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ercent-encoding(퍼센트 인코딩)
Percent-encoding 은 URL 맥락에서 특정 의미를 갖는 8비트 문자로 인코딩하는 메커니즘입니다. URL 인코딩이라고도 합니다. 인코딩은 '%' 다음에 변경할 문자를 ASCII 값으로 표현되는 16진수가 위치하는 대체 문자열로 구성됩니다.
인코딩이 필요한 특수문자는 ':', '/', '?', '#', '[', ']', '@', '!', '$', '&', "'", '(', ')', '*', '+', ',', ';', '=' 그리고 '%' 그 자체입니다. 다른 문자는 인코딩 할 수 있지만 인코딩을 할 필요는 없습니다.
| 문자 | 인코딩 | 
|---|---|
| ':' | %3A | 
| '/' | %2F | 
| '?' | %3F | 
| '#' | %23 | 
| '[' | %5B | 
| ']' | %5D | 
| '@' | %40 | 
| '!' | %21 | 
| '$' | %24 | 
| '&' | %26 | 
| "'" | %27 | 
| '(' | %28 | 
| ')' | %29 | 
| '*' | %2A | 
| '+' | %2B | 
| ',' | %2C | 
| ';' | %3B | 
| '=' | %3D | 
| '%' | %25 | 
| ' ' | %20or+ | 
문맥에 따라 문자 ' '는 application/x-www-form-urlencoded 메시지에서 사용된 것과 같은 퍼센트 인코딩처럼 '+'로 변환되며 URL에서는 '%20'으로 변환됩니다.
같이 보기
- 위키피디아 퍼센트 인코딩의 정의
- 이 인코딩이 정의된 RFC 3986의, section 2.1
- URL을 퍼센트 인코딩하는 기능인 encodeURI()와encodeURIComponent()