래픽 상태를 감시한다. 여기서, 제1네트워크(11)와 제2네트워크(12)란 서로 연결되는 임의의 네트워크(예: 인터넷망과 인트라넷망)를 의미한다. 포트 미러링(Port Mirroring)이란 주로 스위치에서 사용되는 트래픽 포워딩(Traffic Forwarding) 기술로서, 스위치상의 특정 포트를 모니터링 포트로 내보내는 방법이다.Referring to FIG. 1, the
도 2를 참조하자면, 통신경로상의 트래픽을 모니터링 장비로 보내기 위하여 사용되는 종래의 TAP 장치(20)에는 제1네트워크(11), 제2네트워크(12), 및 모니터링 장비(30)를 각각 연결하기 위한 포트(21 내지 24)가 구비된다. 모니터링 장비(30)는 제1네트워크(11)와 제2네트워크(12) 사이에서 흐르는 트래픽을 감시하기 위한 장비로서, 침입탐지시스템(IDS), 침입방지시스템(IPS), 네트워크 아날라이저, RMON, DDoS 솔루션, QoS, Contents Filter 등 다양한 보안 및 계측장비를 의미한다.Referring to FIG. 2, a
포트1(21)을 통해 제1네트워크(11)로부터 수신되는 트래픽은 포트2(22)를 통해 제2네트워크(12)로 전달됨과 동시에 포트3(23)를 통해 모니터링 장비(30)로 전달된다. 또한, 포트2(22)를 통해 제2네트워크(12)로부터 수신되는 트래픽은 포트1(21)을 통해 제1네트워크(11)로 전달됨과 동시에 포트4(24)를 통해 모니터링 장비(30)로 전달된다.Traffic received from the
이러한 종래의 TAP 장치(20)는 단지 통신경로상에 흐르는 트래픽을 감시할 수 있는 수동적인 기능을 수행할 수 있을 뿐이다. 그러나, TAP 장치(20)를 더욱 효과적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트래픽 상태나 네트워크의 상태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하고, 관리자의 입장에서는 보다 편리하게 TAP 장치를 관리할 수 있도록 해 줄 필요성이 있다.This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부응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이 더넷을 통해 그 동작상태를 감시 및 제어할 수 있도록 하여 관리의 효율성을 개선하고, 모니터링 장비의 동작상태나 타 관리장치와의 링크상태를 스스로 판단하여 자동적으로 적절한 모드로 동작하여 다양한 상황에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TAP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to meet the above necessity,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management by monitoring and controlling the operation state through Ethernet, and to link the operation state of the monitoring equipment with other management devices.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TAP device capable of actively responding to various situations by automatically determining a state and automatically operating in an appropriate mod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원격제어가 가능한 TAP 장치는, 제1네트워크와 제2네트워크 사이의 통신경로를 흐르는 트래픽을 일정 모니터링 장비로 전달하여, 상기 모니터링 장비에서 상기 통신경로상의 트래픽을 감시할 수 있도록 해준다. 특히 상기 제1네트워크와, 제2네트워크, 모니터링 장비의 트래픽 경로를 각각 스위칭하여 상기 제1네트워크와 제2네트워크 사이에서의 통신경로를 설정하기 위한 스위칭부; 하나 이상의 이더넷 포트; 상기 이더넷 포트를 통해 연결되는 장치와 서로 통신하는 이더넷 통신부; 및 상기 TAP 장치의 동작 관련 정보를 상기 이더넷 통신부를 통해 일정 장치로 전송하거나, 상기 이더넷 통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제어명령에 따라 상기 스위칭부를 제어하여 상기 통신경로를 설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TAP device capable of remote contro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passing the traffic flowing through the communication path between the first network and the second network to a certain monitoring equipment, the communication path in the monitoring equipment To monitor traffic on the network. In particular, the switching unit for setting the communication path between the first network and the second network by switching the traffic path of the first network, the second network, monitoring equipment, respectively; One or more Ethernet ports; An Ethernet communication unit communicating with a device connected through the Ethernet port; And a controller configured to transmit the operation related information of the TAP device to a predetermined device through the Ethernet communication unit or control the switching unit according to a control command received through the Ethernet communication unit to set the communication path. .
