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41443B1 - Image form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Image form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541443B1 KR100541443B1 KR1020030048804A KR20030048804A KR100541443B1 KR 100541443 B1 KR100541443 B1 KR 100541443B1 KR 1020030048804 A KR1020030048804 A KR 1020030048804A KR 20030048804 A KR20030048804 A KR 20030048804A KR 100541443 B1 KR100541443 B1 KR 10054144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oller
- developer
- amount
- developing
- pump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on a donor element, e.g. belt, roller
- G03G15/08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on a donor element, e.g. belt, roller characterised by the developer supplying means, e.g. structure of developer supply roller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on a donor element, e.g. belt, roller
- G03G15/0812—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on a donor element, e.g. belt, roller characterised by the developer regulating means, e.g. structure of doctor blade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6—Developing structures, details
- G03G2215/0634—Developing device
- G03G2215/0636—Specific type of dry developer devic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ry Development In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접촉현상방식의 현상롤러와, 현상제를 상기 현상롤러에 도포하는 공급롤러와, 상기 공급롤러로 상기 현상제를 공급하는 펌핑롤러를 갖는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공급롤러와 상기 현상롤러 사이에 흐르는 전류량을 검출하는 전류검출부와; 상기 전류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전류량에 반비례하게 상기 펌핑롤러의 구동속도를 가변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현상제의 경제적인 소모가 가능하므로, 소모품인 현상제의 유지비용을 절약할 수 있어 제품경쟁력이 우수한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An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a developing roller of a contact developing method, a supplying roller for applying a developer to the developing roller, and a pumping roller for supplying the developer to the supplying roller, wherein the supplying roller and the developing roller are interposed between the developing roller and the developing roller. A current detector for detecting a current amount flowing; And a controller for varying the driving speed of the pumping roller in inverse proportion to the amount of current detected by the current detector. As a result, since the developer can be economically consumed, the maintenance cost of the developer, which is a consumable, can be saved, and an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excellent product competitiveness can be provided.
Description
도 1은 일반적인 화상형성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고,1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 general image forming apparatus;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고,2 and 3 are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s of an image form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화성형성장치의 제어흐름도이고,4 is a control flowchart of the chemical form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a 및 도 5b는 현상제량과 농도간의 관계를 도시한 그래프이다.5A and 5B are graphs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developer amount and concentra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감광드럼 12 : 현상로러10: photosensitive drum 12: developing roller
14 : 전사롤러 16 : 대전롤러14: transfer roller 16: charging roller
18 : 규제롤러 20a, 20b : 펌핑,공급롤러18:
22 : 레지스터롤러 24a : 가압롤러22: register
24b : 히트롤러 26 : 제거블레이드24b: Heater 26: Removal Blade
28 : 현상제저장탱크 30 : 잔류현상제저장탱크28: developer storage tank 30: residual developer storage tank
32 : 전류검출부 34 : 전류량비교부32: current detector 34: current amount comparison unit
36 : 제어부 38 : 펌핑롤러구동부36
40 : 인쇄용지40: printing paper
본 발명은,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현상제의 경제적인 소모가 가능하므로, 소모품인 현상제의 유지비용을 절약할 수 있어 제품경쟁력이 우수한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제어방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and more particularly, to enable economical consumption of a developer, thereby reducing the maintenance cost of the developer as an expendable product, and having an excellent product competitiveness. The control method is related.
일반적으로 전자사진방식의 화상형성장치는 감광드럼 또는 감광벨트와 같은 정전잠상(Latent Electrostatic Image)의 형성이 가능한 감광체를 사용한다. 이러한 전자사진방식의 화상형성장치는 레이저 빔 프린터(Laser Beam Printer), LED프린터 및 디지털 복사기 등의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In general, an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uses a photosensitive member capable of forming a latent electrostatic image such as a photosensitive drum or a photosensitive belt. Such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es are used in various fields such as laser beam printers, LED printers, and digital copiers.
