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378355B1 - 강유전성 액정표시소자 - Google Patents

강유전성 액정표시소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78355B1
KR100378355B1 KR10-2000-0028852A KR20000028852A KR100378355B1 KR 100378355 B1 KR100378355 B1 KR 100378355B1 KR 20000028852 A KR20000028852 A KR 20000028852A KR 100378355 B1 KR100378355 B1 KR 1003783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crystal
layer
crystal display
display device
alignment lay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288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107375A (ko
Inventor
박관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0-00288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78355B1/ko
Publication of KR200101073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073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783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78355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7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characterised by the electro-optical or magneto-optical effect, e.g. field-induced phase transition, orientation effect, guest-host interaction or dynamic scattering
    • G02F1/139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characterised by the electro-optical or magneto-optical effect, e.g. field-induced phase transition, orientation effect, guest-host interaction or dynamic scattering based on orientation effects in which the liquid crystal remains transparent
    • G02F1/14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characterised by the electro-optical or magneto-optical effect, e.g. field-induced phase transition, orientation effect, guest-host interaction or dynamic scattering based on orientation effects in which the liquid crystal remains transparent using ferroelectric liquid crysta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7Surface-induced orientation of the liquid crystal molecules, e.g. by alignment layers
    • G02F1/13378Surface-induced orientation of the liquid crystal molecules, e.g. by alignment layers by treatment of the surface, e.g. embossing, rubbing or light irradiation
    • G02F1/133784Surface-induced orientation of the liquid crystal molecules, e.g. by alignment layers by treatment of the surface, e.g. embossing, rubbing or light irradiation by rubbing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9Gaskets; Spacers; Sealing of cells
    • G02F1/13394Gaskets; Spacers; Sealing of cells spacers regularly patterned on the cell subtrate, e.g. walls, pilla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09G3/3611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 G09G3/3648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using an active matrix
    • G09G3/3651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using an active matrix using multistable liquid crystals, e.g. ferroelectric liquid crysta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액정표시소자가 개시된다. 액정표시소자는 하부기판, 하부 전극층, 하부 배향막, 액정층, 상부 배향막, 상부 전극층, 상부 기판이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있고, 액정층은 강유전성 액정으로 채워져 있고, 상부 및 하부 배향막 사이에는 배향막과 나란한 평면상에서 강유전성 액정의 장축이 그 일단을 중심으로 소정의 전계인가 유무에 따라 선회할 때 액정의 타단이 전계 인가 전과 전계 인가 후에 각각 위치되는 점을 연결하는 직선과 나란한 복수의 열을 따라 형성된 스페이서를 구비한다. 이러한 액정표시소자는 전계 인가에 따른 액정의 선회방향을 고려하여 누설광이 억제되도록 스페이서들을 배열시킴으로써 배향결함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페이서 배열 방향과 대응되는 위치상에 블랙메트릭스를 형성시킴으로써, 콘트라스트저하를 억제시킬 수 있다. 특히 스페이서를 본 발명에 따른 배열방향을 따라 스트라입형태의 격벽으로 형성시킬 경우 누설광을 보다 효과적으로 억제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강유전성 액정표시소자{Liquid crystal display}
본 발명은 강유전성 액정표시소자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스페이서 배열구조가 개선된 강유전성 액정표시소자에 관한 것이다.
강유전성 액정은 트위스티드 네마틱형(twisted nematic) 액정과는 다르게 자발분극을 갖고, 응답속도도 500배 이상 빠르다. 또한, 강유전성 액정은 액정층 상하에서 인가되는 전계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서 일점을 기준으로 선회됨으로써 CRT에 가까운 시야각을 제공하며, 구동전압이 낮은 장점이 있다. 즉, 전계가 인가되지 않을 때는 액정들이 배향막과 나란한 평면상에서 일정한 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배열되고, 전계가 인가되면 그 장축이 일점을 기준으로 소정각도로 선회한다.
이러한 강유전성 액정은 알려진바와 같이 고온에서 저온으로 온도가 변화될 때 등방성(ISO)-콜레스틱*(cholestic*)-에스시(Sc*) 단계로 상전이가 이루어진다. 강유전성 액정은 높은 콘트라스트를 얻기 위해 액정이 채워지는 액정층의 갭을 통상 15μm정도로 유지시킨다. 강유전성 액정층의 갭을 원하는 두께로 유지하기 위해 볼형태의 스페이서 또는 스트라이프형 격벽을 액정층과 대하는 상부 및 하부 배향막 사이에 설치한다.