본 발명에 따른 TAP 장치는 사용자가 수동으로 동작모드를 설정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도 있다.The TAP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function of setting an operation mode manually by a user.
또한, 본 발명에 따른 TAP 장치는 모니터링 장비의 동작 상태를 스스로 판단하여 모니터링 장비의 상태에 따라 적절한 모드로 동작하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자신과 연결된 각종 관리장치와의 연결상태를 스스로 판단하여 그 연결상태에 따라 적절한 모드로 동작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TAP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onfigured to operate in an appropriate mode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monitoring equipment by judg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monitoring equipment by themselves, and by judging the connection state with the various management apparatus connected to itself Depending on the state, it can also be configured to operate in the appropriate mod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3을 참조하자면, 본 발명에 따른 원격제어가 가능한 TAP 장치(40: 이하 TAP 장치라 한다)는 제1네트워크(11)와 제2네트워크(12)의 사이를 흐르는 트래픽을 모니터링 장비(30)로 전달하여, 모니터링 장비(30)에서 트래픽을 감시할 수 있도록 해준다. 이 때, 제1네트워크(11)와 제2네트워크(12)의 사이를 흐르는 트래픽의 통신경로는 각종 트래픽 혹은 네트워크 상태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 TAP 장치(40)는 전기적 네트워크나 광 네트워크용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광 네트워크용으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광 신호 처리에 필요로 하는 각종 요소를 사용하여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Referring to FIG. 3, a remote controllable TAP device (hereinafter, referred to as TAP device 4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onitors traffic flowing between the
특히 TAP 장치(40)는 이더넷 포트(45,46)를 통해 모니터링 장비(30)나 타 관리장치(50)와 통신하여 자신의 상태를 보고하거나 제어명령을 수신하여 자신의 동작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In particular, the
이를 위하여 TAP 장치(40)는 네트워크에 연결되는 포트(NET A, NET B), 모니터링 장비에 연결되는 포트(DAP A, DAP B), 이더넷을 통해 타 장비와 연결되는 이더넷 포트(Eth1, Eth2) 등의 통신포트를 가지고 있다. 예로서, 포트 NET A(41)는 일정 네트워크 장치를 통해 제1네트워크(11)와 연결되고, 포트 NET B(42)는 일정 네트워크 장치를 통해 제2네트워크(12)와 연결된다. 네트워크 장치의 예로는 라우터(Router)나 스위치/허브(Switch/Hub) 등을 들 수 있다.To this end, the
포트 DAP A(43)와 포트 DAP B(44)에 연결되는 모니터링 장비는 침입탐지시스템(IDS), 침입방지시스템(IPS), Firewall, IPS, Contents Filtering, QoS, 캐시 서버 등 다양한 장비로서 구성할 수 있다.The monitoring equipment connected to port DAP A 43 and port DAP B 44 can be configured as various devices such as intrusion detection system (IDS), intrusion prevention system (IPS), firewall, IPS, contents filtering, QoS, and cache server. Can be.