한편, 전자사진방식의 화상형성장치는 그 현상방식에서 현상제의 종류에 따라 토너(Toner)분말을 사용하는 건식방식과, 액체캐리어에 혼합된 토너분말을 사용하는 습식방식으로 구분된다. 이 두가지 방식은 모두 정전잠상이 형성되는 감광체에 대전상태의 토너분말이나 액체캐리어에 혼합된 토너분말을 현상시킨 후, 그 감광체와 접촉되어 회전하는 전사매체 사이로 용지를 통과시킴으로써 원하는 화상을 용지에 인쇄한다.On the other hand, an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is classified into a dry method using a toner powder and a wet method using a toner powder mixed in a liquid carrier according to the type of developer in the developing method. Both of these methods develop a toner powder in a charged state or a toner powder mixed in a liquid carrier on a photosensitive member on which an electrostatic latent image is formed, and then pass a sheet of paper through a rotating transfer medium in contact with the photosensitive member to print a desired image on the paper. do.
도 1은 일반적인 화상형성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고이다. 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사진방식의 화상형성장치는 감광드럼(10), 현상롤러(12), 현상제공급수단, 전사롤러(14), 대전롤러(16), 공급롤러(20), 가압롤러(24a), 히트롤러(24b) 및 레지스터롤러(22) 등을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종래의 전자사진방식의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전자사진화성형성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1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 general image forming apparatus. As shown in this figure, the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es a
먼저, 감광드럼(10)은 대전롤러(16)에 의해 정(+)의 대전전압(VC)으로 대전됨으로써 정(+)의 전위를 가지는 균일한 전하가 표면상에 형성된다. 그런 다음, 감광드럼(10)의 표면이 도시되지 않은 노광장치에 의해 원고 또는 이미지 데이터에 대응하여 노광됨으로써 정전잠상이 형성된다. 이 때, 비화상영역, 즉 노광되지 않은 비노광영역은 대전롤러(16)에 의해 대전된 대전전위가 그대로 유지되는 반면, 화상영역, 즉 노광된 노광영역의 전위는 노광되기 전에 비해 작아진다. 이 때, 도시되지 않은 용지카세트로부터 급지되는 인쇄용지(40)는 레지스터롤러(22)에 의해 그 선단이 정렬된 후, 전사롤러(14)로 이송된다.First, the
한편, 감광드럼(10)의 표면에 형성된 정전잠상은 현상롤러(12)의 표면에 도포된 토너와 같은 현상제에 의해 현상됨으로써 가시상으로 전환된다. 이 때, 현상롤러(12)는 정(+)의 현상바이어스전압에 의해 부(-)의 전위를 갖게 된다. 그리고 현상제공급수단의 공급롤러(20)로부터 공급되는 현상제는 현상롤러(12)상에 정(+)의 현상전위를 띄며, 현상롤러(12)의 회전에 따라 현상영역으로 이동한다. 여기서, 현상영역은 현상롤러(12) 상의 현상제가 감광드럼(10) 상으로 이동함으로써 현상이 이루어지는 현상롤러(12)와 감광드럼(10) 상의 영역을 의미한다. 이와 같이, 현상영역으로 이동된 현상제는 노광전위와 현상전위 간의 전위차에 의해 감광드럼(10) 상의 노광영역으로 이동하여 부착됨으로써 현상이 이루어진다.On the other hand, the electrostatic latent imag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그런 다음, 감광드럼(10)에 부착되어 있는 현상제가 전사롤러(14)에 의해 기 록용지(40)에 옮겨짐으로써 전사가 이루어진다. 이 때 기록용지(40)에 전사된 현상제는 가압롤러(24a)와 히트롤러(24b)로 이루어지는 정착기(24)의 압력 및 열에 의해 기록용지(40) 상에 정착되고, 정착이 완료된 기록용지(40)는 화상형성장치의 외부로 배출되면서 인쇄용지(40)의 프린트가 완료된다.Then, the developer attached to the
한편, 이러한 종래의 전자사진방식의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인쇄작업 수행전에 현상제저장탱크 내에 수용된 현상제는 15-20%의 고농도이나, 연속적으로 또는 지속적으로 인쇄작업을 수행할 경우, 현상제저장탱크 내의 현상제가 계속해서 소모되기 때문에 현상제의 양 및 농도가 감소하게 된다. 그러나, 공급롤러(20)에서 적정 현상량 보다 많은 양을 현상롤러(12)에 부착시키기 때문에 현상제저장탱크 내의 현상제가 어느 수준까지 양 및 농도가 감소하여도 실질적으로 인쇄물에 현상되는 현상농도에 큰 영향을 주지 않게 된다.On the other hand, in the conventional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the developer contained in the developer storage tank before performing the printing operation has a high concentration of 15-20%, but when the printing operation is performed continuously or continuously, As the developer in the storage tank continues to be consumed, the amount and concentration of the developer is reduced. However, since the amount of the developer in the developer storage tank is reduced to a certain level, the developer roller is attached to the developing
그러나, 한 예로 계속해서 인쇄작업이 수행될수록 15-20% 이던 현상제저장탱크 내부에 현상제의 농도가 7% 이하로 떨어지게 되면 인쇄물에 현상되는 현상농도의 저하로 나타나게 되는 것이다. However, as an example, as the printing operation continues, when the concentration of the developer drops to 7% or less in the developer storage tank, which is 15-20%, the developing concentration of the printed matter is reduced.