종래의 강유전성 액정표시소자에서 스페이서들은 배향막의 러빙방향과 평행하게 정방형으로 설치하였고, 이러한 스페이서 배열방법은 문서(일본 액정학회 98년도 예고집 206p. Liquid Crystal 1997 vol 23, 43)에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강유전성 액정은 전계 인가에 따라 배향막과 나란한 평면상에서 그 장축이 선회하면서 형성되는 콘각의 중심선과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누설광이 발생하고 종래의 스페이서 배열구조는 이러한 누설광을 억제시킬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서 창안된 것으로서, 강유전성 액정의 구동에 의한 누설광을 억제시켜 콘트라스트를 향상시킬 수 있는 강유전성 액정표시소자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강유전성 액정표시소자를 나타내보인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페이서 배열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보인 평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페이서 배열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보인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강유전성 액정표시소자의 인가전압에 대한 광투과특성을 나타내보인 그래프이고,
도 5는 종래의 강유전성 액정표시소자의 스페이서 배열구조에 의한 광누설을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제1편광판 2: 하부기판
3: 하부 전극층 4: 하부배향막
5: 액정층 6: 상부배향막
7: 상부전극층 8: 상부기판
9: 제2편광판 11a: 볼스페이서
11c: 제1스트라입형 격벽 11d: 제2 스트라입형 격벽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르면, 하부기판, 하부 전극층, 하부 배향막, 액정층, 상부 배향막, 상부 전극층, 상부 기판이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있고, 상기 액정층의 갭을 유지하기 위해 상기 하부 배향막과 상부 배향막 사이에 설치된 복수의 스페이서를 구비하는 액정표시소자에 있어서, 상기 액정층은 강유전성 액정으로 채워져 있고, 상기 스페이서들은 상기 배향막과 나란한 평면상에서 상기 강유전성 액정의 장축이 그 일단을 중심으로 소정의 전계인가 유무에 따라 선회할 때 액정의 타단이 전계 인가 전과 전계 인가 후에 각각 위치되는 점을 연결하는 직선과 나란한 복수의 열을 따라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페이서들은 상기 열과 소정각도로 교차하는 제1방향과 나란한 방향에서 상호 일렬로 정렬되도록 배치된다. 상기 제1방향은 상기 하부 배향막의 러빙방향과 일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크로스톡을 방지하기 위해 상부 및 하부 기판 사이의 소정 영역상에 설치되는 블랙메트릭스의 패턴은 상기 스페이서의 배열방향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강유전성 액정표시소자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액정표시소자를 나타내보인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액정표시소자는 제1편광판(1), 하부기판(2), 하부전극층(3), 하부 배향막(4), 액정층(5), 상부배향막(6), 상부전극층(7), 상부 기판(8), 제2편광판(9)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구조를 갖고 있다.
하부배향막(4)과 상부배향막(6) 사이에는 액정층(5)의 셀갭을 유지시키기 위한 스페이서(11a)가 다수 설치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스페이스서 배열구조를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배향막(4) 위에 복수의 볼 스페이서(11a)가 규칙적으로 배열되어 있다.
하부 배향막(4)은 S방향을 따라 상호 나란하게 러빙처리되어 있다. 강유전성 액정(5a)은 전계를 인가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일정한 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특성을 갖는다. 강유전성 액정(5a)이 전계를 인가하지 않았을 때 배향막(4)상에 배열되는 방향은 그 종류에 따라 차이가 있고, 통상적으로 배향막(4)의 러빙방향(S) 또는 러빙방향(S)과 5도 이내의 범위 내로 그 장축(5b)이 경사지게 배열된다. 여기서 장축(5b)은 통상적으로 막대형태를 갖는 액정(5a)의 길이방향 축을 가르킨다.
강유전성 액정(5a)은 전계를 인가하면 그 일단을 기준으로 배향막(4)과 나란한 평면상에서 그 장축(5b)이 회동된다.