또한, TAP 장치(40)는 이더넷 포트(45,46)를 통해 타 장치와 연결되어 서로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는데, 이더넷 포트(45,46)에 연결될 수 있는 장치에는 제한이 없다. 그러나, 도 3에 도시한 예와 같이 모니터링 장비(30) 및 관리자의 관리장치(50)와 서로 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모니터링 장비(30)는 제1네트워크(11)와 제2네트워크(12) 사이의 트래픽을 감시하는 이외에도 이더넷 포트(45)를 통해 TAP 장치(40)와 관리용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다.In addition, the
이 때, TAP 장치(40)와 이더넷 포트(45,46)를 통해 연결되는 장치는 SNMP(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를 사용하여 서로 통신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이더넷 포트(45,46)를 통해 연결되는 각종 장치(30,50)는 SNMP 서버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야 한다.In this case, the
한편, TAP 장치(40)의 통신경로를 결정하는 동작모드는 Passive 모드와 In-Line 모드를 가지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the operation mode for determining the communication path of the
도 4를 참조하자면, Passive 모드는 제1네트워크(11)와 제2네트워크(12) 사이의 트래픽이 그대로 연결되지만, 제1네트워크(11)와 제2네트워크(12) 사이에 흐르는 트래픽을 포트 DAP A/B(43,44)를 통해 모니터링 장비(30)로 미러링해주는 모드이다.Referring to FIG. 4, in the passive mode, the traffic between the
In-Line 모드는 제1네트워크(11)와 제2네트워크(12) 사이의 트래픽이 모니터링 장비(30)를 경유하여 연결되는 모드이다. 이에 따라 In-Line 모드에서는 과다한 트래픽이나 위험한 트래픽을 중간에서 차단할 수 있게 된다. 즉, In-Line 모드는 제1네트워크(11)로부터 들어 오는 트래픽이 IPS 등의 모니터링 장비(30)를 경유해서만 제2네트워크(12)로 전달되므로 효과적으로 트래픽을 제어 및 감시할 수 있는 모드이다.In-Line mode is a mode in which traffic between the
도 5를 참조하여 TAP 장치를 구성하는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A preferred embodiment of configuring a TAP devic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5.
스위칭부(47)는 제1네트워크(11), 제2네트워크(12), 및 모니터링 장비(30)의 트래픽 이동경로를 각각 스위칭하여 제1네트워크(11)와 제2네트워크(12) 사이에서의 통신경로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해주는 역할을 수행한다.The
즉, 제1스위칭부(47-1)는 제2네트워크(12)로부터 포트 NET B(42)를 통해 수신되는 신호와 모니터링 장비(30)로부터 수신되는 신호 중 하나를 선택하여 포트 NET A(41)를 통해 제1네트워크(11)로 전달한다.That is, the first switching unit 47-1 selects one of a signal received from the
제2스위칭부(47-2)는 제1네트워크(11)로부터 포트 NET A(41)를 통해 수신되는 신호와 모니터링 장비(30)로부터 수신되는 신호 중 하나를 선택하여 포트 NET B(42)를 통해 제2네트워크(12)로 전달한다.The second switching unit 47-2 selects one of a signal received from the
제어부(48)는 제1스위칭부(47-1)와 제2스위칭부(47-2)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하여, 제1네트워크(11)와 제2네트워크(12)와 모니터링 장비(30) 사이에서의 통신경로를 제어하게 된다.The
예로서, 제어부(49)가 제1스위칭부(47-1)를 제어하여 제2네트워크(12)로부터 포트 NET B(42)를 통해 수신되는 신호를 포트 NET A(41)로 통과시키도록 하고, 또한 제2스위칭부(47-2)를 제어하여 제1네트워크(11)로부터 포트 NET A(41)를 통해 수신되는 신호를 포트 NET B(42)로 통과시키도록 한다면, 제1네트워크(11)와 제2네트워크(12)는 직접 연결되는 상태가 된다. 그리고, 포트 NET B(42)를 통해 제2네트워크(12)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를 모니터링 장비(30)로 전달하고, 포트 NET A(41)를 통해 제1네트워크(11)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를 모니터링 장비(30)로 전달하면, Passive 모드로서 동작하게 된다.For example, the
그러나, 제어부(49)가 제1스위칭부(47-1)를 제어하여 모니터링 장비(30)로부터 포트 DAP A(43)를 통해 수신되는 신호를 포트 NET A(41)로 통과시키도록 하고, 제2스위칭부(47-2)를 제어하여 모니터링 장비(30)로부터 포트 DAP B(44)를 통해 수신되는 신호를 포트 NET B(42)로 통과시키도록 한다면, 제1네트워크(11)와 제2네트워크(12)는 모니터링 장비(30)를 통해 연결되는 상태가 된다. 즉, 모니터링 장비(30)를 경유하는 통신경로가 형성되며, IN-Line 모드로서 동작하게 된다.However, the