이는 실질적으로 현상제저장탱크 내부에 현상제가 감소되어 농도가 7% 이하로 떨어졌을 뿐, 현상제저장탱크의 내부에는 현상제가 남아 있음에도 불구하고 인쇄물에 현상되는 현상농도의 저하로 사용자는 고동도의 현상제를 다시 현상제저장탱크에 채워야 하므로, 사용자는 현상제저장탱크 내부에 현상제를 경제적으로 충분히 소모하지 못하고 교체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This is because the developer decreased in the developer storage tank, and the concentration dropped to 7% or less.In addition, although the developer remained in the developer storage tank, the user developed a high-velocity phenomenon due to the decrease in the developer concentration developed on the printed matter. Since the developer needs to be filled in the developer storage tank again, the user does not have enough economical consumption of the developer inside the developer storage tank and needs to be replaced.
따라서, 인쇄물에 현상되는 적절한 현상농도를 유지하면서 현상제저장탱크 내부에 현상제를 경제적으로 충분히 소모시킬 수 있는 수단이 마련된다면, 바람직할 수 있을 것이다.Therefore, it would be desirable if there were provided means for economically consuming the developer sufficiently inside the developer storage tank while maintaining the proper developer concentration developed on the print.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현상제의 경제적인 소모가 가능하므로, 소모품인 현상제의 유지비용을 절약할 수 있어 제품경쟁력이 우수한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제어방방법를 제공하는 것이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which can be economically consumed, thereby reducing the maintenance cost of the developer as a consumable and having excellent product competitiveness.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접촉현상방식의 현상롤러와, 현상제를 상기 현상롤러에 도포하는 공급롤러와, 상기 공급롤러로 상기 현상제를 공급하는 펌핑롤러를 갖는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공급롤러와 상기 현상롤러 사이에 흐르는 전류량을 검출하는 전류검출부와; 상기 전류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전류량에 반비례하게 상기 펌핑롤러의 구동속도를 가변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The above object 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a developing roller of a contact developing method, a supplying roller for applying a developer to the developing roller, and a pumping roller for supplying the developer to the supplying roller, A current detector for detecting an amount of current flowing between the feed roller and the developing roller; And a control unit for varying the driving speed of the pumping roller in inverse proportion to the amount of current detected by the current detecting unit.
여기서, 상기 전류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상기 현상롤러와 상기 공급롤러 사이에 흐르는 전류량과 소정의 기준전류량을 비교하여 상기 제어부로 신호를 출력하는 전류량비교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a current amount comparison unit configured to compare a current amount flowing between the developing roller and the supply roller detected by the current detector and a predetermined reference current amount to output a signal to the controller.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류량비교부로부터 출력된 상기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펌핑롤러의 구동속도를 가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controller may vary the driving speed of the pumping roller in response to the signal output from the current amount comparing unit.
한편, 상기 펌핑롤러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펌핑롤러구동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류량비교부로부터 출력된 상기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펌핑롤 러의 구동속도가 가변되도록 상기 펌핑롤러구동부를 제어할 수 있다.The pumping roller driving unit may further include a pumping roller driver configured to provide a driving force to the pumping roller, and the controller may control the pumping roller driver to change the driving speed of the pumping roller in response to the signal output from the current amount comparing unit. Can be.