도면에서 일점쇄선으로 표시된 직선(12)은 일점을 기준으로 전계 인가시 회동되는 액정(5a) 타단의 전계 인가전 위치와 전계 인가후 위치를 연결한 것으로서, 상기 직선(12)과 나란한 방향을 따라 본 발명의 스페이서(11a)가 배열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스페이서(11a)들은 상기 직선(12) 방향과 나란한 방향 즉, P방향과 나란한 방향을 따라 열을 지어 배치된다. 도면에서 참조부호 an-1, an, an+1은 각각 본 발명의 스페이서 배열방법에 따라 n-1번째, n번째, n+1번째 열을 따라 배열된 볼스페이서(11a)들을 연결한 선이다. 바람직하게는 열 상호간의 간격은 등간격으로 한다.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열을 따라 배열된 스페이서(11a)들은 열방향(P방향)과 소정각도로 교차하는 제1방향과 나란한 방향에서도 상호 일렬로 정렬되도록 배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방향은 러빙방향(S방향)으로 결정한다. 도면에서 참조부호 bn-1, bn, bn+1은 각각 본 발명의 스페이서 배열방법에 따라 러빙방향(s방향)에 대해 일렬로 정렬된 스페이서들의 n-1번째, n번째, n+1번째 행을 나타낸다. 바람직하게는 행 상호간의 간격은 등간격으로 한다.
도면에서 γ는 전계가 인가되지 않은 상태에서 액정(5a)의 장축(5b)과 러빙방향(S)과 이루는 각도이고, α는 전계인가 전과 전계 인가 후에 액정(5a)이 일점을 기준으로 변위될 때 형성되는 콘각이고, β는 열 방향(P방향)과 전계 인가전 액정(5a)의 장축(5b)이 이루는 각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스페이서의 배치위치를 결정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먼저 전계를 인가하지 않은 상태에서 적용대상 강유전성 액정(5a)을 일방향으로 러빙처리된 하부 배향막(4) 위에 올려놓았을 때 상호 나란하게 배열된 액정들의 장축(5b)방향을 찾는다.
다음은 소정의 구동전압을 인가한 후 액정(5a)의 선회에 의해 발생되는 콘각(α)을 구한다. 그리고 앞에서 얻는 콘각(α)을 이용하여 산술식(β=(π-α)/2)에 의해 β를 구한다.
스페이서(11a)들을 배치하기 위한 열방향은 전계 인가전 액정(5a)의 장축(5b)방향과 β각도만큼 어긋난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결정된다. 러빙방향(S)을 기준으로 할 때 상기 열의 방향은 러빙방향(S)에 대해 β+γ 각도만큼 어긋난 방향이 된다.
이렇게 구한 열의 방향과 나란한 방향을 따라 볼 스페이서(11a)를 소정간격 이격되게 배치하면 된다. 또한, 각 열을 따라 배치되는 스페이서(11a)들은 러빙방향(S)과 나란한 방향에서도 상호 일렬로 정렬되도록 그 위치를 결정하면된다.
한편, 볼스페이서(11a)를 사용하지 않고, 스트라입형태로 연장된 격벽으로 스페이서를 제작하는 경우에는 도 2의 볼스페이서(11a)들을 열과 행방향에서 상호 연결한 선과 대응되는 위치상에 각각 제1 스트라입형 격벽들과, 제2 스트라입형 격벽들을 형성하면 된다. 도 2의 볼 스페이서(11a) 배열구조와 대응되게 스트라입형 격벽으로 형성된 스페이서의 예가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도 3에서 참조부호 11c는 본 발명에 따라 결정된 열방향을 따라 배열된 제1스트라입형 격벽이고, 11d는 본 발명에 따라 결정된 열방향과 소정각도로 경사진 제1방향을 따라 배열된 제2 스트라입형 격벽이다. 참조부호 Cn-1, Cn, Cn+1는 an-1, an, an+1열과 대응되는 위치상에 형성된 제1 스트라입형 격벽들을 나타내고, dn-1, dn, dn+1는 bn-1, bn, bn+1행과 대응되는 위치상에 형성된 제2 스트라입형 격벽들이다.
한편, 크로스톡을 방지하기 위해 상부 및 하부 기판(8)(2) 사이의 소정 영역상에 설치되는 블랙메트릭스(미도시)의 패턴은 상기 스페이서(11a)(11c)(11d)의 배열방향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같이 블랙메트릭스가 본 발명에 따른 스페이서 배열방향을 따라 메트릭스상으로 형성되면 원하지 않는 광의 누설을 보다 안정적으로 억제시킬 수 있다.
이러한 스페이서 배치구조를 갖는 액정표시소자를 제작한 예를 이하에서 설명한다.