한편, 이더넷 통신부(48)는 이더넷 포트(45,46)를 통해 연결되는 각종 장치(30,50)와 이더넷 통신 방식에 따라 서로 통신하는 역할을 수행한다.On the other hand, the
이와 관련하여 제어부(49)는 TAP 장치(40)의 각종 동작 관련 정보를 이더넷 통신부(48)를 통해 연결된 해당 장치(30,50)로 보내어 자신의 동작상태를 보고할 수 있다. 또한, 이더넷 통신부(48)를 통해 각종 장치(30,50)로부터 수신되는 제어명령에 따라 스위칭부(47)를 제어하여 통신경로를 일정 모드로 설정한다.In this regard, the
도 5에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2개의 이더넷 포트(45,46)를 가지고, 하나는 모니터링 장비(30)와 또하나는 타 관리장치(50)와 연결되는 구조를 도시하였으나, 이더넷 포트의 수와 대상 장치는 임의적으로 구성할 수 있음은 자명한 것이다.In FIG. 5, two
도 5에 도시한 실시예와 같이 연결하면, 모니터링 장비(30)는 제1네트워크 (11)와 제2네트워크(12) 사이의 트래픽을 감시하는 역할 이외에도, TAP 장치(40)의 동작상태를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또한, TAP 장치(40)의 입장에서도 모니터링 장비(30)의 동작상태를 능동적으로 감시할 수 있게 되므로, 모니터링 장비(30)가 비정상적으로 동작하는 경우에는 TAP 장치(40) 스스로 통신경로를 변경하는 등 상황에 적절히 대처할 수 있게 된다.When connected as shown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5, the
하나의 예로서, TAP 장치(40)는 모니터링 장비(30)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지를 확인하기 위한 일정 정보(헬스-첵 정보)를 모니터링 장비(30)에 주기적으로 요청하고, 이 요청에 따른 응답상태에 따라 통신경로를 자동 설정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TAP 장치(40)가 타 장치의 상태를 능동적으로 검사하는 것을 '헬스-첵(Health-Check)' 기능으로 표현하기로 한다.As one example, the
도 6을 참조하여, TAP 장치(40)가 모니터링 장비(30)의 상태에 능동적으로 대처하는 헬스-첵 기능에 관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With reference to FIG. 6, an embodiment of a health-cheap function in which the
제어부(49)는 모니터링 장비(30)로 헬스-첵 정보를 요청할 주기가 되었는지를 판단한다(S61). 즉, 헬스-첵 기능은 주기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모니터링 장비(30)로 요청하는 헬스-첵 정보는 이더넷 포트(45,46)를 통해 연결되는 장치(30,50)에서 미리 설정해 놓을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The
단계 S61에서의 판단 결과, 모니터링 장비(30)로 헬스-첵 정보를 요청할 주기가 되었으면 이더넷 통신부(48)를 통해 모니터링 장비(30)로 헬스-첵 정보를 요청한 후 응답을 대기한다(S62). 그리고, 규정된 시간 이내에 응답이 수신되면(S63), 이 응답이 정상적인 응답인지를 조사한다(S64). 그리고, 모니터링 장비(30)로부터 정상적인 응답이 수신된 경우에는 스위칭부(47)를 제어하여 TAP 장치(40)가 In-Line 모드로 동작하도록 제어한다(S66).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step S61, when the period for requesting the health-cheap information to the
그러나, 규정된 시간 내에 모니터링 장비(30)로부터 응답이 수신되지 않았거나(S63,S65), 수신된 응답이 비정상적인 경우에는(S64), 스위칭부(47)를 제어하여 TAP 장치(40)가 Passive 모드로 동작하도록 제어한다(S67). 이 때 각 상황에 따라 어떠한 동작모드로 설정할 것인지는 임의적으로 규정될 수 있는 것이다.However, if the response is not received from the
TAP 장치(40)가 모니터링 장비(30)와 통신하여 헬스-첵 기능을 수행하는 방법의 예로는 MIB(Management Information Base) 데이터를 폴링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즉, 모니터링 장비(30)에 대하여 설정한 MIB OID를 요청하여 그 결과에 따라 동작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 때, 응답이 수신되지 않는 경우에는 일정 부분 재시도를 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As an example of a method in which the
헬스-첵 기능을 위한 명령에는 검사 주기를 지정하는 'Interval' 항목, 검사시 재시도 회수를 지정하는 'Retries' 항목, 연결에 대한 타임 아웃 시간을 지정하는 'Timeout' 항목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항목들은 이더넷으로 연결되는 모니터링 장비(30) 혹은 타 관리장치(50)에서 입력하여 설정할 수 있는 것이다.Commands for the health-check function may include an 'Interval' item for specifying an inspection period, a 'Retries' item for specifying the number of retries at the inspection, and a 'Timeout' item for specifying a timeout time for a connection. These items can be set by input from the