한편, 상기 목적은, 본 발명의 다른 분야에 따라, 접촉현상방식의 현상롤러와, 현상제를 상기 현상롤러에 도포하는 공급롤러와, 상기 공급롤러로 상기 현상제를 공급하는 펌핑롤러를 갖는 화상형성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공급롤러와 상기 현상롤러 사이에 흐르는 전류량을 검출하는 단계와; 검출된 상기 공급롤러와 상기 현상롤러 사이에 흐르는 전류량에 대응하여 상기 펌핑롤러의 구동속도를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제어방법에 의해서도 달성된다.On the other hand, the above object is, according to another field of the present invention, an image having a developing roller of the contact developing method, a supply roller for applying the developer to the developing roller, and a pumping roller for supplying the developer to the supply roller A control method of a forming apparatus, the method comprising: detecting an amount of current flowing between the supply roller and the developing roller; And controlling the driving speed of the pumping roller in response to the detected amount of current flowing between the feed roller and the developing roller.
그리고, 검출된 상기 공급롤러와 상기 현상롤러 사이에 흐르는 전류량에 대응하여 상기 펌핑롤러의 구동속도를 조절하는 단계는, 검출된 상기 공급롤러와 상기 현상롤러 사이에 흐르는 전류량과 소정의 기준전류량을 비교하는 단계와; 비교결과에 대응하여 상기 펌핑롤러의 구동속도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adjusting of the driving speed of the pumping roller in response to the detected amount of current flowing between the supply roller and the developing roller includes comparing the amount of current flowing between the detected supply roller and the developing roller with a predetermined reference current amount. Making a step; It is preferable to include the step of controlling the drive speed of the pumping roller corresponding to the comparison result.
또한, 상기 현상롤러와 상기 공급롤러 사이에 흐르는 전류량은 상기 펌핑롤러의 구동속도에 반비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amount of current flowing between the developing roller and the supply roller is preferably inversely proportional to the driving speed of the pumping roller.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며, 도 1에 구성과 동일한 구성에 대하여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nd the same configuration as in Figure 1 will be described using the same reference numerals.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사진방식의 화상형성장치로서 접촉현상방식의 현상롤러를 갖는 화상형성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정전잠상(Latent Electrostatic Image)이 형성되는 감광드럼(10)과, 감광드럼(10)과 접촉되어 감광드럼(10)의 표면에 형성된 정전잠상에 현상제를 도포하는 현상롤러(12)와, 현상롤러(12)에 현상제를 공급하기 위한 현상제공급수단을 포함한다.2 and 3 are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s of an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a developing roller of a contact developing method as an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these figures, the image form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감광드럼(10)은 대전롤러(16)에 의해 정(+)의 대전전압으로 대전됨으로써 부(-)의 전위를 가지는 균일한 전하가 표면상에 형성된다. 대전롤러(16)에 의해 균일한 전하가 형성된 감광드럼(10)의 표면은 도시되지 않은 노광장치에 의해 원고 또는 이미지 데이터에 대응하여 노광됨으로써 정전잠상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정전잠상이 형성되는 감광체로서 감광드럼(10)이 사용되는 것일 일예로 하고 있으나, 감광벨트가 사용 가능함은 물론이다. 여기서, 비화상영역, 즉 노광장치에 의해 노광되지 않은 비노광영역은 대전롤러(16)에 의해 대전된 대전전위가 그대로 유지되는 반면, 화상영역, 즉 노광된 노광영역의 전위는 노광되기 전에 비해 작아진다. 여기서, 노광장치로는 레이저 빔 프린터에 있어서는 레이저 스캐너 유니트(LSU : Laser Scanner Unit)가 사용되고, 복사기에 있어서는 원고스캐너가 사용될 수 있다.The