< 제1실시예 >
상부 및 하부 전극(7)(3)위에 포토레지스터를 사용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배열방향을 따라 도트형태로 볼 스페이서(11a)를 상부 및 하부 기판(8)(2)에 각각 형성시킨다. 이후, 볼 스페이서(11a)가 부착된 기판(8)(2)에 폴리이미드계 배향제(RN1199)를 스핀코팅하고, 80℃에서 5분동안 1차 소성한 다음 180℃에서 1시간동안 2차소성한다. 이렇게 만들어진 상부 및 하부 기판(8)(2)을 상호 접착시킨다. 상호 접착된 상부 및 하부기판(8)(2) 사이에 형성된 셀내에 120℃에서 자발분극을 갖는 강유전성 액정(RO319; ISO-cholestic-Sc; TNC=64℃)을 주입한 후, 콜레스틱에서 에스시(Sc)로의 상전이 온도(TNC=64℃)보다 2℃ 높은 66℃에서 직류전압을 3볼트 인가한 상태에서 분당 1℃의 냉각속도로 냉각하여 배향을 하였다. 배향된 액정의 광축(전계 인가전 액정의 장축방향)은 러빙방향과 일치하였고, 제1편광판(1)은 그 광축이 하부배향막(4)의 러빙방향과 일치하게 하부기판(2)에 부착하고, 제2편광판(9)은 그 광축이 상부 배향막(6)의 러빙방향과 직교하게 상부기판(8)에 부착시켜 액정표시소자를 완성하였다.
이렇게 하여 제조된 액정표시소자의 전기광학특성을 측정한 결과가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통해 알수 있듯이 인가 전압레벨에 따라 투과율이 변한다.또한, 구동 주파수를 0.1-60Hz범위로 60분을 주기로 하여 반복한 결과, 볼스페이서(11a)의 지름크기에 해당하는 광누설선이 간헐적으로 보였으나, 볼스페이서(11a)들이 배열방향을 따라 대응되게 상부 및 하부 기판(8)(2)사이에 형성시킨 블랙메트릭스에 의해 콘트라스트는 저하되지 않았다. 구동결과, 응답속도는 250μs였으며 콘트라스트는 200이상으로 나타났다. 시야각은 상하 좌우 각각 150도 이상이었다.
< 실시예 2 >
스페이서 모양만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격벽 형태로 제작한 후 나머지 공정은 앞서 실시예1과 동일하게 하여 액정표시소자를 제작하였다. 그 결과 광누설에 의한 상의 결함은 전혀 발생되지 않았다. 결과적으로 상호 이격된 볼스페이서보다 격벽형태로 연장된 스페이서가 누설광을 보다 효과적으로 억제시킴을 알 수 있다.
< 비교예 1>
스페이서의 위치를 종래방법 즉 본 발명에 따라 결정되는 열의 방향과는 다른 각도에서 러빙방향만을 따라 임의적으로 배열되게 기판상에 형성시킨 다음 실시예1의 후속공정과 동일한 방법으로 액정표시소자를 제작하였다. 제작된 소자에 대해 실시예1과 동일한 조건에서 구동시킨 결과 도 5에서과 같이 화살표(f)로 표기된 사선방향을 따라 누설광들에 의한 결함선들이 보였다. 또한 콘트라스트도 실시예1보다 120:1로 저하되었다.
지금까지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액정표시소자는 전계 인가에 따른 액정의 선회방향을 고려하여 누설광이 억제되도록 스페이서들을 배열시킴으로써 배향결함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페이서 배열 방향과 대응되는 위치상에 블랙메트릭스를 형성시킴으로써, 콘트라스트저하를 억제시킬 수 있다. 특히 스페이서를 본 발명에 따른 배열방향을 따라 스트라입형태의 격벽으로 형성시킬 경우 누설광을 보다 효과적으로 억제시킬 수 있다.