SNMP를 사용하여 통신하는 방법은 이미 공지된 SNMP 관련 기술을 이용하여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Since a method of communicating using SNMP can be easily implemented using a known SNMP related technology,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또한, TAP 장치(40)는 이더넷 포트(45,46)의 링크 상태를 주기적으로 검사하여 그 검사결과에 따라 동작모드를 자동 설정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즉, TAP 장치(40)는 이더넷 포트(45,46)를 통해 연결되는 임의의 장치와의 연결상태에 따라 그 동작모드를 설정할 수 있게 되므로, 네트워크 환경의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도 7을 참조하여 TAP 장치(40)가 수행할 수 있는 또 다른 헬스-첵 기능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Referring to FIG. 7, an embodiment of another health-feature function that the
제어부(49)는 이더넷 포트(45,46)를 통해 일정 장치가 연결되어 있는지를 검사한다(S71). 그리고, 단계 S71에서의 검사 결과, 링크상태가 정상인 경우에는 TAB 장치(40)를 In-Line 모드로 설정하고(S73), 링크상태가 정상이 아닌 경우에는 Passive 모드로 설정한다(S74). 링크상태에 따라 어떠한 모드로 설정할 것인지는 임의적으로 규정될 수 있는 것이다.The
이 때, 검사 대상 장치는 이더넷 포트(45,46)를 통해 연결되는 장치에서 미리 설정해 놓을 수 있다. 링크 검사 헬스-첵 기능을 위한 명령으로는 링크 검사 대상인 디바이스명(Eth1 혹은 Eth2), 링크 검사 헬스-첵에 대한 설정상태 확인, 링크 검사 헬스-첵 기능의 시작 및 중단 등을 들 수 있다.In this case, the inspection target device may be set in advance in a device connected through the
위에서는 이더넷을 통해 연결되는 모니터링 장비(30)나 타 관리장치(50)에서의 명령 혹은 그 상태에 따라 동작모드가 자동 설정되는 예를 설명하였으나, TAP 장치(40)는 통신경로를 수동 설정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In the above, an example in which an operation mode is automatically set according to a command or a state of the
이러한 실시예에서 TAP 장치(40)는 모드 스위치(40-1)를 추가로 포함하고, 제어부(49)는 모드 스위치(40-1)의 상태에 따라 통신경로를 설정한다. 모드 스위치(40-1)는 Passive 모드와 In-Line 모드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기타 기능을 위한 접점도 함께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In this embodiment, the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임은 물론이다.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ntended to help th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can be variously modified and implemen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본 발명을 사용하면, 이더넷을 통해 연결되는 각종 장비에서 TAP 장치를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뿐만아니라 TAP 장치 스스로 각종 모니터링 장비의 동작상태나 타 원격 관리장치와의 연결상태를 감시하여 상황에 맞는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트래픽 상태뿐아니라 다양한 네트워크 환경에 더욱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으므로, 침입탐지시스템(IDS), 네트워크 분석기(Analyzer), RMON, DDoS 솔루션 등 다양한 보안 및 계측장비에 더욱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Using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control the TAP device from various equipment connected via Ethernet. In addition, the TAP device can monitor the operation status of various monitoring equipments or the connection status with other remote management devices and operate in a mode suitable for the situation. As a result, it can cope more proactively with various network environments as well as traffic conditions, so it can be used more effectively for various security and measurement equipment such as intrusion detection system (IDS), network analyzer (Analyzer), RMON and DDoS solution.