현상롤러(12)는 전원공급부로부터 정(+)의 현상바이어스전압에 의해 정(+)의 전위를 갖게 된다. 그리고, 공급롤러(20a)로부터 공급되는 현상제는 현상롤러(12)상에 정(+)의 현상전위를 가지게 되고 현상롤러(12)의 회전에 따라 현상영역으로 이동하게 된다. 여기서, 현상영역은 현상롤러(12)의 표면에 도포된 현상제가 감광드럼(10)의 표면으로 이동함으로써 현상이 이루어지는 현상롤러(12)와 감광드럼(10) 상의 영역을 말한다.The developing
이와 같이 현상영역으로 이동된 현상제는 노광전위와 현상전위간의 전위차에 의해 감광드럼(10) 상의 노광영역 즉, 정전잠상이 형성된 영역으로 이동하여 부착됨으로써 현상이 이루어짐으로써, 감광드럼(10)의 표면에 형성된 정점잠상이 가시상으로 전환된다.The developer moved to the developing region as described above is developed by moving to the exposure region on the
감광드럼(10)의 표면에 형성된 정전잠상 영역에 도포된 현상제는 전사롤러(14)에 의해 인쇄용지(40)에 옮겨짐으로써 전사가 이루어진다. 이 때 기록용지(40)에 전사된 현상제는 가압롤러(24a)와 히트롤러(24b)로 이루어지는 정착기(24)의 압력 및 열에 의해 인쇄용지(40) 상에 정착된다.The developer applied to the electrostatic latent image area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현상제공급수단은 프린트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현상롤러(12)의 표면에 현상제가 도포될 수 있도록 현상롤러(12)에 현상제를 공급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상제공급수단은 현상롤러(12)와 일정 거리 이격 배치되며 현상제를 수용 저장하는 현상제저장탱크(28)와, 현상제저장탱크(28)로부터 현상제를 공급받아 현상롤러(12)의 표면에 현상제를 도포하는 공급롤러(20a)와, 현상제저장탱크(28)에 저장된 현상제가 공급롤러(20a)로 공급되도록 펌핑롤러구동부(38)에 의해 구동되는 펌핑롤러(20b)를 포함한다.The developer supply means supplies the developer to the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현상롤러(12)의 표면에 도포된 현상제의 량을 규제하는 규제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규제수단으로 규제롤러(18)가 사용되는 것을 일 예로 하고 있으나, 막대형상 등으로 마련될 수 있음은 물론이며, 여기서, 규제롤러(18)는 현상롤러(1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The image form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regulating means for regulating the amount of the developer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developing
규제롤러(18)는 공급롤러(20a)에 의해 적정두께의 현상제층을 형성할 수 있는 현상제량보다 많은 양의 현상제가 부착되는 현상롤러(12)가 적정두께의 현상제층이 형성될 수 있는 현상제량이 되도록 한다. 즉, 규제롤러(18)는 공급롤러(20a)에 의해 현상롤러(12)에 적정량 보다 많은 양의 현상제가 부착되면 이를 적절히 제거하여 적정두께의 현상제층이 현상롤러(12)에 형성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The
도 2에 도시된 미설명 참조번호 26은 전사과정을 거친 후 감광드럼(10)에 잔류하는 현상제를 제거하기 위한 제거블레이드이고, 미설명 참조번호 30은 제거블레이드(26)에 의해 제거된 잔류 현상제가 저장되는 잔류현상제저장탱크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급롤러(20a)와 현상롤러(12) 사이에 흐르는 전류를 검출하는 전류검출부(32)와, 전류검출부(32)에 의해 검출된 전류량에 대응하여 펌핑롤러(24b)의 구동속도를 제어하는 제어부(36)를 포함한다.On the other hand, the image form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3, by the
전류검출부(32)는, 펌핑롤러(24b)의 구동에 의해 현상제저장탱크(28)의 현상제가 공급롤러(20a) 공급되고 이렇게 공급된 현상제가 공급롤러(20a)에 의해 현상롤러(12)로 공급되었을 때 공급롤러(20a)와 현상롤러(12) 사이에 흐르는 전류량을 검출하도록 마련된다. In the
여기서, 전류검출부(32)에 의해 검출된 공급롤러(20a)와 현상롤러(12) 사이에 흐르는 전류량은, 현상롤러(12)로 공급되는 현상제의 양을 조절하는 기준이 된다. 즉 전류검출부(32)에 의해 검출된 공급롤러(20a)와 현상롤러(12) 사이에 흐르는 전류량에 따라 펌핑롤러(20b)의 구동속도를 증가 또는 감소시켜 현상롤러(12)로 공급되는 현상제를 증가 또는 감소시키게 되는 것이다.Here, the amount of current flowing between the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전류검출부(32)에 의해 검출된 공급롤러(20a)와 현상롤러(12) 사이에 흐르는 전류량과 소정의 기준전류량을 비교하는 전류량비교부(34)를 더 포함한다. In addition, the image form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current
전류량비교부(34)는 전류검출부(32)에 의해 검출된 공급롤러(20a)와 현상롤러(12) 사이에 흐르는 전류량과 소정의 기준전류량을 비교하여 신호를 출력할 수 있으며, 여기서, 기준전류량은 현상롤러(12)에 부착되는 적정 현상제량의 농도에 대응하는 전류량으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현상롤러(12)에 부착되는 적정 현상제량이란 공급롤러(20a)에 의해 우선 많은 양의 현상제가 현상롤러(12)에 공급된 후 규제롤러(18)에 의해 적절하게 제거되고 현상롤러(12)에 남은 현상제량을 의미한다. 즉 여기서 적정현상제량이란 도 5a의 C 구간에 해당하는 양이다. The current