Claims (6)

  1. 하부기판, 하부 전극층, 하부 배향막, 액정층, 상부 배향막, 상부 전극층, 상부 기판이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있고, 상기 액정층의 갭을 유지하기 위해 상기 하부 배향막과 상부 배향막 사이에 설치된 복수의 스페이서를 구비하는 액정표시소자에 있어서,
    상기 액정층은 강유전성 액정으로 채워져 있고,
    상기 스페이서들은 상기 배향막과 나란한 평면상에서 상기 강유전성 액정의 장축이 그 일단을 중심으로 소정의 전계인가 유무에 따라 선회할 때 액정의 타단이 전계 인가 전과 전계 인가 후에 각각 위치되는 점을 연결하는 직선과 나란한 복수의 열을 따라 형성된 것으로,
    소정간격을 두고 상기 열들을 따라 각각 연속적으로 형성된 복수의 제1스트라입형 격벽과;
    상기 열과 소정각도로 교차하는 제1방향과 나란하게 소정간격을 두고 각각 연속적으로 형성된 복수의 제2스트라입형 격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소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들은 상기 열방향과 소정각도로 교차하는 제1방향과 나란한 방향에서 상호 일렬로 정렬되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소자.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방향은 상기 하부 배향막의 러빙방향과 일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소자.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들은 상기 열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형성된 볼 스페이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소자.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및 하부 기판사이의 소정영역에 상기 스페이서의 배열방향과 대응되는 위치에 블랙메트릭스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소자.
KR10-2000-0028852A 2000-05-27 2000-05-27 강유전성 액정표시소자 Expired - Fee Related KR1003783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8852A KR100378355B1 (ko) 2000-05-27 2000-05-27 강유전성 액정표시소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8852A KR100378355B1 (ko) 2000-05-27 2000-05-27 강유전성 액정표시소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7375A KR20010107375A (ko) 2001-12-07
KR100378355B1 true KR100378355B1 (ko) 2003-03-29

Family

ID=196705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28852A Expired - Fee Related KR100378355B1 (ko) 2000-05-27 2000-05-27 강유전성 액정표시소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7835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5502B1 (ko) * 2000-08-25 2007-05-08 하홍주 평면광원 구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63952B2 (ja) * 2006-12-25 2012-06-27 エルジー ディスプレイ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強誘電性液晶を使用した液晶表示素子の製造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39460A (ko) * 1996-11-27 1998-08-17 손욱 강유전성 액정표시패널 및 그 제조방법
KR100227692B1 (ko) * 1995-09-06 1999-11-01 니시무로 타이죠 액정표시소자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27692B1 (ko) * 1995-09-06 1999-11-01 니시무로 타이죠 액정표시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19980039460A (ko) * 1996-11-27 1998-08-17 손욱 강유전성 액정표시패널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5502B1 (ko) * 2000-08-25 2007-05-08 하홍주 평면광원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7375A (ko) 2001-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071266B2 (ja) 液晶装置の製造方法
JP4362250B2 (ja) 液晶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US5479282A (en) Liquid crystal display of multi-domain structure
US6750934B2 (en) Active-matrix liquid crystal display
US8023095B2 (en) Manufacturing method of liquid crystal display
KR20020078897A (ko) 강유전성 액정 표시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20110046130A (ko) 액정 표시 패널
KR100378355B1 (ko) 강유전성 액정표시소자
JPH09127495A (ja) 液晶表示装置
JPH0836169A (ja) 液晶表示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050049656A (ko) 액정표시패널 및 그 제조방법
KR100695304B1 (ko) 강유전성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JP2002156642A (ja) 液晶表示装置とその製造方法及び液晶表示方法
JP2001324715A (ja) 液晶表示素子
KR102821382B1 (ko) 마이크로 디스플레이 장치의 액정 표시 소자 및 제조 방법
JP4656526B2 (ja) 液晶電気光学装置
JP3086992B2 (ja) 強誘電性液晶素子
JP3329721B2 (ja) 液晶表示装置
JP2001255524A (ja) 液晶表示素子
KR0159130B1 (ko) 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GB2332770A (en) Liquid crystal display and driving method
JP2984496B2 (ja) 液晶表示素子
KR100839368B1 (ko) 액정 표시 소자
KR19980039460A (ko) 강유전성 액정표시패널 및 그 제조방법
KR20110066727A (ko) 액정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1-asn-PN2301

AMND Amendment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St.27 status event code: N-2-6-B10-B15-exm-PE0601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PJ0201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3-3-V10-V11-apl-PJ02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AMND Amendment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PB0901 Examination by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St.27 status event code: A-6-3-E10-E12-rex-PB0901

B701 Decision to grant
PB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St.27 status event code: A-3-4-F10-F13-rex-PB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4-asn-PN230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8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3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7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3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4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180319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803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