Claims (7)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40029349A KR100591540B1 (en) | 2004-04-28 | 2004-04-28 | TAP device with remote control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40029349A KR100591540B1 (en) | 2004-04-28 | 2004-04-28 | TAP device with remote control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050104107A KR20050104107A (en) | 2005-11-02 |
| KR100591540B1 true KR100591540B1 (en) | 2006-06-19 |
Family
ID=37281786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040029349A Expired - Fee Related KR100591540B1 (en) | 2004-04-28 | 2004-04-28 | TAP device with remote control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0591540B1 (en) |
Citations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US6233613B1 (en) | 1997-08-18 | 2001-05-15 | 3Com Corporation | High impedance probe for monitoring fast ethernet LAN links |
| US6441931B1 (en) | 1996-02-23 | 2002-08-27 | Nortel Networks Limited | Method and apparatus for monitoring a dedicated communications medium in a switched data network |
| US20020180592A1 (en) | 2001-04-30 | 2002-12-05 | Gromov Leonid G. | In-line power tap device for ethernet data signal |
| US20040034800A1 (en) | 2002-08-09 | 2004-02-19 | Anil Singhal | Intrusion detection system and network flow director method |
-
2004
- 2004-04-28 KR KR1020040029349A patent/KR100591540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US6441931B1 (en) | 1996-02-23 | 2002-08-27 | Nortel Networks Limited | Method and apparatus for monitoring a dedicated communications medium in a switched data network |
| US6233613B1 (en) | 1997-08-18 | 2001-05-15 | 3Com Corporation | High impedance probe for monitoring fast ethernet LAN links |
| US20020180592A1 (en) | 2001-04-30 | 2002-12-05 | Gromov Leonid G. | In-line power tap device for ethernet data signal |
| US20040034800A1 (en) | 2002-08-09 | 2004-02-19 | Anil Singhal | Intrusion detection system and network flow director method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050104107A (en) | 2005-11-02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JP4709214B2 (en) | System and method for integrating, securing and automating out-of-band access to nodes in a data network | |
| CN101488884B (en) | Network multi-computer controller, data processing device and application method | |
| US12063276B2 (en) |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internet and failover connectivity and monitoring | |
| US7222256B2 (en) |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redundant communication links in networked safety systems | |
| US9813448B2 (en) | Secured network arrangement and methods thereof | |
| EP2530872B1 (en) | Autonomic network management system | |
| JP6078893B2 (en) | Pan-tilt-zoom device identification method, pan-tilt-zoom device, camera, and pan-tilt-zoom device control system | |
| US11792098B2 (en) | Link detection method and system | |
| US20080313319A1 (en) |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multi-protocol access to remote computers | |
| WO2009006834A1 (en) | Method of network element managing, system of network element equipment managing and system of network element managing | |
| WO2007006214A1 (en) | A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the device port state | |
| CN108353027B (en) | A software-defined networking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port failures | |
| KR101881061B1 (en) | 2-way communication apparatus capable of changing communication mode and method thereof | |
| KR100591540B1 (en) | TAP device with remote control | |
| US11316904B2 (en) | Network switches with secured switch ports to baseboard management controllers | |
| TWM574793U (en) | Network device capable of detecting state of external device | |
| US11411807B2 (en) | Method and system for detecting and mitigating cabling issues with devices in substation automation systems | |
| KR100855205B1 (en) | Stabilized high availability network controller and its method | |
| KR100445549B1 (en) | Apparatus for active Test Access Port | |
| KR100625640B1 (en) | TA devices with redundancy | |
| CN117041760B (en) | Communication network switching device, system and method | |
| KR101873713B1 (en) | System for Power over Ethernet device fault monitoring and hardware resetting | |
| EP4521871A1 (en) | Method of performing over-temperature control in a network system | |
| JP4950437B2 (en) | Network monitoring system | |
| KR100386948B1 (en) | Apparatus for Traffic Monitoring and Interface of ITMA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
|
| D13-X000 | Search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
|
| D14-X000 | Search report comple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
|
| R17-X000 |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327 Year of fee payment: 8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8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306 Year of fee payment: 9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9 |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150614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50614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