제어부(36)는 전류량비교부(34)로부터의 신호에 대응하여 펌핑롤러(20b)의 구동속도가 가변되도록 펌핑롤러구동부(38)를 제어한다. 즉, 제어부(36)는 전류량비교부(34)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현상롤러(12)로 공급되는 현상제의 양을 결정하고, 결정된 결과에 따라 현상롤러(12)로 공급되는 현상제의 양을 증가 또는 감소시킬 수 있도록 펌핑롤러구동부(38)를 제어하여 펌핑롤러(20b)의 구동속도를 증가 또는 감소시키게 되는 것이다. The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접촉현상방식의 현상롤러(12)를 갖는 화상형성장치의 제어과정을, 도 2 내지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With the above configuration, the control process of the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developing
여기서, 도 5a의 A선은 종래에 따른 공급롤러(20a)에 의해 우선 많은 양의 현상제가 현상롤러(12)에 공급된 후 규제롤러(18)에 의해 적절하게 제거되고 현상롤러(12)에 남은 현상제량과 농도 간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5a의 A'선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급롤러(20a)에 의해 우선 많은 양의 현상제가 현상롤러(12)에 공급된 후 규제롤러(18)에 의해 적절하게 제거되고 현상롤러(12)에 남은 현상제량과 농도 간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이며, 도 5a의 C선은 현상롤러(12)에 적절하게 부착될 수 있는 적정현상제량 구간을 나타낸 직선이다. Here, the line A in FIG. 5A is first supplied with a large amount of developer to the developing
또한, 도 5b의 B선은 종래에 따른 펌핑롤러(20b)에 의해 공급롤러(20a)에 공급된 현상제량과 농도 간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5b의 B'선은 본 발명에 따른 펌핑롤러(20b)에 의해 공급롤러(20a)에 공급된 현상제량과 농도 간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5B is a graph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eveloper amount and the concentration supplied to the
먼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상형성장치에 프린트명령이 입력되면(S10) 제어부(36)가 펌핑롤러구동부(38)에 전원을 인가하여 펌핑롤러(20b)를 구동시킴에 따라 현상제저장탱크(28) 내에 현상제가 펌핑롤러(20b)에 의해 공급롤러(20a)로 공급되며 이 공급롤러(20a)가 현상제를 현상롤러(12)로 공급하게 되는 이때 전류검출부(32)가 공급롤러(20a)와 현상롤러(12) 사이에 흐르는 전류량을 검출한다(S12).First, as shown in FIG. 4, when a print command is input to the image forming apparatus (S10), the
그런 다음, 전류량비교부(34)는 전류검출부(32)에 의해 검출된 전류량과 기준전류량을 비교하고(S14, S16), 신호를 출력하여 제어부(36)에 전달한다.Then, the current
여기서 제어부(36)는 전류량비교부(34)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펌핑롤 러구동부(38)를 제어하여 펌핑롤러(20b)의 구동속도를 조절한다. 예컨대 제어부(36)는 전류량비교부(34)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공급롤러(20a)와 현상롤러(12) 사이에 흐르는 전류량이 기준전류량 보다 작은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S14), 즉, 공급롤러(20a)에 의해 현상롤러(12)로 공급되는 현상제량이 감소하였기 때문에 규제롤러(18)에 의해 규제된 후 현상롤러(12)에 부착된 현상제량이 기준전류량에 대응하는 적정 현상제량(도 5의 C 그래프 구간에 해당하는 현상제량)보다 작다고 평가되는 경우, 공급롤러(20a)에 의해 현상롤러(12)로 공급되는 현상제량을 증가시키기 위해 펌핑롤러구동부(38)를 제어하여 공급롤러(20a)로 현상제저장탱크 내에 현상제를 공급하는 펌핑롤러(20B)의 구동속도가 증가되도록 한다(S18).Here, the
제어부(36)는 전류량비교부(34)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검출된 공급롤러(20a)와 현상롤러(12) 사이에 흐르는 전류량이 기준전류량 보다 큰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S16), 즉, 공급롤러(20a)에 의해 현상롤러(12)로 공급되는 현상제량이 증가하였기 때문에 규제롤러(18)에 의해 규제된 후 현상롤러(12)에 부착된 현상제량이 기준전류량에 대응하는 적정 현상제량(도 5의 C 그래프 구간에 해당하는 현상제량)보다 크다고 평가되는 경우, 공급롤러(20a)에 의해 현상롤러(12)로 공급되는 현상제량을 감소시키기 위해 펌핑롤러구동부(38)를 제어하여 공급롤러(20a)로 현상제저장탱크 내에 현상제를 공급하는 펌핑롤러(20b)의 구동속도가 감소되도록 한다(S20).The
한편, 제어부(36)는 전류량비교부(34)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검출된 공급롤러(20a)와 현상롤러(12) 사이에 흐르는 전류량이 기준전류량과 동일하거나 소정 의 편차범위 내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즉, 규제롤러(18)에 의해 규제된 후 현상롤러(12)에 부착된 현상제량이 기준전류량에 대응하는 적정 현상제량(도 5의 C 그래프 구간에 해당하는 현사제량)과 동일하거나 소정의 편차 범위 내라고 평가되는 경우, 펌핑롤러구동부(387)를 제어하여 현재 펌핑롤러(20b)의 구동속도를 유지하도록 한다(S22).Meanwhile, the
그런 다음, 화상형성장치는 대전, 노광, 현상, 전사 및 정착 등의 과정을 통해 인쇄용지(40)를 인쇄하게 된다.Then, the image forming apparatus prints the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공급롤러(20a)와 현상롤러(12) 사이에 흐르는 전류량에 기초하여 펌핑롤러(20b)의 구동속도가 제어됨으로써, 사용할 수 있는 많은 현상제 잔량이 현상제저장탱크(28) 내에 존재함에도 현상농도가 영향을 받음에 따라 현상제를 새로 교체하였던 종래와는 달리, 본 발명에서는 현상농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을 정도로 현상제저장탱크(28)내에 최소한의 현상제가 잔존할 때까지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in the image form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riving speed of the pumping
한 예로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에는 공급롤러(20a)에 의해 우선 많은 양의 현상제가 현상롤러(12)에 공급된 후 규제롤러(18)에 의해 적절하게 제거되고 현상롤러(12)에 남은 현상제량과 농도 간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인 A선에 있어서 현상제저장탱크 (28)내의 현상제농도가 7%인 시점에서 적정현상제량 구간 C를 벗어나게 되는데 반해, 본 발명은 공급롤러(20a)에 의해 우선 많은 양의 현상제가 현상롤러(12)에 공급된 후 규제롤러(18)에 의해 적절하게 제거되고 현상롤러(12)에 남은 현상제량과 농도 간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인 A'선에 있어서 현상제저장탱크(28) 내의 현상제농도가 3%인 시점에서 적정현상제량 구간 C를 벗어나게 된다.As an example, as shown in FIG. 5A, conventionally, a large amount of developer is first supplied to the developing
즉, 이는 종래에는 현상제저장탱크(20) 내의 현상제농도가 7% 이하에서 현상롤러(12)에 부착된 현상제량이 적정현상제량 구간 C를 벗어나게 되어 실질적으로 인쇄물의 현상농도가 흐려짐에 영향을 주게 됨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실질적으로 현상제저장탱크(20) 내에 현상제의 농도가 7% 이하로 떨어지게 되면 새 현상제로 교체하여야 하는 것이다. That is, in the related art, when the developer concentration in the
이에 반해, 본 발명에서는 현상제저장탱크(20) 내의 현상제농도가 3% 이하가 되어야만 현상롤러(12)에 부착된 현상제량이 적정현상제량 구간 C를 벗어나게 되어 실질적으로 인쇄물의 현상농도가 흐려짐에 영향을 주게 됨을 확인할 수 있으므로, 종래 보다 현상제저장탱크(20) 내에 잔존하는 현상제량이 최소화 된 상태까지 새 현상제로 교체하지 않고 경제적으로 현상제를 소모시킬 수 있는 것이다.In contrast,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developer concentration in the
이는 도 5b에서도 확인할 수 있는데, 종래에 따른 펌핑롤러(20b)에 의해 공급롤러(20a)에 공급된 현상제량과 농도 간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인 B선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종래에는 현상제저장탱크(28) 내의 현상제가 7%가 될 때 까지는 사용가능하나, 본발명에 따른 펌핑롤러(20b)에 의해 공급롤러(20a)에 공급된 현상제량과 농도 간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인 B'선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현상제저장탱크(28) 내의 현상제가 3%가 될 때 까지 사용가능 한 것이다. This can be confirmed in FIG. 5B, which is a developer storage tank in the related art, as can be seen from line B, which shows a relationship between the developer amount and the concentration supplied to the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가 현상롤러(12), 감광드럼 등과 같이 롤러 형상의 현상기 및 감광체를 구비하는 것을 설명하고 있으나, 현 상벨트나 감광벨트 등과 같은 형태로 마련될 수 있음은 물론이며, 다른 롤러 또한 롤러 이외의 형상을 가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lthough the image form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roller-shaped developer and a photosensitive member, such as a developing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현상제의 경제적인 소모가 가능하므로, 소모품인 현상제의 유지비용을 절약할 수 있어 제품경쟁력이 우수한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developer can be economically consumed, the maintenance cost of the developer, which is a consumable, can be saved, and an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excellent product competitiveness can be provided.
Claims (7)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30048804A KR100541443B1 (en) | 2003-07-16 | 2003-07-16 | Image form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030048804A KR100541443B1 (en) | 2003-07-16 | 2003-07-16 | Image form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050009476A KR20050009476A (en) | 2005-01-25 |
| KR100541443B1 true KR100541443B1 (en) | 2006-01-10 |
Family
ID=37222202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030048804A Expired - Fee Related KR100541443B1 (en) | 2003-07-16 | 2003-07-16 | Image form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0541443B1 (en) |
-
2003
- 2003-07-16 KR KR1020030048804A patent/KR100541443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050009476A (en) | 2005-01-25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JP7009918B2 (en) | Developing equipment and image forming equipment | |
| JP2009042738A (en) | Image forming apparatus | |
| US7844200B2 (en) |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a pre-exposure light control feature | |
| EP2128714B1 (en) | Image forming apparatus | |
| JP2000039819A (en) | Image forming device | |
| US8488985B2 (en) | Image forming apparatus and method for applying transfer voltage in the image forming apparatus | |
| US12393150B2 (en) |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blurring supression | |
| US12124187B2 (en) | Image forming apparatus capable of executing speed reduction control of system linear speed at time of warming-up | |
| JP4416045B2 (en) | Image forming method | |
| JP2005031443A (en) | Image forming apparatus | |
| JP4363035B2 (en) | Image forming apparatus | |
| KR100541443B1 (en) | Image form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 JP4277498B2 (en) | Image forming apparatus | |
| JP2007086660A (en) | Image forming apparatus | |
| JP7413744B2 (en) | Image forming device | |
| JP2021096275A (en) | Image forming apparatus | |
| JP2021071539A (en) | Image forming apparatus | |
| JP4560354B2 (en) | Image forming apparatus | |
| JP2007057772A (en) | Development system | |
| JP4269617B2 (en) | Image forming apparatus | |
| JP5013920B2 (en) | Developer supply device, image forming device | |
| JP4238550B2 (en) | Image forming apparatus and method | |
| JPH05188783A (en) | Image forming device | |
| JP4776979B2 (en) | Image forming apparatus | |
| JP4349051B2 (en) | Image forming apparatus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1-asn-PN2301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1-asn-PN2301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1129 Year of fee payment: 8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8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1128 Year of fee payment: 9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9 |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141230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41230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